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권석만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부 및 대학원 졸업(임상심리학 전공)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연수원 과정 수료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철학박사(임상심리학 전공)임상심리전문가 1급(한국심리학회)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보건복지부)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교수 역임(1993년~2023년)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상담부장 역임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생부학장 역임한국임상심리학회장 역임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장 역임(사단법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원장 역임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명예교수케이(K)긍정심리연구원 원장.
지은이 : 미산
KAIST 명상과학연구소 소장이자 상도선원 선원장, 하트스마일명상연구회 회장. 1972년 백양사로 출가한 이래 봉암사와 백양사 운문선원 등에서 간화선 수행을 했으며, 인도와 미얀마에서 초기불교 명상 수행을 했다. 동국대학교 선학과를 졸업했으며,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문헌을 연구하여 인도 뿌나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 동양학부에서 〈남방불교의 찰나설의 연구〉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하버드 대학교 세계종교연구소 선임연구원, 중앙승가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현대인을 위한 자비 명상 프로그램인 하트스마일명상을 계발하여 누구나 일상에서 자비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저서로 《미산스님의 초기경전 강의》, 공저로는 《행복, 채움으로 얻는가 비움으로 얻는가》 《자비, 깨달음의 씨앗인가 열매인가》 《마음, 어떻게 움직이는가》 《인생교과서 부처》가 있으며, 역서로는 래리 로젠버그의 《일상에서의 호흡명상, 숨》 《호흡이 주는 선물》(공역) 등이 있다.
지은이 : 월암
1973년 경주 중생사에서 동헌 대선사를 계사로, 도문 대종사를 은사로 사미계를 수지하였고, 해인사에서 고암 대선사를 전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하였다. 중국에 유학하여 중원의 여러 선종 조정을 참학하고, 백림선사, 진여선사, 남화선사, 용천선사 등의 선원에서 안거 정진하였다. 북경대학교 철학과에서 중국 철학을 공부하고 선학을 전공하여 「돈오선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백양사, 화엄사, 마곡사, 봉암사, 정혜사, 벽송사, 대승사, 기기암, 백담사, 한산사 등 제방 선원에서 수선안거하였다. 지리산 벽송사와 영천 은해사 기기암에서 선원장 소임을 지내며 선풍 진작에 힘썼으며, 전국선원수좌회 의장을 역임하면서 선학 정립과 선원 발전에 기여하였다. 지금은 문경 한산사 용성선원에서 정진하며 사부대중 수행공동체 불이선회를 이끌고 있다.저서로는 『간화정로』, 『돈오선』, 『친절한 간화선』, 『선원청규』(주편), 『좌선요결』, 『니 혼자 부처 되면 뭐하노』, 『생각 이전 자리에 앉아라』, 『선율겸행』, 『전등수필 1』 『전등수필 2』 등이 있다.
지은이 : 정준영
초기불교 학자이자 명상 지도자로, 30여 년간 불교 수행을 실천하며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바라보는 길을 전해온 수행자다. 현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명상학 전공 교수로 20년째 재직 중이며, 스리랑카 국립 켈라니아대학교에서 위빠사나 수행을 주제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그는 한국의 안국선원을 비롯해 미얀마, 스리랑카, 태국, 미국, 캐나다 등 세계 30여 곳의 수행처에서 뛰어난 스승들에게 배움을 얻으며 명상의 길을 걸어왔다. “수행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우리 안에 있다”는 깨달음을 바탕으로 집착과 번뇌에서 벗어나 행복에 가까워지는 길을 이론과 실천 양면에서 안내하고 있다.빠알리어 경전을 번역하는 경전연구소 상임연구원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불교와심리연구원 원장으로서 불교의 지혜와 현대 심리학의 접점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한마음연구》의 편집위원장을 맡아 학문적 기여를 이어가고 있다.저역서로는 《있는 그대로》, 《위빠사나》, 《몰입이 시작이다》, 《어려울 때 힘이 되는 8가지 명상》, 《불교의 기원》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추론적 위빠사나의 실천 재고》, 《명상의 부작용과 불교적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초기불교의 사띠와 현대심리학의 마음챙김》 등 60여 편을 발표했다. 명상 지도자이자 연구자인 그는 학문과 실천을 아우르며 초기불교와 현대인의 삶을 잇는 다리를 놓고 있다.
지은이 : 성해영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 서울대에서 종교학 석사학위를, 미국 라이스대학에서 종교심리학과 신비주의의 비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과 논문으로 『수운 최제우의 종교체험과 신비주의』,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탄트라의 종교 사상 비교」, 「‘무종교의 종교’ 개념과 새로운 종교성」 등이 있다. 종교체험의 비교 연구를 통해 영성과 종교성을 탐구하는 것이 주된 관심이다.
