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윤철호
장로회신학대학교 명예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Th.B., M.Div.), 프린스턴신학교(Th.M.), 노스웨스턴대학교(Ph.D.)에서 수학. 30년간 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봉직, 현재 미래신학연구소 대표. 대한민국학술원 등의 기관으로부터 일곱 번의 저술 수상.주요 저술: A Compendium of Christian Theology 등 16권의 저서와 7권의 편역서 그리고 7권의 책임편집 및 공저를 저술,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100여 편의 논문 발표.
지은이 : 최인식
서울신학대학교 명예교수서울신학대학교, 독일 베를린신학대학원 수학(Dr.theol.)주요 저술: 『예수와 신학』, 『예수와 대화』 외 다수.
지은이 : 김흡영
세계과학종교학술원(ISSR) 펠로우, 예일대 종교와생태포럼 자문위원강남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Graduate Theological Union 아시아 저명 신학자, 아시아신학자협의회(CATS) 공동의장, 한국조직신학회 회장 등 역임. 과학, 기술, 생태와의 대화를 포함한 종교 간 신학 분야에서 폭넓게 저술 활동.주요 저술: 『왕양명과 칼바르트: 유교-기독교 대화』, 『도의 신학 1, 2』, A Theology of Dao, Theodao II: Advancing K-Theology in the Anthropocene 등 다수.
지은이 : 이오갑
강서대학교 명예교수프랑스 몽펠리에 개신교신학대학 신학박사.주요 저술: 『한국교회, 신학에서 길을 열다』, 『한국 기독교 개혁의 테마 20』, 『칼뱅, 자본주의의 고삐를 잡다』 (한국연구재단 우수성과 교육부총리상), 『칼뱅의 신과 세계』 (한국기독교학회 소망학술상), 『칼뱅의 인간』, 『종말론, 무엇이며 어떻게 볼까』 외 저, 역서, 논문 등 다수.
지은이 : 장왕식
감리교신학대학교 명예교수감리교신학대학교와 미국의 Garrett-Evangelcal Theological Seminary에서 수학, Claremont Graduate School에서 화이트헤드의 철학과 과정신학을 연구하여 Ph.D. 취득.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종교철학 교수로 봉직한 후 은퇴. 현재 ‘인문사회연구소 백두’ 운영 중.주요 저술: 『동양과 서양 종교철학에서 만나다』, 『화이트헤드 철학 읽기』, 『종교적 상대주의를 넘어서』 등.
지은이 : 이정배
감리교 신학대학교 명예교수스위스 바젤대학교 신학부 졸업(Dr.Theol). 顯藏아카데미 원장.주요 저술: 『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 空 ․ 公 ․ 共』, 『가득소리, 가온소리, 바닥소리― 신학 주제로 풀어 쓴 다석 한글 시』, 『한국 개신교 전위 토착신학 연구』 외 다수.
책을 펴내며
최인식 ∙ K-신학 방법론, 오미자 모델
— A Methodology of the K-Theology: The Model of Omija (Magnolia Berry)
I. 들어가는 말: 문제 제기
II. K-신학 구성을 위한 한국신학의 유형화
III. ‘오미자 모델’로서의 K-신학 방법론
IV. ‘오미자 모델’로 본 K-신학
V. 맺는말
이정배 ∙ 동학과 개벽 신학
― 多夕의 ‘바탈’론과 李信의 ‘역사유비’에 근거한 개벽 기독교 소론
I. 들어가는 글
II. 동학 개벽사상의 연구 추세와 상호 논쟁점
III. ‘다시 개벽’의 오리지널리티를 찾아 — 선진 유학을 넘어 단군신화로
IV. 『천부경』의 삼재론과 역사유비를 통한 ‘개벽 신학’의 틀 짜기
V. 기독교의 동학적 재구성과 개벽 신학의 세 토대 — 공(空) ․ 공(公) ․ 공(共)
VI. 짧은 마무리: 개벽 기독교를 선언하며
윤철호 ∙ K-신학 방법론 수립을 위한 화쟁사상의 의미
I. 서론
II. 『십문화쟁론』이란?
III. 『십문화쟁론』의 내용
IV. 배타적 견해의 쟁론을 조화시키는 화쟁의 논법
V. 결론
김흡영 ∙ 도의 신학 인식론
― 탈식민지화 시대의 글로벌 K-신학을 향하여
I. 서론: 한국의 신학적 식민주의와 도의 신학(Theodao)
II. 우금치현상: 도의 신학 인식론의 우화
III. 기(氣)-인식론: 자연의 전복적 지혜
IV. 태극(太極) 인식론과 존재 — 우주적 복원력 및 자연의 전복적인 춤
V. 도(道)의 음(여성) 인식론과 전복적 귀환의 힘
VI. 결론: 탈식민지화 시대의 글로벌 K-신학으로서 도의 신학 인식론
장왕식 ∙ 탈-신학 시대의 K-신학
― ‘자연주의 유신론’을 중심으로
I. 들어가는 말
II. 한국적 신학의 현주소: 유신 진화론 vs. 지동설
III. 철학적 논리의 세속화와 탈-종교 시대
IV. 신 없는 자연주의: 탈-신학 시대의 도래
V. 신 있는 자연주의: 세속적 자연주의를 넘어서
VI. K-신학의 일리(一理): 자연주의 유신론
VII. 나오는 말
이오갑 ∙ K-신학의 조건과 미래
― ‘불안’과 관련해서
I. K-신학의 전제와 불안
II. 한국의 신학들
III. 교리적 보수주의
IV. 실천적 보수주의
V. 정치적 보수주의
VI. 성령중심주의
VII. 한국적 신학
VIII. 실재의 불안과 한국신학의 불안 극복
IX. 한국신학을 넘어서 K-신학으로
지은이 알림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