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마침내 그들이 로마를 바꾸어 갈 때  이미지

마침내 그들이 로마를 바꾸어 갈 때
로마 세계의 그리스도교화에 관하여
비아 | 부모님 | 2025.05.08
  • 정가
  • 17,000원
  • 판매가
  • 15,300원 (10% 할인)
  • S포인트
  • 850P (5% 적립)
  • 상세정보
  • 20x13 | 0.260Kg | 200p
  • ISBN
  • 979119892727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로마의 그리스도교화'는 일종의 리트머스 시험지다. 이 현상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학계에서는 그 학자의 종교 여부, 신학 감수성, 역사관, 정치적 시선이 은연중에 드러나곤 한다. 회의적인 세속학자들은 '로마의 그리스도교화'라는 현상 자체가 사실은 허상이었다고 말하거나, 찬란한 로마 문명이 쇠락하는 과정이라 이야기한다.

어떤 로마 가톨릭 학자들은 찬란한 중세 문명으로 향하는 부드러운 전환으로 보기도 하고, 주님의 승리를 보여주는 과정으로 보기도 하며, 어떤 개신교 학자들은 순전했던 신앙이 제국과 야합해 타락해 가는 과정으로 보기도 한다. 모두 일리가 있지만, 이런 관점들은 하나같이 지나치게 깔끔하다.

고대 후기 연구를 사실상 개척한 역사가로 평가받는 피터 브라운은 이 문제 앞에서, 특정 해석 진영을 선택하기보다는 문제 자체를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택한다. 『마침내 그들이 로마를 바꾸어 갈 때』는 바로 그런 그의 문제의식이 잘 드러난 저작이다. 1993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진행된 세 차례의 강연을 바탕으로 한, 그리 두껍지 않은 책이지만 사유의 밀도는 그의 대표작들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으며 그의 방대한 연구물로 들어가게 해주는 입문서로 적절하다.

  출판사 리뷰

그리스도교는 어떻게 로마를 바꾸었는가?
역사학의 거장 피터 브라운이 제시하는 복잡하고도 미묘한 이야기

'로마의 그리스도교화'는 일종의 리트머스 시험지다. 이 현상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학계에서는 그 학자의 종교 여부, 신학 감수성, 역사관, 정치적 시선이 은연중에 드러나곤 한다. 회의적인 세속학자들은 '로마의 그리스도교화'라는 현상 자체가 사실은 허상이었다고 말하거나, 찬란한 로마 문명이 쇠락하는 과정이라 이야기한다. 어떤 로마 가톨릭 학자들은 찬란한 중세 문명으로 향하는 부드러운 전환으로 보기도 하고, 주님의 승리를 보여주는 과정으로 보기도 하며, 어떤 개신교 학자들은 순전했던 신앙이 제국과 야합해 타락해 가는 과정으로 보기도 한다. 모두 일리가 있지만, 이런 관점들은 하나같이 지나치게 깔끔하다.
고대 후기 연구를 사실상 개척한 역사가로 평가받는 피터 브라운은 이 문제 앞에서, 특정 해석 진영을 선택하기보다는 문제 자체를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택한다. 『마침내 그들이 로마를 바꾸어 갈 때』는 바로 그런 그의 문제의식이 잘 드러난 저작이다. 1993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진행된 세 차례의 강연을 바탕으로 한, 그리 두껍지 않은 책이지만 사유의 밀도는 그의 대표작들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으며 그의 방대한 연구물로 들어가게 해주는 입문서로 적절하다.
이 책에서 브라운은 한편으로 회의적인 세속학자들과는 분명하게 선을 그으며 로마의 그리스도교화가 실제로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그리스도교 학자들의 추정과는 달리 그리스도교화라는 과정은 결코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 아님을 보여준다. 그가 보기에 이 현상은 단지 다신교에서 일신교의 전환, 혹은 이교에서 그리스도교의 종교적 전환이 아니라 사회에서 권위 개념, 권력의 작동 방식, 성스러움과 세속을 상상하는 방식을 새롭게 배열한 일종의 문화적 사건이었다. 그리고 이 흐름에서 교회, 그리고 그리스도교인들은 (흔히 생각하듯) 기존 질서(및 종교)를 단순히 배척하거나 분쇄하지 않았으며 그 요소들을 재배치하고, 재해석하는 중재자 역할을 했다. 교회는 제국을 허물어 뜨리는 방식이 아닌, 기존의 정치적 상상력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었고, 더 나아가 세계를 상상하는 방식을 변화시켰다. 그 과정은 생각보다 훨씬 더 미묘하고, 복잡다단했다. 이른바 그리스도교 세계는 결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도 않았고, 십자가는 신전을 박살내고, 콜로세움을 무너뜨리는 방식으로만 세워지지 않았음을 피터 브라운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이야기한다. 브라운은 종교와 정치, 신앙과 사회, 권위와 신비가 분리되지 않았던 시대를 살피며 질문한다. '권위는 어떻게 정당화되는가?', '신성은 어떻게 사회적 에너지가 되는가?', 그리고 '종교는 어떻게 기억되고, 재배열되는가?' 이 물음은 다양한 일들을 통해 교회와 국가, 시민과 신자의 관계, 다원화된 사회 속 교회의 역할에 대해 숙고해야 할 그리스도교인들도 마주해야 하는 문제다. 그리스도교화에 대한 단순한 승인도, 냉소적 해체도 아닌, 의미의 궤적을 탐구하는 이 책은 종교와 사회가 맺는 복잡한 관계에 관심이 있는 인문 독자와 그리스도교 독자 모두에게 좋은 사유의 자극제이자 지적 지도가 될 것이다. 그리고 누군가에게는 우리 시대와 신앙을 돌아보게 하는 거울이 될지도 모른다.

