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고구려 평양성과 그 연관 관계 연구 이미지

고구려 평양성과 그 연관 관계 연구
우리영토 | 부모님 | 2025.05.09
  • 정가
  • 23,000원
  • 판매가
  • 20,7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150P (5% 적립)
  • 상세정보
  • 16.5x24.5 | 0.475Kg | 250p
  • ISBN
  • 9788992407496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현재 우리나라 고대사의 역사지리는 장수왕이 천도한 고구려 평양성이 한반도의 평안도 평양이라는 규정 하에 짜여 있다. 이는 일제강점기의 <조선역사지리>에서 비정한 이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내용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은 장수왕이 천도한 평양성이 현 요녕성 요양이라는 것을 밝혀주고 있다. 이는 연차적으로 선후의 우리나라 역사지리 비정을 다시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본 연구서는 장수왕의 평양성이 현 요녕성 요양이면 그 앞 역사인 고조선과 전한의 4군, 삼한의 위치가 어떻게 될 것인지, 고대의 압록강은 어디인지, 고려의 국경이 어떻게 될 것인지 등 그 연관 관계에 대하여 연구한 책이다. 이러한 문제제기로 앞으로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어지기를 고대한다.한 나라의 역사는 주변국과의 관계가 상대적이기 때문에 실체성이 증명되어야 하고 연대와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범위가 설정되어야 한다. 이 연대와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여러 연구방법을 활용하는데 그 첫째는 문헌 기록의 활용이고 그 다음은 고고학의 활용이다. 문헌 기록이 풍부하게 남아 있는 시대에도 고고학은 활용된다. 문헌과 고고학이 같이 활용되면 연구가 더욱 더 구체적으로 증명이 되기 때문에 그 정확도는 높아진다. 동아시아 지역은 이 지역을 지배하는 특별한 정치적 종교가 없는 지역적 특수성 때문에, 각국의 대외정책도 유별날 정도로 역사적 근거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동아시아의 역사연구는 매우 과학적이라야 한다. 구한말 일본은 1차적으로 경제적으로 조선을 침략하고, 그 다음 정치적으로 침략을 하고, 마지막 단계로 역사를 조작하여 한국을 그들의 나라로 만들려고 하였다. 이러는 과정에서 그들이 가장 심혈을 기울였던 것이 바로 역사 교육을 통하여 조선을 뿌리째 흔들려고 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효시는 1892년 일본학자 하야시 다이스케(林泰輔)였다. 그는 일본어 『조선사(朝鮮史)』 라는 책을 썼는데 이 책은 당시 일본에 와 있던 외국 사람들도 읽고, 이 책을 토대로 한국을 이해하기 시작하였다. 이후의 일본 학자들은 몇 가지의 기준을 세우고 한국사를 연구했다. 즉, 한국사가 지역적으로는 반도에 국한되고(반도사관), 연대적으로는 2000년 밖에 안 되고, 중국인의 손에 의해서 세워진 나라로 외국의 지도아래 생존이 가능한 나라라는 공식을 만들어 한국사의 방향을 잡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반대로 한국의 5천년 역사를 차곡차곡 연구하여 많은 한국 사람을 이해시킨 학자들도 있었다. 이른바 민족주의 역사학자로 분류되는 신채호, 박은식, 정인보, 장도빈 선생과 같은 분들이 여기에 속한다. 그들은 역사의 사실과 한민족의 우수성을 근거로 일본과 싸웠다. 제도적으로 불리한 입장에서 일본과 싸워야 했지만 이들의 꾸준한 연구로 과거 일본이 왜곡한 한국사 중 일부를 바로 잡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미 일본이 왜곡해 놓은 역사 연구 결과들은 수정되지 못하고 점차 확산되었다. 일본의 연구결과는 그 후 한국현대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오늘날 동북아시아 국제사회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필자는 이런 점을 파악하고 일본이 편찬한 한국사들을 분석해보면서 일본학자들이 한국사를 편찬할 때 중대한 실수와 사료를 고의로 왜곡한 것 등을 확인하였다. 이런 일본학자들의 연구를 바로잡아야 한국민도 자신감이 생기고, 동북아시아 국제정세도 바로 잡힌다는 생각에 이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복기대
홍산문화, 하가점문화 등 요서 지역 고고학을 전공한 저자 복기대는 <고조선연구소>의 연구 작업을 통해, 일제강점기에 일본에 의해 우리나라 역사에 많은 왜곡이 행해진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역사지리에 대한 왜곡이 심하였다. 이에 이런 사실을 세상에 널리 알리고, 이를 바로잡고자 하는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목차

여는 글

고조선의 이해
I. 고조선 관련 시대별 인식
II. 고조선의 실체, 연대와 영역
III. 고조선의 국가 형성 및 발전
IV. 고조선의 대외교류
V. 맺음말

삼한, 그리고 그 후예들
I. 들어가는 말
II. 고조선의 붕괴와 삼한(三韓)의 성립
III. 마한의 위치
IV. 삼한의 각 위치 구분과 특징
V. 기원 전후 여러 나라의 형성
VI. 맺음말

전한(前漢)의 동역(동역)에 대하여
I. 머리말
II. 낙랑군 이해의 궤적
III. 차이나 전한(前漢) 중기의 국제정세와 대응
IV. 전한의 위만조선 분열 정책
V. 흉노의 위치와 위만조선의 위치
VI. 문헌 기록상의 낙랑군 위치
VII. 맺음말

고구려 도읍지 위치에 관하여
I. 머리말
II. 고구려 도읍지 관련 기록의 분석
III. 맺음말

압록강(鴨淥江)과 고구려 평양성
I. 압록강 연구의 중요성
II. 압록강에 대한 기록의 확인
III. 중세 시대의 압록강 관련 기록
IV. 조선시대 전반기의 압록강 관련 기록
V. 『봉천통지』에 나타난 요하
V. 현대의 압록강
VI. 맺음말

고려 국경에 대한 새로운 비정
I. 들어가는 말
II. 문헌기록을 근거로 한 고려 국경선
III. 맺음말

맺음말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