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중세교회사 이미지

중세교회사
솔로몬 | 부모님 | 2025.04.28
  • 정가
  • 54,000원
  • 판매가
  • 48,600원 (10% 할인)
  • S포인트
  • 2,7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8x25 | 1.179Kg | 786p
  • ISBN
  • 978898255635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스콜라 신학을 전공한 필자는 10년 이상 중세교회사를 수업하고 연구하면서 몇 부분에 대한 소회를 통해 본서를 시작하고자 한다. 먼저는 중세에 대한 현대인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어서는 중세를 고찰함으로서 갖는긍정적 유익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중세교회사를 다루면서 필자가 역점을 두는 부분과 본서가 지닌 한계 및 사전적 고려사항을 언급하고자 한다.

  출판사 리뷰

스콜라 신학을 전공한 필자로서는 10년 이상 중세교회사를 수업하고 연구하면서 몇 부분에 대한 소회를 통해 본서를 시작하고자 한다. 먼저는 중세에 대한 현대인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어서는 중세를 고찰함으로서 갖는긍정적 유익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중세교회사를 다루면서 필자가 역점을 두는 부분과 본서가 지닌 한계 및 사전적 고려사항을 언급하고자 한다.
먼저는 중세 혹은 중세교회사에 대한 현대인의 일반적 이해이다. 필자가 중세를 공부하려 유학을 떠날 때, 한 친구이자 동료의 표현은 ‘중세가 선한 것이 무엇이 있다고’이다. 그만큼 현대인의 중세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 이지 않다. 특히 필자처럼 개신교에 속할 뿐만 아니라, 신학을 공부한 입장에서, 중세는 언제나 ‘부정적, 야만적, 미신적, 맹목적’일뿐만 아니라, ‘비성경적’이고 ‘반개혁’의 상징처럼 여겨진다. 전체 교회사를 살펴보아야 하기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살짝 들여다보고 고개를 저으며, ‘중세는 중세야!’라고 말하며 막간처럼 지나가야 하는 시대로 간주한다. 이는 교회의 역사를 공부한 입장에서만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역사의 진보와 발전에 대한 세계관을 지닌 모든 이들은 중세를 ‘미성숙’과 ‘야만’의 시대로 규정하기를 서슴지 않는다. 본서의 제1장에서 소개하는 철학자 헤겔(Hegel)이, 저자인 움베르토 에코(Eco)가 소개하는 중세의 모습이기도 하다. 때문에 현대인들은 중세를 연구하고 역사적 동인과 사실들에 대한 성찰의 대상으로 삼기보다는 버려두어야 할 무관심의 대상으로 치부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정원래
총신대학교 신학과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베를린 홈볼트 대학 신학박사총신대학교 역사신학 부교수2012년부터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중세교회사를 가르치고 있다.저서 - 멜란히톤역서 - 중세의 신학연구

  목차

목 차
저자 서문
약어
1. 중세교회사에 대한 서론적 이해 ‥‥‥23
I. 중세교회사에 대한 일반적 인식 ‥25
1. ‘중세’에 대한 인식 ‥25
1) 중세는 불편하다.
2) 중세란 표현의 시작은
2. 중세의 시대적 구분 ‥29
1) 중세는 언제부터 시작해서 끝은 어디로 보아야 하는가?
2) 중세 시대는 어떻게 시대를 세분할 수 있을까?
3. 중세교회사의 무대‥32
1) 중세교회사가 펼쳐진 무대는 어디인가?
2) 이민족의 침입
II. 중세교회사의 특징 ‥38
1. 초대 교회 복음 전파자들이 만난 세계 ‥39
2. 중세 교회의 독특성 ‥42
1) 이중성과 보편성
2) 수도원의 시대
3. 현대에서의 중세에 대한 연구 ‥47
2. 교황 제도의 형성-베드로의 후예들 ‥‥‥53
I. 교황 제도의 형성 ‥55
1. 교황과 교황청에 대한 일반적 이해 ‥55
1) 교황은 누구인가
2) 교황 호칭(papa)의 기원과 교황청은 어디에?
2. 고대 교회에서의 로마 교회의 역할과 위치 ‥60
1) 초대 교회에서 로마 교회는 어떠한 외형적 위치에 있었는가?
2) 초대 교회에서 로마 교회는 세계교회로부터 어떠한 인정과 존경을 받았
는가?
