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현재열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교수.대표 논저로는 『역사 대논쟁: 서구의 흥기』(도서출판 선인, 2020, 역서), 『해역 속의 인간과 바다의 조우: 세계경제와 해역경제』(도서출판 선인, 2021, 저서)가 있다. 주요 관심사는 글로벌 해역경제의 비교사와 근대성에 대한 다학문적 이해이다.
지은이 : 박단
196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80년 서강대학교에서 역사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으며, 같은 학교에서 〈허버트 스펜서의 사회사상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프랑스로 유학을 떠나 프랑스 파리1대학 ‘사회운동 및 생디칼리슴 역사연구소’에서 프랑스 노동운동사를 연구했으며, 1995년에 〈프랑스 노동총연맹(C. G. T.)의 통합활동(1929.10~1936.3)〉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귀국한 뒤에는 북아프리카 출신 이민자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이후 프랑스 내 무슬림 이민자들의 고향인 북아프리카, 중동 등에 관심을 가지면서 연구 방향이 자연스레 유럽과 메나 MENA(Middle East & North Africa) 연구로 옮겨갔다.현재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유로메나연구소 소장, 한국서양사학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이주사학회와 한국프랑스사학회, 통합유럽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저서로 《프랑스공화국과 이방인들》, 《이만큼 가까운 프랑스》, 《현대 서양사회와 이주민》(편), 《역사 속의 유로메나》(편) 등이 있다.
지은이 : 양희영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프랑스혁명기 툴루즈와 지방혁명의 자율성(1789-1793)〉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프랑스혁명사, 19세기 프랑스 정치사, 여성사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혁명은 왜 일어났을까》(2013)가 있으며, 《프랑스의 열정: 공화국과 공화주의》(2011), 《서양 여성들, 근대를 달리다》(2011), 《서양사강좌》(2016) 등의 책에 공저자로 참여했다. 《마르탱게르의 귀향》(2000), 《로베스피에르, 혁명의 탄생》(2005), 《반혁명》(2012), 《기억의 장소》(공역, 2020), 《파리의 풍경》(공역, 2014), 《20세기 프랑스 역사가들》(공역, 2016)을 우리말로 옮겼다.
지은이 : 이용재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에서 학사·석사 과정 후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프랑스사학회 회장, 한국서양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유럽 정치사회사 전반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함께 쓰는 역사』(공저), 『프랑스의 열정: 공화국과 공화주의』(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아메리카의 민주주의』, 『소유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지은이 : 이재원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툴루즈(Toulouse) 2대학에서 ‘프랑스 68운동’ 관련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파리 10대학에서 ‘프랑스 제국주의’ 관련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기억과 전쟁 : 미화와 추모 사이에 서』(2009, 엮음), 『제국의 시선, 문화의 기억』(2017)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1930년, ‘프랑스령 알제리’ 백주년」(2022), 「‘14-18 전쟁’과 프랑스의 흑인 병사 이미지 : 실재, 상상(계), 그리고 재현」(2022), 「전쟁의 고통과 상흔 -제1차 세계대전과 프랑스 ‘안면 부상병(Gueules cassees)’-」(2023) 등이 있다.
지은이 : 민유기
세계 각지의 도시 문화와 예술을 사랑하는 역사가이자 경희대 사학과 교수로 서양 도시문화사, 프랑스 정치문화사, 국제관계사, 젠더사를 연구한다. 고려대 서양사학과 학사와 석사, 파리 I대학(팡테옹 소르본 대학) 사학과 석사,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역사문명학과 박사다. 19세기 파리의 주거 개혁을 주제로 하는 사회문화사적 도시사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귀국해 서양의 도시사 연구 흐름을 한국 역사학계에 소개했고, 여러 연구자와 함께 2008년에 도시사학회를 창립했다. 도시사학회 총무이사, 편집장, 부회장과 회장, 한국서양사학회 총무이사, 한국프랑스사학회 총무이사, 학술지 《사총》 편집장을 역임했다. 공동 저·역서 포함 30여 권의 책을 출간해 10권이 학술원 우수도서, 세종도서 등에 선정되었으며, 한국서양사학회 우수논문상,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했다. 국회 인성함양 자문위원과 서울 역사도시 추진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역사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성찰이 더 나은 사회 환경과 미래를 만든다는 믿음으로 역사 연구와 교육에 매진하는 틈틈이 사회봉사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지은이 : 이용우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프랑스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덕여자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된 연구 분야는 독일강점기 프랑스의 역사(1940~1944)와 그 시기에 대한 전후 프랑스인들의 인식, 기억, 기념 문제다. 지은 책으로 『프랑스의 과거사 청산-숙청과 기억의 역사, 1944~2004』(2008), 『미완의 프랑스 과거사-독일강점기 프랑스의 협력과 레지스탕스』(2015), 『레지스탕스 프랑스-신화와 망각 사이』(2019)가 있고, 옮긴 책으로 에릭 홉스봄의 『극단의 시대:20세기 역사』(1997)가 있다.