지은이 : 엄성민
데이터리퍼블릭 대표
기획자 서문·5
성찰과 정진을 통해 성장하고 평안하길 기원하며
편집자 서문·9
수행, 초탈인가 치유인가
{초기불교} 수행과 명상의 현대적 의미 ― 정준영·39
1. 무엇을 얻고자 하는가?·40
2. 초기불교 수행과 명상·41
1) 수행과 명상·42
2) 선정과 외도 수행·67
3. 초기불교 수행의 현대적 적용·77
1) 삼학과 정학·77
2) 초기불교의 수행과 현대 심리치료의 명상·87
4. 초기불교 수행과 현대 심리치료의 상호보완·99
1) 초기불교와 현대 심리치료의 한계·99
2) 수행과 명상의 상호보완성·109
5. 집중에서 지혜로·116
참고문헌·119
{선불교} 선禪의 수행과 깨달음 ― 월암·125
1. 심신치유와 생사해탈의 길·126
2. 조사선의 수행과 깨달음·129
1) 수행과 깨달음·129
2) 수와 오의 선후와 견성성불·142
3. 간화선의 수행과 깨달음·155
1) 화두 참구로 나아가기·155
2) 화두 참구의 과정·164
3) 화두 타파 이후·175
4. 선―대동세상의 실현·182
참고문헌·185
{불교&명상과학} 불교수행과 명상과학 ― 미산·엄성민·187
프롤로그·188
1. 무엇을 얻고자 하는가?·190
1) 해탈·열반·깨달음 vs 심신의 건강·190
2) 현대인의 삶과 수행의 접점·192
2. 불교 전통과 수행의 목적·193
1) 초기불교의 해탈과 열반·193
2) 대승불교의 보살도와 중생구제·195
3) 선불교의 견성과 일상의 깨달음·197
4) 한국불교의 특수성과 선명상의 등장·199
3. 불교수행과 치유의 만남·201
1) 대승불교의 수행 이론과 실제·201
2) 중관·유식·여래장 사상의 수행론과 치유관·203
3) 화엄사상의 법계연기와 불이중도·204
4) 선수행과 심리치료·206
5) 조계종 미래본부의 선명상 선양·207
6) 전통 간화선과 현대 수불선·210
4. 불교수행과 현대 심리치료의 접점·217
1) 불교와 현대 심리치료의 충돌과 조화·217
2) 초월적 목적과 현실적 치유의 통합·221
3) 불교수행과 명상과학·222
4) 불교수행 기반 현대 심리치료 프로그램·225
5) 불교수행 기반 한국 심리치료 연구 및 학회 활동 현황·227
6) 자비명상을 통한 긍정성 함양·231
5. 인공지능시대의 불교: 불교 용어의 수학적 정의·235
1) 연구 배경과 목적·235
2) 불교용어의 수학적 정의 방법론·239
3) 올바른 주의의 수학적 정의·243
4) 명료한 알아차림의 수학적 정의·247
5) 올바른 주의와 명료한 알아차림의 관계에 대한 수학적 정의·251
6) 최적화 에이전트로서의 올바른 주의와 명료한 알아차림·254
7) 인공지능 시스템을 통한 실천적 구현·258 | 8) 한계점과 미래 연구 방향·262
6. AI 디지털 시대에 초탈과 치유의 메타 융복합적 전망·269
1) WisX AI 장르를 통한 지혜 전통과 현대 과학의 창조적 만남·270
2) 미래 사회에서 불교수행의 역할·273
3) 공진화를 향한 메타 융복합적 여정·276
에필로그·281
부록: 수학 용어집·285
참고문헌·287
{종교학} ‘신성한 독서(Lectio Divina)’와 수행 전통의 통합적 이해 ― 성해영·299
1. 들어가는 글: ‘수행’ 개념을 통해 본 동·서양의 만남·300
2. 가톨릭의 ‘신성한 독서’와 ‘관상’·301
1) ‘신성한 독서’란?·301
2) ‘신성한 독서’의 네 단계·303
3) 테오리아에서 관상으로·308
4) ‘신성한 독서’와 신비주의·314
3. ‘영적 수행’ 전통의 상실과 오해·318
1) ‘신성한 독서’와 엘리트주의·318
2) 동양 명상의 전파와 오해의 시작·319
4. 동서양의 역동적 만남·321
1) 서양, 동양의 구루를 만나다·322
2) 미국이 기다렸던 동양의 스승들·324
3) 동양 구루들은 왜 큰 인기를 끌었을까?·328
4) 파티가 끝난 후·330
5. 현대인과 명상 수행·332
1) ‘신성한 독서’의 재발견과 ‘관상학’·332
2) 치유 혹은 초탈?: 영적 우회와 명상의 세속화·335
3) 여전히 남는 물음들·339
6. 나가는 말: ‘신성한 독서’와 ‘대극의 통합’·343
참고문헌·346
{심리학} 구도적 수행의 심리학 ― 권석만·351
1. 구도적 수행의 의미·352
2. 구도적 수행의 심리적 여정·355
1) 구도의 동기·355
2) 구도의 길과 수행 방법의 선택·361
3) 수행의 정진과 위기·374
4) 수행의 결과·385
3. 자아초월 심리학과 구도적 수행·393
1) 자아초월 심리학·393
2) 의식의 발달 수준·394
3) 자아초월과 영적 성장을 위한 통합적 수련·399
4) 죽음에 대한 세 가지 자세·408
4. 21세기 현대사회와 구도적 수행·417
1) 초고령사회에서의 구도적 수행·418
2) 노년기의 수행: 노년 초월·420
3) 수행을 통한 치유와 초탈·425
참고문헌·428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