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공정과 평화 아카데미
공정과 평화 아카데미는 공정과 평화의 가치를 추구합니다. 약칭하여 ‘공평클럽’이라 하는 바, 이는 공평의 사상, 즉 불공정·불평등·부정부패가 없는 사회, 그리고 국가(또는 사회집단) 간 무력사용에 따른 재난인 전쟁 없는 세상뿐 아니라 생명의 고귀한 가치를 중시하여 기후재난·생태파괴로부터도 평화로운 자연을 지키는 세상을 지향합니다.
발간에 부쳐
추천의 글
1. 박승
2. 용혜인
3. 김준혁
연구 논단
1. 지속가능발전, 우리가 살고 싶은 사회에 이르는 길 김은경
2. 선감학원 아동인권침해 실태 및 피해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 강신하
3. 지방분권과 통일 지향적 헌법 개정 권형둔
4. 풀뿌리 민주주의 진화 과정, 헌법과 지방자치법 정순희
5. 서울시 안심소득, 기본소득의 대안이 될 수 없다 신지혜
6. 인공지능 시대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과 탈(脫)지능주의 박상일
칼럼 - 위기 극복을 위한 제도 개선
1. 공정한 사회를 위한 공존의 길, 남녀동수정치 신명
2. 기본사회를 향한 시대적 과제: 양극화 완화와 국토균형발전 임배근
3. 노동의 상생적 공론장을 위하여 이병훈
4. 12·3 계엄 참회록: 자치교육과 주민자치 활성화를 통해 성숙한 민주시민사회로 나아가야 장재옥
5. 초고령사회에서 평화로운 노년의 집, 우리 법은 준비되었는가? 윤태영
6. 이재명 시대와 지방자치, 그리고 K-민주주의 정왕룡
7. 가계부채 비극 막을 길, 금융복지 원스톱센터에 있다 백주선
8. 지방정부 민간위탁 노동센터의 전국화가 시급하다 박재철
9. 청년고용의 현황, 문제 및 정책방향 모색 송수종
10. 한국의 저출생 위기의 해법 편해성
11.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지금 서둘러야 하는가? 박정인
12. 지속가능한 친환경농업을 위한 정책 방향 오형근
13. 남아공 G20에서 대한민국은 무엇을 이야기할 것인가? 이영란
14. 수평 윤리로의 전환과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 손덕기
15. 공정과 평화 아카데미 4년을 돌아보며 박상일
칼럼 - 위기 극복을 위한 의식의 전환
1. 내가 생각하는 공정과 평화 이정세
2. 연민이 정치를 할 때 김영순
3. 민주주의의 본질은 ‘국민에 의한 정치’입니다 손덕기
4. 전봇대와 공정에 관한 소소한 이야기 이동일
5. 갈등의 치유와 통합을 위한 사색(思索) 김옥성
6. 공동체 내 다양성과 공정의 긴장과 조화 변용완
7. 현재는 미래에게 사회통합으로 답해야 한다 왕성옥
8. 민주국가, 그리고 시민의 책임과 권리 사이 박순길
9. 『법 앞에서』의 정치: 데리다와 라투르를 통해 본 ‘법 블랙박스’ 백우인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