3. 교황 수위권 사상의 태동과 전개: 초대 교회에서 로마 교회의 지위와
명성은 교황 수위권으로 어떻게 이어지는가? ‥68
1) 로마 교회의 수위권 주장은 언제부터
2) 수위권 주장의 근거: “네 반석 위에”
3) 수위권 주장의 정립: 교황 레오1 세(Leo I, 440-461 재위)
II. 그레고리우스 1세 교황(Pope Gregory I) ‥80
1. 그레고리우스의 삶과 교황으로서의 선출 ‥80
2. 그레고리우스 1세의 활동과 저술 ‥86
1) 로마 교회 지도자로서의 활동
2) 정치 지도자로서의 활동
3) 로마 교회 밖의 기독교 세계에 대한 그레고리1 세의 활동
3. 그레고리우스 1세의 저술들 ‥91
4. 그레고리우스 1세에 대한 평가와 영향 ‥95
3. 영국 제도의 복음화 ‥‥‥99
I. 중세 이전의 영국의 상황과 기독교 ‥101
II. 아일랜드. 스코틀랜드의 복음화 ‥105
1. 성 패트릭(St. Patrick)의 아일랜드 선교 ‥105
2. 아일랜드 수도원의 성격과 고해제도 ‥109
1) 아일랜드 수도원의 성격
2) 수도원의 고해 제도
3. 아일랜드 수도원의 선교 활동 ‥114
4. 켈트 기독교의 발전 ‥118
III. 영국의 복음화 ‥122
1. 그레고리우스 1세의 영국 선교 ‥122
2. 휫트비(Whitby) 종교회의와 영국 교회의 발전 ‥124
4. 프랑크 왕국과 교황령의 시작 ‥‥‥131
I. 프랑크 왕국과 클로비스의 개종 ‥133
1. 프랑크 왕국의 기원은 ‥133
2. 클로비스(Clovis, ca. 466-511)의 개종 ‥135
3. 메로빙거 왕조 시대의 기독교 사회 ‥140
II. 카롤링거 왕조와 보니파티우스의 선교사역 ‥144
1. 샤를 마르텔(Charles Martel, 680-741) ‥144
2. 보니파티우스(Boniface, Latin: Bonifatius, 675-754/5)의 선교사역 ‥146
III. 피핀과 교황령 ‥152
1. 피핀(Pippin III, 714-768) 의 등극 ‥152
2. 교황령(The Papal-State) ‥156
IV. 샤를마뉴와 기독교 세계 ‥159
1. 샤를마뉴의 경건 ‥160
2. 샤를마뉴의 전쟁 ‥162
3. 카롤링거 르네상스 ‥167
4. 기독교 황제 ‥170
5. 중세의 동방교회 ‥‥‥177
I. 8~9세기의 동방교회와 성상숭배 논쟁 ‥179
1. 동로마 세계 ‥179
2. 동방의 황제교황주의 ‥181
3. 성상에 관한 논쟁 ‥184
1) 황제 레오 3세의 성상숭배 금지령
2) 다마스커스 요한(John Damascene, 675/6-749)의 반박
3) 성상숭배 금지논쟁의 격화와 7차 니케아 세계 공의회
4) 제7차 니케아 세계 공의회에 대한 서방의 반응
4. 동방교회의 신학 ‥195
1) 하나님의 초월성
2) 전례에 대한 강조
3) 테오시스(theosis: 신화(神化)
5. 8~9세기 동방교회 신학자 ‥201
1) 다마스커스의 요한(John of Damacene)
2) 스튜디오의 테오도레(Theodore of Studium)
II. 동·서방교회의 분리 ‥203
1. 동·서방교회의 역사적 발달/문화적·신학적 차이 ‥203
2. 동·서방 교회의 갈등과 분열 ‥206
1) 교황 니콜라우스 1세와 총대주교 포티우스의 충돌
2) 1054년 동·서방 교회의 분열
3. 1054년 이후의 동·서방교회 ‥211
III. 9~10세기 동방교회의 확장 ‥214
1. 모라비아 선교 ‥215
2. 불가리아 선교 ‥218
3. 러시아의 개종 ‥221
6. 프랑크 제국의 분열과 암흑시대 ‥‥‥225
I. 프랑크 제국의 분열과 암흑시대 ‥227
1. 프랑크 제국의 분열과 이민족의 침입: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227
1) 프랑크 제국의 분열
2) 외부의 침입
3) 프랑크 사회의 갈등과 혼란
2. 『위 이시도루스 교령집』을 통해 드러난 교회의 상황 ‥235
3. 교황청의 암흑시대(saeculum obscrum) ‥239
II. 오토 제국과 클루니 수도원 ‥246
1. 오토 제국과 세상적 질서의 회복 ‥246
1) 독일과 오토의 등장
2) 오토의 봉헌식
2. 오토 황제와 교황청 ‥252
III. 클루니 수도원 ‥256
1. 클루니 수도원의 설립 ‥256
2. 클루니 수도원의 발전과 영향 ‥259
7. 중세 서임권 갈등 ‥‥‥267
I. 11세기 교황청의 개혁과 교황권의 강화 ‥269
1. 교황청의 혼란과 수습 ‥269
2. 교황 레오 9세(Leo IX, 1049-1054)의 개혁 ‥273
3. 교황 선출 칙령(1059) ‥278
II. 그레고리우스 7세와 하인리히 4세의 투쟁 ‥284
1. 그레고리우스 7세(Gregorius VII, 1073-1085)의 개혁 ‥284
2. 하인리히 4세의 반응 ‥292
3. 카노사로 가는 길 ‥298