지은이 : 박윤덕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졸업(학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사학과 졸업(석사)프랑스 파리 1대학 사학과 졸업(박사)현 충남대학교 사학과 교수저서 : 『시민 혁명』, 『프랑스 구체제의 권력구조와 사회』(공저) 등역서 : 『혁명의 탄생』, 『아이티 혁명사』 등
지은이 : 마은지
숭실대학교 사학과 박사(서양사)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박사수료(기독교 역사학 및 문화학)Visiting Lecturer,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University of Kent, UK2025년 현재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주요 저서로 『킨슬러 선교사의 사진 자료집-성경구락부 활동』, 『Cultural Meta- morphosis of Korea and Hungary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공저), 『프랑스를 만든 나날, 역사와 기억 2』(공저), 『전쟁과 프랑스 사회의 변동』(공저), 『민족주의의 재발견: 바레스의 민족주의』, 『프랑스 민족주의: 1789 이후의 계급과 민족』(공역)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냉전과 태평양 횡단 기독교 네트워크-전후 전쟁고아와 미국선교사」, 「한국의 성경구락부 형성과정에서 권세열의 역할」, 「한국전쟁과 성경구락부 운동」, 「킨슬러(Francis Kinsler), 평양을 담다-평양 선교 기록(1928~1941): 프랜시스 킨슬러 가족 컬렉션의 선정과 구축」, 「옥호열 선교사의 한국의 기억-기록 고찰」, 「한말 기독교의 성경번역과 성경 민족주의에 관한 고찰」 등이 있다.
지은이 : 김민철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이자 세계지성사연구단위(GIHU) 운영위원장. 프랑스혁명사와 유럽 지성사를 연구하고 가르친다. 옥스퍼드대학 볼테르재단의 연구위원(Research Fellow), 옥스퍼드계몽사상연구 시리즈 편집위원, 세인트앤드루스대학 지성사학술원의 국제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세계적인 석학들과 함께 유럽 지성사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민주주의‧공화주의‧자연법‧정치경제를 주제로 다수의 국내외 저널에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옮긴 책으로 『캘리번과 마녀』(공역) 『계몽사상의 유토피아와 개혁』 『인간 볼테르』 등이 있다.
지은이 : 권윤경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친 후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역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근대 프랑스사 전공으로 주로 프랑스 식민주의, 대서양 노예제와 노예제폐지운동, 프랑스혁명과 아이티혁명, 근대 인종주의, 기억의 정치, 탈식민주의 등을 연구한다. 『프랑스의 잃어버린 제국(France’s Lost Empires)』(2010), 『노예제폐지의 장소들(Abolitionist Places)』(2013), 『전쟁과 프랑스 사회의 변동』(2017),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2019), 『정치사상사 속 제국』(2019), 『19세기 허스토리』(2022) 등 여러 책에 공저자와 공역자로 참여했다.
지은이 : 신동규
창원대학교 사학과 교수
지은이 : 문지영
숙명여자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
지은이 : 박재연
서울에서 태어나 프랑스어와 프랑스 문학을 공부하고 파리로 갔어요. 파리에서 미술의 역사와 박물관에 대해 공부하면서 민기와 민재, 두 아이의 엄마가 되었어요. 지금은 아주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예술과 예술가에 대한 이야기를 읽고, 쓰고, 말하는 일을 해요. 옮긴 책으로는 『종이 소년』, 『학교 가는 길』, 『나의 할머니에게』, 『콧수염 공주』 등이 있어요.
지은이 : 김대보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1대학 팡테옹-소르본, 프랑스 혁명사 연구소(IHRF)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원광대학교 역사문화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벌거벗은 세계사〉 ‘나폴레옹’ 편에 출연했습니다.
지은이 : 정재현
목포대학교 사학과 교수
지은이 : 이은영
부산대학교 사학과 강사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