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인문,사회
[단한권] 2025년 인도네시아 폭동의 내막 이미지

[단한권] 2025년 인도네시아 폭동의 내막
아우내 | 부모님 | 2025.10.01
  • 정가
  • 25,000원
  • 판매가
  • 22,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250P (5% 적립)
  • 상세정보
  • 0.454Kg | 324p
  • ISBN
  • 9791124032770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2025년 8월 인도네시아 곳곳을 뒤흔든 ‘폭동’은 한순간의 분노 폭발이 아니었다. 이 책은 정치 엘리트의 둔감한 결정과 누적된 생활고, 불평등 구조, 그리고 미디어 환경이 얽히며 어떻게 사회적 파열음을 만들어냈는지 체계적으로 추적한다. 국회의원 주택수당 인상과 같은 상징적 사건이 왜 민심의 임계점을 넘어뜨렸는지, 그 장면들을 가능하게 만든 장기 구조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결과가 시민의 일상과 제도에 어떤 흔적을 남겼는지를 다층적으로 복원한다.

저자는 프롤로그에서 ‘사건’이 아니라 일련의 ‘결정’들이 빚은 파열음을 지적한다. 소득과 기회의 간극, 치솟는 생활비, 불안정한 일자리 위에 “억압과 무시”가 선택될 때 어떤 감정의 합성물이 탄생하는지, 그리고 그 감정이 어떻게 SNS의 확산 논리 속에서 집단적 행동으로 전화되는지 보여준다. 특히 자카르타 외곽에서의 비극적 사망 사건이 추상적 분노에 육체를 부여하며 전국적 항의로 번져가는 과정을 치밀한 문장과 현장 증언으로 그려낸다.

  출판사 리뷰

2025년 8월 인도네시아 곳곳을 뒤흔든 ‘폭동’은 한순간의 분노 폭발이 아니었다. 이 책은 정치 엘리트의 둔감한 결정과 누적된 생활고, 불평등 구조, 그리고 미디어 환경이 얽히며 어떻게 사회적 파열음을 만들어냈는지 체계적으로 추적한다. 국회의원 주택수당 인상과 같은 상징적 사건이 왜 민심의 임계점을 넘어뜨렸는지, 그 장면들을 가능하게 만든 장기 구조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결과가 시민의 일상과 제도에 어떤 흔적을 남겼는지를 다층적으로 복원한다.
저자는 프롤로그에서 ‘사건’이 아니라 일련의 ‘결정’들이 빚은 파열음을 지적한다. 소득과 기회의 간극, 치솟는 생활비, 불안정한 일자리 위에 “억압과 무시”가 선택될 때 어떤 감정의 합성물이 탄생하는지, 그리고 그 감정이 어떻게 SNS의 확산 논리 속에서 집단적 행동으로 전화되는지 보여준다. 특히 자카르타 외곽에서의 비극적 사망 사건이 추상적 분노에 육체를 부여하며 전국적 항의로 번져가는 과정을 치밀한 문장과 현장 증언으로 그려낸다.
1부는 도화선에 불이 옮겨 붙는 순간들을 추적한다. ‘춤추는 의원들’ 영상 같은 상징적 모욕, 최저임금과 생계비의 괴리, 조롱·풍자 영상의 확산이 왜 단순한 유희가 아니라 저항의 새로운 문법이 되었는지 해석한다. 2부는 민주화의 지체, 부패의 관성, 왜곡된 경제 구조와 사회적 불평등, 역사·문화적 맥락을 해부하며, 폭동의 배경을 구조적으로 읽는다. 3부는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민주화 경험을 비교하고, ‘민족성’ 담론이 대중심리와 정치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교차 분석한다. 4부는 폭동 이후의 제도개혁 조건, 경제 충격의 파급, 국제정치적 함의, 그리고 ‘다시는’이라는 약속을 현실로 만드는 설계도를 제안한다.
이 책의 힘은 단정 대신 질문을 택하는 태도에 있다. 책임(권력은 결과로 설명해야 한다), 존엄(권리의 언어로 공공을 재구성한다), 사실(감정의 시대일수록 수치·기록·증언·맥락이 중요하다), 연대(조롱은 시작에 불과하고 변화는 조직된 연대에서 온다)라는 네 가지 원칙은 분노를 행동으로, 행동을 개혁으로 잇는 지적 나침반이 된다. 현장감 있는 서술과 분석을 오가는 문체는 사건의 표정을 살리면서도 통계와 제도 문서, 비교 사례를 통해 감정의 서사를 검증한다.
『2025년 인도네시아 폭동의 내막』은 인도네시아를 넘어 오늘의 우리에게도 던지는 질문이 분명하다. 불공정의 얼굴을 어떻게 인식하고, 미디어 구조 속에서 어떻게 연대와 책임의 언어를 복원할 것인가. 이 책은 ‘폭동’을 일탈이 아닌 사회적 교정의 거친 신호로 읽으며, 반복을 끝내기 위한 집단적 의지를 호명한다. 분노 이후, 무엇을 바꾸어야 하는지 묻는 이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기록이다.

