도서 소개
현대 사회에서 아버지는 여전히 가족의 중심이지만, 권위주의의 붕괴와 미디어의 비하 코드 속에서 종종 오해와 편견에 휘둘린다. 『아버지를 위한 변명』은 억압으로서의 권위가 아닌 보살핌과 책임으로서의 권위를 회복하자고 제안한다.
책은 아버지의 현재 위치를 성찰하며 권위와 권위주의를 구분하고, 대화와 공감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관계 모델을 탐색한다. 또한 전쟁, 노동, 종교, 한국 사회사 속 아버지의 역할을 역사적으로 복원하며 공동체의 기둥으로 재해석한다. 마지막으로 존중과 신뢰에 기반한 긍정적 권위를 강조하며, 경제적 부양만이 아닌 정서적 돌봄과 상호적 소통의 중요성을 짚는다. 이 책은 아버지와 가족, 더 나아가 공동체가 다시 연결되기 위한 성찰의 지도를 제공한다.
출판사 리뷰
현대 사회에서 ‘아버지’라는 존재는 여전히 가족의 중심축이지만, 동시에 오해와 편견의 한가운데 서 있습니다. 『아버지를 위한 변명』은 권위의 붕괴, 가족 내 소통의 단절, 미디어가 만들어 낸 아버지 비하 코드 등 오늘의 아버지를 둘러싼 복합적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며, ‘억압으로서의 권위’가 아니라 ‘보살핌과 책임으로서의 권위’를 다시 세우자고 제안합니다.
책은 1부에서 가정과 사회 속 아버지의 현재 위치를 성찰합니다. ‘무너진 권위’, ‘가족 속의 아버지’, ‘사회 속의 아버지’ 같은 장을 통해 권위와 권위주의를 구분하고, 대화·공감·책임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관계 모델을 제시합니다. 2부는 전쟁, 노동, 종교·철학, 한국 사회사의 맥락 속에서 아버지가 수행해 온 역할을 역사적으로 복원합니다. 이 과정에서 아버지는 단순한 가장이 아니라 공동체를 지탱해 온 ‘보이지 않는 기둥’으로 재해석됩니다.
3부는 권위를 부정의 상징으로만 취급하는 통념에 반박하며, 존중과 신뢰로 작동하는 ‘긍정적 권위’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힙니다. 특히 아버지 없는 가정이 남기는 감정·사회적 공백, 세대 간 비난의 언어가 만드는 상처, ‘꼰대’라는 레토릭이 감추는 문제들을 데이터와 사례로 짚어냅니다. 이어 4부에서는 ‘새로운 시대의 아버지’ 상을 제안합니다. 일방적 지시가 아닌 상호적 소통, 경제적 부양만이 아닌 정서적 돌봄, 권리의 행사보다 책임의 실천에 방점을 찍는 태도가 핵심입니다.
저자는 아버지를 둘러싼 갈등을 ‘누가 더 옳은가’의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함께 설 것인가’의 문제로 전환합니다. 그 해법은 일상의 언어로 서로를 이해하고, 실패와 상처를 공유하며, 관계의 신뢰를 차근히 쌓아 올리는 데 있습니다. 이 책은 아버지와 자녀, 부부, 더 넓게는 공동체가 다시 연결되기 위한 실천적 지도를 제공합니다. 아버지에 대한 변명은 특정 세대의 변호가 아니라, 우리 모두가 더 건강한 사회로 가기 위한 성찰의 출발점이라는 점을 일깨웁니다. 가족 안에서, 일터와 사회에서 ‘존경받는 권위’를 회복하고 싶은 모든 독자에게 권합니다.
“아버지의 역할은 인류 역사에서 한 표면적으로 뚜렷한 위치에 자리를 잡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복잡한 현실이 중첩되어 있다… 현대 사회에서 아버지가 겪는 권위의 붕괴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며, 이는 가족 구조와 사회적 통합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 권위는 억압적인 것이 아니라, 보살핌과 지지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다시 인식해야 한다.”
“권위의 구조가 무너진 이 시점에서 우리는 권위에 대한 이야기를 다시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가정 구조의 변화와 함께 그 권위는 흔들리고 있으며, 이는 가정 안팎에서 새로운 역할 실험으로 이어진다… 존경받는 권위로 나아가려면, 흘러넘치는 정서와 상호 이해를 통해 진정한 소통이 필요하다.”
목차
프롤로그 / 5
1부 아버지의 자리 / 9
1장 무너진 권위 / 11
2장 가족 속의 아버지 / 26
3장 사회 속의 아버지 / 41
4장 아버지와 어머니의 균형 / 56
5장 아버지를 향한 오해와 비하 / 71
2부 아버지의 역사 / 87
6장 문명의 기초를 놓은 아버지들 / 89
7장 전쟁과 평화의 역사 속 아버지 / 104
8장 노동의 역사와 아버지 / 119
9장 종교와 철학 속의 아버지 / 134
10장 한국 사회의 아버지상 / 149
3부 아버지의 권위 / 165
11장 권위는 억압인가? / 167
12장 권위의 긍정적 의미 / 182
13장 아버지 없는 권위, 권위 없는 어머니 / 198
14장 권위가 무너진 문명의 파괴 / 213
15장 다시 세워야 할 아버지상 / 228
4부 아버지를 다시 부르다 / 243
16장 새로운 시대의 아버지 / 245
17장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 회복 / 260
18장 아버지와 어머니의 새로운 연대 / 276
19장 아버지와 사회의 미래 / 290
20장 아버지를 위한 마지막 변명 / 306
에필로그: 아버지를 위한 마지막 변명 /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