로마 세계에서 그리스도교의 발흥을 연구하는 현대 역사가는 당대 그 과정을 경험했던 이들이 남긴 단순한 해석, 문제를 간편하게 만드는 해석을 그대로 따를 필요가 없습니다. 312년, 콘스탄티누스Constantine의 개종과 이후 급격한 변화에 직면하여, 그리스도교인들과 이교도 모두는 상황을 설명하는 서사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그리스도교인들은 성공을 설명해야 했고, 이교도들은 몰락을 변명해야 했습니다. 이 책의 첫 장은 4세기와 5세기 여러 그리스도교 공동체를 지배하던 그리스도교화 서사를 다룹니다. 그리고 사회 상황들과 사람들의 심성이 서서히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봅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라틴 세계에서는 기존의 승리 서사가 아닌 훨씬 더 냉정한 관점에 바탕을 둔 서사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이 새로운 관점은 그리스도의 초자연적 승리에 만족하기보다는, 그리스도교 세계에 여전히 깊이 뿌리내리고 있으며, 영향력을 행사하던 과거 이교의 영향에 주목했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주류 역사 서술에 따르면 비교적 짧은 기간, 즉 콘스탄티누스가 개종한 312년부터 테오도시우스 2세Theodosius II가 세상을 떠난 450년 사이에 고대 다신교 사회는 종말을 고했으며, 이 종말은 오랜 시간에 걸쳐 준비된 '유일신교의 승리'에 따른 결과였습니다. 4세기를 그리스도교와 고대 다신교의 대결로 점철된 시대로 보는 것도 같은 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지요. 사실 이러한 이해는 5세기 초에 등장한 탁월한 그리스도교 역사가와 논객, 설교자들이 구성한 종교사를 '재현'representation한 것입니다.2 이들은 이러한 묘사를 통해 피에르 쉬뱅Pierre Chuvin이 잘 표현했듯 실제로는 "휘청대는 세기"Wavering Century였던 4세기를 확고하고 단호한 서사로 정리해 냈습니다. 우리는 이 사실을 못마땅하게 여기기보다는 왜 이토록 명백히 그리스도교 중심의 관점이 당대 역사를 바라보는 방식으로 채택되었는지를 묻고 살펴보아야 합니다.

당시 그리스도교 저자들은 다른 종교 및 신앙에 대한 불관용을 거리낌 없이, 열정적으로 수용했습니다. 이 불관용은 교회의 승리를 서술하는 그리스도교 서사들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했고, 자유주의적 성향을 지닌 근대 역사가들은 이를 보고 충격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모습은 가능한 한 더 넓은 역사적 배경에 놓고 조망해야 합니다. 다른 종교, 다른 신앙에 대한 불관용은 고대 후기 사회가 권력을 행사하는 방식의 일부였습니다. 극도로 노골적인 형태뿐 아니라, 헤아릴 수 없이 많고 거의 기록되지도 않은 소리 없는 규제라는 형태를 통해서도 말이지요. 이런 움직임은 황제의 법령이나 주교들의 고압적인 발언, 수도사들의 과격한 행동으로만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좀 더 근본적인 차원에서 이 움직임을 좌우한 건 자신들이 지배하는 세계를 계속 통제하려 했던 후기 로마 사회 평균적인 권력자들의 권력 의지였습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피터 브라운
1935년생. 아일랜드 출신 역사가. 옥스퍼드 대학교 뉴 칼리지에서 고전학을 공부한 뒤 올 소울스 칼리지 프라이즈 펠로우Prize Fellow로 선출되어 박사과정 없이 곧바로 연구자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로열 홀러웨이 칼리지, UCLA를 거쳐 1986년부터 2011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 역사학과 필립과 베울라 롤린스 석좌교수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같은 칭호의 명예교수로 활동 중이다. 1971년에는 영국학술원, 1989년에는 미국 인문·과학 학술원 회원이 되었으며 하버드 대학교, 예일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등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고 2008년 미국 의회 도서관이 수여하는 존 W. 클러지 상을 받았다. 후기 로마 시기를 단순한 쇠퇴의 시기가 아니라, 새로운 종교적 상상력과 사회질서가 형성된 창조의 시기로 재정의함으로써 후기 고대사 연구라는 새로운 지평을 연 역사가로 평가받는다. 종교사학자 엘리자베스 클라크는 "오늘날 고대 후기 연구는 그가 만들어 놓은 지적 지도 위에서 움직인다"고 말했으며 역사가 피터 새리스는 "피터 브라운은 후기 고대라는 시대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역사를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에 대한 감수성 자체를 바꿔놓았다"고 평가했다.주요 저서로 『후기 고대 세계』The World of Late Antiquity, 『몸과 사회』The Body and Society, 『보물을 하늘에』Treasure in Heaven, 『기독교 세계의 등장』The Rise of Western Christendom(새물결) 등이 있으며, 『아우구스티누스』(새물결), 『성인숭배』(새물결) 등이 한국에 소개된 바 있다.

  목차

들어가며
1. 그리스도교화
- 서사와 과정
2. 불관용의 한계
3. 거룩함의 중재자
- 고대 후기 그리스도교의 성자
부록: 배우는 삶
인물 색인 및 소개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