“2025년 8월, 인도네시아는 ‘사건’이 아니라 ‘결정’들의 합이 만든 파열음을 들었다. 소득과 기회의 간극이 넓어지고, 비싼 생활비와 불안정한 일자리가 사람들의 일상 언어가 될 때까지 오래 축적된 체념과 분노?그 위에 정치 엘리트의 둔감한 선택들이 쌓였다… ‘대화와 개혁’ 대신 ‘억압과 무시’가 선택되었을 때, 물러설 여지는 소진되었다.…이 책이 다루는 폭동은 그래서 ‘자발적 분노의 폭발’만이 아니다. 그것은 구조가 만든 습곡면을 따라 흘러온 감정의 합성물이며, 그 감정은 미디어에서 형태를 얻었다… 공유·확산·해시태그의 연쇄 속에서 개인 경험은 공론이 되었고, 흩어진 불만은 서로를 알아보며 연결되었다.…우리는 몇 가지 원칙을 붙든다. 첫째, 책임: 공권력과 정치 엘리트는 시민 앞에서 설명할 책임이 있다. 책임은 사과가 아니라 제도의 변화로 입증되어야 한다. 둘째, 존엄: 통제의 언어가 아닌 권리의 언어로 공공을 재구성해야 한다. 셋째, 사실: 이미지와 감정의 시대일수록, 수치와 기록, 증언과 맥락의 검증이 저항을 단단하게 만든다. 넷째, 연대: 조롱은 시작일 수 있지만, 변화는 결국 조직된 연대와 지속 가능한 의제에서 온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민아

  목차

프롤로그 / 5

1부 폭동의 발단과 전개 / 11
2장 경제 위기와 민중의 불만 / 27
3장 경찰 폭력과 분노의 확산 / 42
4장 폭력 시위의 전개 / 57
5장 정부와 국제사회의 대응 / 73

2부 구조적 원인과 역사적 맥락 / 89
6장 민주화의 지체와 부정부패 / 91
7장 특권층의 탐욕과 이기주의 / 106
8장 국민적 무지와 패배의식 / 121
9장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의 역사적 조건 / 136
10장 경제 구조와 사회 불평등 / 151

3부 비교와 민족성의 문제 / 167
11장 한국과 인도네시아 민주화 비교 / 169
12장 인도네시아 민족성의 그림자 / 184
13장 특권층과 민중의 심리학 / 199
14장 한국과의 사회·문화 비교 / 214
15장 민주주의와 민족성의 교차로 / 229

4부 폭동 이후의 전망과 교훈 / 245
16장 사회적 여파와 대중문화의 저항 / 247
17장 정치제도의 한계와 개혁의 필요성 / 261
18장 경제 충격과 사회구조의 변화 / 277
19장 국제정치적 함의 / 292
20장 결론: 폭동의 교훈과 인류학적 성찰 / 307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