4. 카노사 이후 ‥304
III. 보름스 정교 협약(1122) ‥307
8. 십자군 전쟁 ‥‥‥313
I. 십자군의 태동과 1차 십자군 ‥315
1. 십자군의 역사적 배경 ‥315
1) 십자군의 역사적 배경
2) 십자군의 직접적 원인
2. 클레르몽 공의회를 통한 십자군 선포 ‥321
3. 1차 십자군 ‥324
II. 십자군의 전개와 그 영향 ‥334
1. 2-3차 십자군과 예루살렘 상실 ‥334
1) 2차 십자군과 예루살렘 상실
2) 3차 십자군
2. 제4-7차 십자군 ‥341
1) 4차 십자군
2) 5차 십자군
3) 6-7차 십자군
3. 십자군의 종말과 그 영향 ‥355
9. 12세기의 다양한 신앙 운동과 이단 ‥‥‥363
I. 12세기의 새로운 신앙 운동 ‥365
1. 새로운 종교적 운동들 ‥365
2. 카르투지오 수도회(Carthusian order) ‥368
3. 다브리셀의 로베르(Robert d'Abrissel, 1160?-1116?)와 퐁트브로 수도원 ‥374
4. 시토 수도회(Cistercians Order) ‥376
5.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두스(Bernard de Clairvaux, 1090-1153) ‥382
6. 아우구스티누스 교단(Augustian canons) 혹은
참사 수도회(Canon regula) ‥387
7. 독립적인 종교 지도자들 ‥390
1) 피에르 드 브뤼이와 로잔의 앙리(Henry of Lausanne)
2) 브레스기아의 아놀드(Arnold of Brescia)
3) 베긴회(Beguines)와 베가드(Beghards)
II. 12세기 후반의 이단과 교회의 대응 ‥396
1. 카타리파(Cathars) ‥397
2. 발도파(Waldenses) ‥403
3. 베긴회(Beguines)와 베가르회(Beghards) ‥408
III. 로마교회의 이단에 대한 반응 ‥409
1. 종교재판소 ‥409
2. 제4차 라테란 공의회(1215) ‥412
3. 도미니쿠스회와 프란체스코회 ‥415
1) 프란체스코 수도회(Order of Friars Minor; Ordo Fratrum Minorum)
2) 도미니쿠스 수도회(Order of Preachers; Ordo praedicatorum)
10. 스콜라주의 신학 ‥‥‥431
I. 스콜라주의 형성 ‥433
1. 중세 대학의 형성 ‥433
2. 중세의 수업방식 ‥437
1) 강독(lectio)
2) 질문(Quaestio)
3) 토론(disputatio)
3. 중세 대학에서의 신앙과 이성 ‥433
II. 스콜라 신학의 시대 구분과 대표자들 ‥449
1. 초기 스콜라주의자들(11c 후반-12세기 말) ‥449
① 캔터베리의 안셀무스(Anselm de Canterbury, 1033/4~1109)
② 피터 아벨라르두스(Peter Abaelard, 1079~1142)
③ 피터 롬바르두스(Peter Lombardus, 1100? ~ 1160)
2. 스콜라의 전성시대 (13세기) ‥462
① 보나벤투라(Bonaventura, 1217/21-1274)
②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5-1274)
3. 라틴-아베로에스주의 ‥483
① 라틴-아베로에스주의자들
② 라틴-아베로에스주의자에 대한 반발
4. 후기 스콜라 시대 ‥491
① 강의 헨리쿠스(Heinricus de Grand)
② 둔스 스코투스(John Duns Scotus, 1266-1308)
③ 윌리암 오캄(William of Ockham, 1300-1349)
11. 교황권의 추락과 아비뇽 교황청 ‥‥‥511
I. 교황권의 절정 ‥513
1. 황제권도 신성하다: 알렉산더 3세(Alexander III, 1100/1105-1181) 및 프리드
리히 바르바로사(Friedrich Barbarossa, 1122-1190)의 대치 ‥513
2. 신의 대리인: 인노켄티우스 3세(Innocentius III, 1161-1216) ‥534
3. 교황청과 프리드리히 2세(Friedrich II)의 갈등 ‥541
II. 보니파키우스 8세(Bonifatius VIII)와 필립 4세의 투쟁 ‥531
1. 보편적 절대 권위에 대한 반론의 등장 ‥531
2. 보니파키우스 8세 ‥534
3. 우남상탐(Unam Sanctam) ‥541
III. 아비뇽 교황청 ‥545
1. 아비뇽 교황청 시대 ‥545
2. 아비뇽의 교황들 ‥548
1) 클레멘트 5세(Clement V, 1305-1314)
2) 요한 22세 (John XXII, 1316-1334)
3) 아비뇽 후기의 교황들
3. 교황권에 대한 비판 ‥558
① 단테(Dante Alighieri, 1265-1321)
② 파두아의 마르실리우스(Marsillius of Padua, 128?-1343?)
