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리뷰
프랑스《르몽드》의 자매지로 전세계 27개 언어, 84개 국제판으로 발행되는 월간지‘진실을, 모든 진실을, 오직 진실만을 말하라’라는 언론관으로 유명한 프랑스 일간지 《르몽드(Le Monde)》의 자매지이자 국제관계 전문 시사지인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는 국제 이슈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참신한 문제제기로 인류 보편의 가치인 인권, 민주주의, 평등박애주의, 환경보전, 반전평화 등을 옹호하는 대표적인 독립 대안언론이다. 미국의 석학 노암 촘스키가 ‘세계의 창’이라고 부른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폭력성을 드러내는 데에서 더 나아가 ‘아탁(ATTAC)’과 ‘세계사회포럼(WSF, World Social Forum)’ 같은 대안세계화를 위한 NGO 활동과, 거대 미디어의 신자유주의적 논리와 횡포를 저지하는 지구적인 미디어 감시기구 활동에 역점을 두는 등 적극적으로 현실사회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발행인 겸 편집인 세르주 알리미는 “우리가 던지는 질문은 간단하다. 세계로 향한 보편적 이익을 지속적으로 추구하면서 잠비아 광부들과 중국 해군, 라트비아 사회를 다루는 데 두 바닥의 지면을 할애하는 이가 과연 우리 말고 누가 있겠는가? 우리의 필자는 세기의 만찬에 초대받은 적도 없고 제약업계의 로비에 휘말리지도 않으며 거대 미디어들과 모종의 관계에 있지도 않다”라고 하면서 신자유주의적 질서에 맞서는 편집진의 각오를 밝힌 바 있다.
한국 독자들 사이에서 ‘르디플로’라는 애칭으로 불리는《르몽드 디플로마티크》는 2014년 현재 27개 언어, 84개 국제판으로 240만 부 이상 발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8년 10월 재창간을 통해 한국 독자들과 만나고 있다(www.ilemonde.com 참조). 이 잡지에는 이냐시오 라모네, 레지스 드브레, 앙드레 고르즈, 장 셰노, 리카르도 페트렐라, 노암 촘스키, 자크 데리다, 에릭 홉스봄, 슬라보예 지젝, 알랭 바디우 등 세계 석학과 유명 필진이 글을 기고함으로써 다양한 의제를 깊이 있게 전달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에게 “관세”는 “사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다. 그렇다면 좌파에게는 어떨까?
오늘날 미국 대통령이 보호무역에 민족주의적 색채를 부여함에 따라 당혹스러워하고 있지만,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그들 역시 자신들만의 보호무역주의를 자랑스럽게 옹호했었다.
<또 다른 보호무역주의는 여전히 가능하다> 中
한때 세계화는 모두에게 기회의 땅처럼 여겨졌다. 값싼 노동력, 빠른 기술 확산, 무한한 시장. 하지만 지금 세계는 정반대의 길로 가고 있다. 디커플링(공급망 차단), 리쇼어링(해외 생산기지 복귀) 같은 흐름 속에서 세계화는 스스로 파국을 예고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도 그렇다.
<미·중 간 틈새에 놓인 차기 정부의 ‘선택’> 中
작가 소개
지은이 : 브누아 브레빌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부편집장. 역사학 박사, 파리 1대학 20세기 사회사연구소 연구원, 몬트리올퀘백대 교수 역임. 저서에 『Les mondes insurges. Altermanuel d'histoire contemporaine 반란의 세계, 현대사의 대안 편람』(공저, 2014), 『Manuel d'histoire critique 비평 역사 편람』(2014)이 있다.
목차
■ 이달의 칼럼
브누아 브레빌 | 또 다른 보호무역주의는 여전히 가능하다
성일권 | 미·중 간 틈새에 놓인 차기 정부의 ‘선택’
■ 포커스
르노 랑베르 | 중국이 주도권을 쥐다
에릭 알터먼 | 트럼프, ‘표현의 자유’와의 전쟁에 나서다
■ 지구촌
세르주 알리미 | 미국이 조장한, 동맹과 분열 사이에 놓인 유럽
말렌 라루엘 | 트럼피즘은 푸티니즘인가?
아리안 봉종 | 이스라엘과 튀르키예, ‘가장 가까운’ 앙숙의 갈등 모드
라크다르 벤치바 | 외교 단절로 치닫는 파리-알제 강경 대치
에리크 오노블 외 | 붉은 군대의 승리를 거부하는 우크라이나 시민들의 기억투쟁
셀수 아모린 | 두 강대국의 ‘투키디데스 함정’을 거부하는 브릭스
페터르 메르텐스 | 유럽 재무장에 반기 든 벨기에 좌파
■ 철학
페리 앤더슨 | “충격 없는 사상은 세상을 바꾸지 못한다”
■ 사회
소피 부를레 | ‘잠재적’ 범법자로 취급당하는 미성년자들
리사 지로 외 | 왜 판사를 비판해야 하는가
■ 환경
이안 어비나 | 인도양의 해초밭이 사라진다
■ 문화
에밀리 비커턴 | 청소년 문제로 어른들을 조명한《소년의 시간》
티모테 드 로글로드르 | ‘에소테리즘’ 유혹에 빠져드는 프랑스 청년들
팔로마 에르미나 이달고 | 오염된 ‘선의’로 포장된 감시사회
뱅상 시제르 | ‘법의 지배’가 ‘법치국가’보다 훨씬 명료한 개념
■ 한반도
성일권 | 공화국을 다시 세우는 일, 카르텔 철폐가 최우선
목수정 | 오른쪽으로 활짝 편 민주당의 ‘빅텐트’
김소영 | 소셜미디어가 해체한 탈근대적 진실
김경욱 | 캡틴 아메리카, 조커 그리고 ‘과잠’을 입은 청년들
6월의《르몽드 디플로마티크》추천도서
강은영 & 강혜영 | [연재] 강은영의 샹송이야기(3) - 에디트 피아프, 삶의 위기 속에서 희망을 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