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시집 『진달래꽃』 출간 100년, 소설 김소월이 돌아왔다. 자신의 전 생애 그 하루하루 속에 간단없이 굽이쳤던 희로와 애환을 모두 데리고 우리 곁에 왔다. 아버지와 집안의 불행도 감추지 않고, 소녀와 나누었던 비련의 사랑도 숨기지 않고, 유학차 잠시 머물렀던 일본 도쿄에서 겪어야 했던 관동대지진과 그때 일본인들이 우리 겨레에게 벌였던 잔혹한 폭력의 양상도 고스란히 들려준다.
출판사 리뷰
충남 홍성에서 태어나 주로 남한에서 활동한 한용운(1879~1944)의 행적에 비하면 김소월의 생애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문인들과의 교유와 서울 나들이를 좀체 하지 않은 채 서른셋을 일기로 요절한 탓이겠으나 매우 안타까운 일입니다. 우리 겨레가 가장 사랑하는 시인의 생애를 몇 가지 개념적인 진술만으로 얼버무릴 수는 없는 일인데도 말입니다.
좀처럼 달랠 길 없는 이 아쉬움을 헤아렸는지 김소월 시인이 백 년의 시공을 건너 직접 찾아왔습니다. 지나는 길에 그냥 잠시 들른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전 생애 그 하루하루 속에 간단없이 굽이쳤던 희로와 애환을 모두 데리고 우리 곁에 왔습니다. 아버지와 집안의 불행도 감추지 않고, 소녀와 나누었던 비련의 사랑도 숨기지 않고, 유학차 잠시 머물렀던 일본 도쿄에서 겪어야 했던 관동대지진과 그때 일본인들이 우리 겨레에게 벌였던 잔혹한 폭력의 양상도 고스란히 들려줍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정
충남 논산에서 태어났다. 2010년 《계간문예》로 등단했다.경향신문 민족네트워크연구소 부소장,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위원, 통일문학포럼 상임이사를 지냈다. 작품으로는 장편소설 『국경』(문체부 우수교양도서), 『압록강 블루』(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기금 수혜작) 등과 단편소설집 『그 여름의 두만강』이 있다. 한국소설문학상을 수상했다.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1장 김억과의 만남
2장 거미줄과 잠자리
3장 3·1독립운동과 폐교
4장 배재고보 시절과 도일
5장 귀국과 생업
6장 이별
에필로그
김소월 연보
작가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