③ 윌리암 오캄(William of Ockham, 1300-1349)
4. 새로운 시대정신의 태동 ‥565
12. 교황청의 분열과 개혁의 움직임 ‥‥‥571
I. 교황청의 분열과 개혁 공의회 ‥573
1. 교황청의 분열-불확실성의 시대 ‥573
1) 두 명의 적법한 교황
2) 분열의 해소를 위한 노력
2. 개혁 공의회 ‥578
1) 피사 공의회(Council of Pisa, 1409)
2) 콘스탄츠 공의회(Council of Constance, 1414-1418)
3) 바젤-페라라/피렌체 공의회(Council of Basel, Ferrara/Florence, 1431-1445)
II. 종교개혁 이전의 개혁자들 ‥590
1. 존 위클리프(John Wyclif, 1325?-1384) ‥591
1) 존 위클리프(John Wycliff, c. 1328-1384)의 생애
2) 위클리프의 정치적 활동
3) 위클리프의 교리 개혁
4) 위클리프에 대한 반대
5) 위클리프의 영향
2. 보헤미아의 얀 후스(Jan Hus, 1370-1415) ‥602
1) 14세 보헤미아의 신앙적 상황
2) 얀 후스의 생애
3) 얀 후스의 개혁적 주장
4) 얀 후스에 대한 핍박과 정죄
5) 얀 후스의 영향
3. 지룰라모 사보나롤라(Girolamo Savonarola, 1452-1498) ‥614
1) 초기 생애
2) 피렌체에서의 활동
3) 정치적 대립
4) 재판과 처형
13. 중세 후기 신비주의 ‥‥‥625
I. 중세 후기 신비주의 ‥627
1. 중세 후기 신비주의 ‥627
2. 중세 후기 여성 신비주의자들 ‥629
1) 노리치의 줄리안(Julian of Norwich, 1342?-1416)
2) 시에나의 카타리나(St. Catherine of Siena, 1347-1380)
3. 도미니쿠스회 신비주의 ‥637
1) 도미니쿠스회 신비주의(The Dominican mysticism)
2)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1260-1327/8)
① 에크하르트의 생애
② 에크하르트의 신학
③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
④ 후대에 끼친 영향
3) 하인리히 주조(Heinrich Suso, 1295?-1360)
4) 요하네스 타울러(Johannes Tauler, 1300?-1361?)
II. 근대적 경건 운동 ‥658
1. 중세 후기 헌신운동 ‥658
2. 「하나님의 친우회」와 『독일신학』 ‥660
1) 「하나님의 친우회」(The Friends of God)
2) 『독일신학』
3. 근대적 경건(Devotio moderna) 운동 ‥666
1) 근대적 경건 운동
2) 토마스 아 켐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
14. 르네상스 ‥‥‥681
I. 이탈리아 르네상스와 교황들 그리고 교회 지도자들 ‥683
1. 르네상스의 시대적 배경 ‥683
① 르네상스의 성격
② 르네상스의 정신
2. 초기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689
①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 c.12651321)
②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Francesco Petrarch, 1304-1373)
③ 조반니 보카치오(Giovanni Boccaccio, 1313-1375)
3. 그리스 고전 문화의 부흥과 철학의 발달 ‥698
① 로렌조 발라(Laurentius Valla, 1407-1457)
② 죠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Giovanni Pico della Mirandola, 1463-1494)
③ 니콜라우스 쿠사누스(Nicholas of Cusa, 1401-1464)
4. 이탈리아 후기 르네상스와 교황들 ‥707
5. 르네상스에 대한 평가 ‥711
II. 알프스 이북의 인문주의: 종교개혁 전야에 있었던 경건 ‥713
1. 알프스 이북 인문주의의 일반적인 특성 ‥713
2. 독일의 르네상스 ‥716
① 루돌프 아그리콜라(R. Agricola, 1444-1485)
② 요하네스 로이힐린(Johannes Reuchlin, 1455-1522)
③ 데지데리우스 에라스무스(Desiderius Erasmus, 1466?-1536)
III. 르네상스에 끼친 인쇄술의 영향 ‥724
1. 인쇄술의 발명 ‥724
2. 인쇄술의 기여 ‥725
15. 중세를 마무리하며 ‥‥‥737
참고문헌 1 ‥741 / 참고문헌 2 ‥744
중세교회의 주요 사건들 ‥779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