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러일전쟁  이미지

러일전쟁
일제 강점의 서막
역사공간 | 부모님 | 2025.08.28
  • 정가
  • 43,000원
  • 판매가
  • 38,700원 (10% 할인)
  • S포인트
  • 2,150P (5% 적립)
  • 상세정보
  • 14x21 | 1.019Kg | 784p
  • ISBN
  • 979115707657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러일전쟁은 대한제국의 운명을 결정지은 세계사적 전쟁이었다. 제국주의 열강의 이해관계가 한반도에서 충돌한 이 전쟁으로 인해 대한제국은 국권을 상실하고 정치·경제·정신적 기반이 붕괴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러시아나 일본 중심의 시각에 머물러 있었으며, 한국의 입장에서 전쟁을 총체적으로 다룬 연구는 드물었다.

『러일전쟁, 일제 강점의 서막』은 일본과 러시아의 외교문서, 군사기록 등 1차 사료를 바탕으로 전쟁의 원인과 전개, 이후의 외교 협상 과정을 종합적으로 재구성했다. 특히 패권국 중심의 해석을 벗어나 ‘한국인의 시선’에서 러일전쟁을 새롭게 읽어내며, 근대사의 비극적 출발점을 역사적 사실로 정밀하게 복원한 총체적 연구서다.

  출판사 리뷰

외교사 및 군사사 등의 단편적 해석에서 벗어나
러시아‧일본‧대한제국의 외교문서와 군사기록을 종합한
‘러일전쟁’의 새로운 해석


러일전쟁은 대한제국의 운명을 바꾼 세계사적 전쟁이었다. 이 전쟁은 세계 자본주의가 제국주의로 팽창하던 시기에 벌어졌고, 이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열강들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충돌하던 때였다. 다시 말해 러일전쟁은 제국주의 열강 간의 모순이 한반도에서 폭발한 사건이었다. 전쟁의 결과, 대한제국은 국권을 상실하고 정치·경제·정신적 기반에 이르기까지 국가 전체가 깊은 상처를 입었다. 더불어 학문과 사상의 단절이 일어나면서 전통에서 근대로 이어지는 지적·문화적 계승의 흐름 또한 무너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러일전쟁 연구는 대부분 러시아나 일본의 시각에 머물러 있었다. 전쟁의 외교사나 군사사에 집중한 단편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한국의 입장에서 전쟁을 종합적으로 바라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국내에서는 주로 지배정책사나 항일민족운동사, 사상사 분야에서 제한적인 논의가 진행되었을 뿐이다.
이에 『러일전쟁, 일제 강점의 서막』의 저자들은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했다. 이 책은 일본과 러시아의 외교문서, 군사기록 등 1차 사료를 바탕으로 러일전쟁의 원인과 전개, 그리고 그 이후의 외교적 협상 과정을 총체적으로 재구성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이 책이 기존의 패권국 중심 시각을 벗어나 ‘한국인의 시선’에서 러일전쟁을 다시 읽었다는 점이다. 전쟁을 단순히 제국 간의 충돌로 보는 것이 아니라, 대한제국의 운명을 뒤흔든 국제정치사의 전환점으로 새롭게 조명한다.
『러일전쟁, 일제 강점의 서막』은 지금까지 미진했던 러일전쟁 연구의 공백을 메우며, 한국 근대사의 비극적 출발점을 역사적 사실과 외교 사료에 근거해 정밀하게 복원한 ‘러일전쟁 총체사(總體史)’라 할 수 있다.

프롤로그에서는 『전쟁과 평화』의 저자 똘스또이가 전쟁을 비판하며 제시한 평화사상과 공동체적 대안을 조명하였다. 제1부 러일전쟁의 원인에서는 러일전쟁 직전 러시아와 일본과 대한제국의 외교사를 살펴보면서 러시아와 일본이 대한제국의 이권과 조차지를 주목한 이유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었다. 제2부 러일전쟁의 전개에서는 러시아와 일본의 군부와 해군부의 전략을 파악하면서 육전과 해전의 전투 과정을 종합적으로 설명했다. 제3부 러일전쟁의 영향에서는 러일전쟁을 바라보는 러시아와 일본의 시각을 살펴보면서 러시아와 일본과 대한제국의 포츠머스조약과 을사늑약 등에 관한 외교적 대응을 규명하려고 노력했다. 에필로그에서는 러일전쟁의 희생양으로 지목된 베조브라조프의 극동정책과 러일협상에 초점을 맞추면서 20세기 국제질서와 러일전쟁의 연관성도 함께 살펴보았다.

