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대한예수교장로회의 형성과 개교회 기록물 이미지

대한예수교장로회의 형성과 개교회 기록물
동연출판사 | 부모님 | 2025.09.01
  • 정가
  • 20,000원
  • 판매가
  • 18,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0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386Kg | 276p
  • ISBN
  • 9788964470893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2024년 연세학연구소 주관으로 개별 교회의 기록물을 연구하여 발표한 두 차례 학술대회의 결과물이다. 이 기록물은 개별 교회의 역사뿐만 아니라 언어(국어)와 생활 문화, 갈등 조정 및 의사결정 방식, 인권과 젠더, 사회 변화 대응 방식 등을 고찰할 수 있는 공적인 성격을 지녔다.

연세학연구소는 일제강점기에 창립된 연세대학교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그 가운데 본 대학의 설립자인 호러스 G. 언더우드 선교사의 활동도 대학 역사의 한 부분으로서 연구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연세학연구소는 다섯 명의 전문가로 연구진을 구성하여 2023년 4월부터 관련된 교회의 기록물을 수집하고 연구하는 사업을 진행하였다.

  출판사 리뷰

당회록을 통해 본 대한예수교장로회와 신앙 공동체

이 책은 2024년 연세학연구소 주관으로 개별 교회의 기록물을 연구하여 발표한 두 차례 학술대회의 결과물이다. 이 기록물은 개별 교회의 역사뿐만 아니라 언어(국어)와 생활 문화, 갈등 조정 및 의사결정 방식, 인권과 젠더, 사회 변화 대응 방식 등을 고찰할 수 있는 공적인 성격을 지녔다.
연세학연구소는 일제강점기에 창립된 연세대학교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그 가운데 본 대학의 설립자인 호러스 G. 언더우드 선교사의 활동도 대학 역사의 한 부분으로서 연구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연세학연구소는 다섯 명의 전문가로 연구진을 구성하여 2023년 4월부터 관련된 교회의 기록물을 수집하고 연구하는 사업을 진행하였다.
연세학연구소는 연세가 쌓아온 학문의 성과와 사회적 기여를 살피고, 연세의 이념과 자산을 돌아보기 위해 연구 논집과 자료집을 다음과 같이 편찬했다.
언더우드의 초기 행적을 주목하여 정주 선교사가 입국한 후 신앙의 표준과 장로회 정치를 사용하는 개별 교회의 설립, 그리고 기록물을 생산하고 보관하는 규칙을 마련하기까지 약 20년간의 시기를 숙고하였다. (정운형) 김포읍교회와 새문안교회에서 분립한 세교리교회(現 서교동교회), 양평리교회(現 양평동교회)의 당회록과 교우문답집 등을 자세히 살펴, 각 교회가 신앙공동체를 보존하기 위해 분투한 것을 살폈다. (문백란) 초기 기독교교육이 신앙과 제도화에 기여하고, 나아가 식민지를 벗어나게 하는 동력이 된 것과 당회록(김포읍교회)에 나타난 권징(勸懲)과 치리(治理)가 교회의 외적 제도를 확립하고 신자의 생활을 표준화하는 목표를 구현하는 수단이었음 밝혔다. (박종현) 김포에서 나고 자라 목회하며, 김포읍교회의 설립연도를 고찰했다. (김진수) 새문안교회 교회역사자료위원의 차재명 목사 소고를 실었다. (박장미)
당회록은 한국장로교회의 구체적 역사를 담고 있는 소중한 역사적 기록물이다. 한국에 개신교회가 정착하던 시기부터 지역의 최소 단위 신앙 공동체인 교회의 대의적 행정기관인 당회는 쉬지 않고 일어나는 교회의 사안을 이해하고, 숙고하고, 결의하여 신앙 공동체를 유지해야 했다. 그런 점에서 당회록 연구는 한국장로교회 역사 연구의 필수적 요소다. 그럼에도 당회록을 사료로 연구한 경우가 희박하다. 그런데 이번 『대한예수교장로회의 형성과 개교회 기록물』에서 다섯 분의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당회록을 기초 사료로 지역 교회의 역사적 연구가 본격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작지만 한국 개신교 연구의 새로운 길을 열었다 평가한다.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연속적인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언더우드는 알렌(Horace N. Allen, 1858~1932)의 제안으로 설립된 제중원의 교사로 활동하며, 언문을 배우는 가운데 여러 모양의 선교 준비 활동을 펴 한국 개신교의 형성과 제도화를 실질적으로 선도하였다. 그는 고아원 사업과 전염병 퇴치 운동으로 정부의 신임을 얻는 한편 서민들의 양이(洋夷) 감정을 누그러뜨렸다. 또한 기독교 자료 번역, 첫 교회 조직과 순행전도 그리고 지도자 양성 과정(신학반) 개설, 선교 기관과 교회 설립, 신문 발간 등을 통해 포교 기반과 자원의 확보12에 심혈을 기울였다. 나아가 후임 선교사들과 함께 한국 개신교의 한 축인 ‘대한예수교장로회’를 설립하여 한국 전역에서 개신교가 정착할 수 있는 기틀을 다져놓았다.
1부 _ 〈정운형 _ 언더우드의 초기 활동과 대한예수교장로회〉 중에서

