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교과서는 교과서일 뿐이다’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러면서 ‘과연 조선 여성들은 유교 젠더 규범에 순응하면서 살았을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분야로 따지면 법과 제도사부터 생활사까지 다채롭다. 이 책을 통해 조선 유교 젠더의 형성 과정과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유교로 중무장한 조선 남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정치‧사회경제적‧성적 권리와 권력을 쟁취하고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 노력했는지, 그와 동시에 여성들이 이에 어떻게 반응했는지 확인한다. 먼저 남성들의 유교 젠더 규범 세우기 작업을 파고든다. 조선 젠더와 관련된 법과 제도, 병풍에까지 새겨서 사생활까지 파고들게끔 만든 시집살이 지침서를 분석하였다. 유교(성리학) 이상주의자들이 조선 건국 이전부터 시작한 유교 젠더 규범 만들기에 집중한다. 조선 여성의 성적 족쇄가 되었던 재혼 금지법이나, 혼례‧장례‧제사를 유교식으로 전환하여 여성의 권리와 활동 영역을 친가가 아닌 시가로 옮긴 과정을 다룬다.유교 젠더 규범에 따르면…이상적 여성상은 남성을 위해 덕과 재주를 쓰는 현명한 부인, 남성을 위해 순종하는 요조숙녀였다. 이때 공부하는 사대부 남성은 학문과 의례를 익히면서 여성을 이끌고 제재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반면 여성은 지도자인 남성을 보조하기 위해 옷감을 짜고 음식을 만드는 역할을 맡는다.
《경제육전經濟六典》은 건국의 주역인 정도전이 쓴 법전류의 서적인데…사족 여성이 대면할 수 있는 사람은 부모, 친형제, 친자매, 부모의 형제자매, 시부모인데, 그 외의 사람을 만나면 ‘실행’이므로 정절을 잃은 상태로 간주해야 한다고 정했다.
여성의 정절 지키기는 단 한 사람의 남성(남편)과 그의 집안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자, 혼인제도에 단단히 묶여 있는 규범이었다. 유교에서는 이것을 ‘우주의 법칙’으로 정의했다. 부부는 인륜의 근본이기 때문에 부인은 삼종三從의 의리는 있어도 개가改嫁, 즉 재혼하는 도리는 없다는 신념이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하여주
부산시 시사편찬 연구위원. 누구나가 그렇듯 우연과 필연이 낳은 기회로 여성과 젠더 연구를 시작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조선 후기 유교 젠더 규범과 양반 여성의 대응〉이다. 조선 역사 속에서 정치를 통해 성차가 구성되는 과정을 밝히는 데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가령, 성차의 본질처럼 보이는 인체조차 만들어졌다고 생각한다. 시대의 맥락에 따라 인체관은 변해 왔기 때문이다. 앞으로 젠더사 연구를 통해 유교의 나라 조선이 이룩했다고 하는 전통이 가진 역설과 양면성을 파헤치고 싶다. 저서로는 《여성사, 한 걸음 더》(공저, 2024), 논문으로는 〈《계녀서》의 탄생과 ‘조선식’ 유교 젠더 규범의 성립〉(2022), 〈‘권취신 옥사’로 본 조선 후기 유교 이데올로기의 이중성〉(2023)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