김인서와 주기철과 같은 복음주의 신앙, 조선 장로교회의 높은 신앙고백, 역사적 환란을 견디어낸 순교자적 신앙도 이러한 당회로부터 시작된 풀뿌리 신앙 교육에서 시작하였다. 장로교회 농촌부의 배민수, 유재기, 최문식의 농촌활동은 조선 장로교회가 순교자적 복음신앙 뿐 아니라, 하나님의 나라를 역사 속에 구현하려는 하나님 나라의 신앙을 조선의 농촌에 구현하려던 예수촌의 꿈을 잉태하기도 하였다.
1부 _ 〈박종현 _ 당회록에 나타난 조선예수교장로회의 제도화 이행 과정〉 중에서

김포읍교회(현 김포제일교회)는 청일전쟁 직후에 김포 지역에 설립된 첫 교회이다. 김포 지역에 복음이 전달되고 그에 따른 개종이 이루어지는 시기는 미 북장로회가 다른 장로회와 함께 선교공의회를 이루어 개신교 신경과 장로회 정치를 사용하는 연합교회 설립을 목표한 직후이다. 이때는 선교회 차원에서 네비우스 선교 방법이 채택되고, 선교사뿐 아니라 새문안교회당에 개설된 신학반 과정을 수료한 전도인, 조사, 권서 등에 의해 「셩교촬리」, 「중생지도」, 「덕혜입문」과 같은 소책자가 보급되고 있었다. 그런데 김포 지역에서의 개종과 교회 설립은 선교사 또는 전도인/권서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한 주민이 복음을 접한 인근 마을을 방문한 이후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김포제일교회는 규정을 준수하여 당회록을 비롯해 8종의 기록물을 생산하여 비교적 온전히 보존하고 있다. 이 교회가 소장한 여러 기록물은 『사기』, 「그리스도신문」 그리고 언더우드가 설립한 교회 문헌과 비교 ․ 검토할 수 있으며, 특히 “교인명부”와 “입교인명부”는 한 사람의 회심에 따라 그 주변이 집단으로 개종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1부 _ 〈정운형 _ 대한예수교장로회의 창설과 김포읍교회〉 중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박종현
연세대학교 (B.A. Th.M. Ph.D.), 서울신학대학교 (M. Div.) 졸업명지대 교목. 관동대학교 교수 한국문화신학회 회장 역임연세대학교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전문연구원주요 저서: 『일제하 한국교회 신앙운동사』, 『한국교회사에 묻는 17가지 질문』, 『연세대학교연합신학대학원 50년사』, 『한국여성복음봉사단 50년사』, 『그리스도의사랑으로 세상을 치유하는 공동체』 등

지은이 : 문백란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졸업 (Th.M.),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졸업 (Ph.D.)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세학연구소 전문연구원 (현재)저역서 및 논문: 『(식민지시기) 재만조선인의 삶과 기억』, 서울: 선인, 2017. (공저)『연희전문학교와 음악』,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20. (공저)“언더우드와 에비슨의 신앙관 비교.” 「신학논단」 제84집 (2016)“연희전문학교 이사회 운영의 특징-중국 연경대학ㆍ일본 명치학원과의 비교 고찰을통하여.” 「동방학지」 제203집 (2023)

지은이 : 김진수
김포새누리교회 담임목사, 김포의병기념사업회 이사장, 김포 3.1만세운동연구소소장. 김포문화원 부원장 역임, 김포시지 편찬위원 역임저서: 『김포항일독립운동사』 (2006)『김포독립운동 조사자료집』 (2009)『조선왕조실록에서 김포역사를 찾다』 (2017)

지은이 : 정운형
연세대학교 졸업 (B.A),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졸업 (Ph.D.)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세학연구소 전문연구원, 연세대학교 객원교수 (현재)논문 및 저서: “언더우드의 선교지 결정과 출발.” 「東方學志」 제175집 (2016)“근대교회의 기록물 활용 방안.” 「교회사학」 제15권 제1호 (2020)『한국 근대의학의 선구자 해관 오긍선』. 역사공간, 2020『대한예수교장로회의 형성과 개교회 기록물』. 동연, 2025. (공저)

  목차

머리말

제1부 _ 대한예수교장로회의 설립과 전개

정운형언더우드의 초기 활동과 대한예수교장로회
I. 들어가는 말
II. 선교지 결정과 출발
III. 때를 기다리는 언더우드
IV. 핵심 전략

박종현당회록에 나타난 조선예수교장로회의 제도화 이행 과정
I. 들어가는 말
II. 1930년대 조선예수교장로회와 연합운동
III. 조선예수교장로회의 농촌운동
IV. 1930년대 장로교회의 발전의 토대로서 당회의 성장과 조직화
V. 당회록을 통해 본 장로교회의 발전
VI. 나가는 말

정운형대한예수교장로회의 창설과 김포읍교회
I. 들어가는 말
II. 기독교 전래와 한국선교회
III. 한국장로교회의 조직
IV. 김포읍교회 설립 과정
V. 나서는 말

김진수김포의 첫 개신교 김포읍교회 설립 연도 고찰
I. 머리말
II. 설립과 『사기』(史記) 기록
III. 『사기』(史記) 기록 해석의 문제
IV. 김포읍교회 초기 신자와 교회 설립

제2부 _ 한국교회의 신앙 공동체 형성

박종현김포 지역 교회 당회록을 통해 본 초기 한국교회의 신앙 공동체
I. 서론
II. 김포교회의 지리적 성격
III. 김포교회 당회록에 나타난 책벌과 그 이해
IV. 이명증서와 한국 장로교회
V. 나가는 말

문백란한국교회 제도화 시기 신앙 공동체 형성을 위한 지역 교회의
분투 (1) 김포읍교회 당회록을 중심으로
I. 머리말
II. 한국교회 제도화와 김포읍교회 직원 구성
III. 김포읍교회 당회록 내용 분석
IV. 맺음말: 김포읍교회 운영의 특징과 의의

문백란한국교회 제도화 시기 신앙 공동체 형성을 위한 지역 교회의
분투 (2) 세교리교회 당회록과 양평리교회 교우문답집을
중심으로
I. 머리말
II. 세교리교회 당회록과 양평리교회 교우문답집 내용 분석
III. 맺음말

박장미차재명(車載明) 목사 소고
I. 들어가는 말
II. 차재명의 일생 ― 목사가 되기까지
III. 목사로서 차재명의 생애
IV. 맺는말
차재명(車載明) 목사 연보


편집 후기

지은이 알림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