러일전쟁의 외교·군사 사료로 복원한 20세기 국제질서의 진실,
그 속에서 다시 묻는 한반도의 운명


이 책은 대한제국의 시선에서 복원한 러일전쟁의 역사를 다루고 있으며, 한반도 북부를 중심으로 러시아‧일본의 정책과 대한제국의 외교노선을 재조명했다. 오늘날 동북아 역사 갈등의 뿌리는 러일전쟁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의 대륙 진출을 계기로 교섭 국가가 바뀐 간도 문제, 일본에 강제 편입된 독도, 일본의 대한제국 강점 그리고 사할린 할양 문제 등은 모두 이 시기의 국제질서 속에서 비롯된 결과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과거의 제국주의 시대를 넘어, 현재 동북아 정세의 긴장과 갈등을 재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동북아 지역의 역사 및 영토로 인한 위기와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러일전쟁의 단초가 된 한반도의 경계와 영토 문제에서 그 연결고리를 찾아야 한다. 한반도의 경계와 영토를 둘러싼 문제에서 러일전쟁의 단초를 추적하며, 동북아 국제정치의 구조적 모순을 새롭게 해석한 『러일전쟁, 일제 강점의 서막』은 한국의 시각에서 동북아 국제질서의 근원을 분석한 새로운 시각의 국제정치 분석서이자, 한국 근대사의 방향을 다시 묻는 역사서로 평가될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영수
성균관대학교 역사교육과 및 사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모스크바국립대학교 역사학부에서 역사학박사를 받았다. 주요 단독 저서로는 『미ㅤㅉㅔㄹ의 시기: 을미사변과 아관파천』(2012), 『명성황후 최후의 날: 서양인 사바찐이 목격한 을미사변 그 하루의 기억』(2014), 『제국의 이중성: 근대 독도를 둘러싼 한국·일본·러시아』(2019), 『고종과 아관파천: 이희, 러시아공사관에서 375일』(2020), 『100년 전의 세계일주: 대한제국의 운명을 건 민영환의 비밀외교』(2020), 『울릉도 1882: 검찰사 이규원의 시간여행』(2024) 등이 있다. 2013년 『문학의 오늘』에 「안톤 체홉의 현장보고서 사할린섬」, 「프로젝트 문학을 개척한 러시아 현대작가 아쿠닌」 등의 문학평론을 발표했다. 한국근대사 및 한러관계사를 전공했으며 동북아역사재단 독도동해 연구실장, 독도연구소장, 교육연수원 교수, 교양총서편찬위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으로 있다.

지은이 : 이항준
서울여자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모스크바국립대학교 역사학부에서 역사학박사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영일동맹과 제정러시아의 극동정책」(2008), 「러시아 해군부의 한반도 정책과 태평양함대 사령관 알렉세예프」(2013), 「한국철도 궤간 문제와 경인철도 이권 획득을 둘러싼 뽀꼬찔로프(Д.Д. Покотилов)의 인식과 러시아정부의 정책(1896~1899)」(2019), 「러일전쟁 원인 중 러일협상의 실패에 관한 논쟁」(2022), 「포츠머스조약 체결과 한국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시선」(2024), 「을사늑약과 헤이그평화회의 전후 고종의 외교적 대응」(2025) 등이 있다. 한국근대사 및 한러관계사를 전공했으며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있다.

  목차

책머리에 5
프롤로그 똘스또이의 평화사상과 공동체방안 18

여는 글 러일전쟁에 관한 연구동향

제1부 러일전쟁의 원인
1장 러일전쟁 직전 러일의 외교협상과 대한제국의 외교정책
영일동맹 전후 러일협상과 한국 중립화 방안
1. 일본의 협상 제안에 대한 러시아 외교정책자들의 논의 79
2. 만주와 한국 문제를 중심으로 한 러시아의 극동정책 논의 88
러시아의 극동정책 수립
1. 비테와 꾸로빠뜨낀의 성장과 기반 104
2. 특별회의를 둘러싼 극동정책의 대립 110
3. 여순회의를 통한 극동정책의 수립 116
4. 러시아 관료세력의 극동정책 123
러시아 극동총독부와 극동특별위원회
1. 극동총독부와 극동특별위원회 설치 131
2. 극동특별위원회의 활동과 해체 143
3. 러시아 황실세력의 극동정책 158
대한제국의 한러동맹 추진과 고종의 전시중립화 방안
1. 고종과 이범진의 외교정책 166
2. 고종의 전시중립화 방안 176
2장 러시아의 대한제국 진출과 일본의 대응
압록강·두만강·울릉도 삼림채벌권과 압록강삼림회사
1. 러시아가 바라본 압록강삼림회사 192
2. 일본이 바라본 압록강삼림회사 206
3. 압록강삼림회사를 둘러싼 러일의 대립 과정과 결과 228
러시아의 용암포 점유에 대한 일본의 정보 파악과 대응
1. 용암포 개방에 대한 러시아 정부의 대응 232
2. 일본이 파악한 러시아의 용암포 점유 과정 237
3. 용암포 점유를 둘러싼 러일의 대립 259
러시아 탐사대와 지리협회의 대한제국 북부 조사
1. 두만강과 압록강 지역 조사 267
2. 동해·대한해협·황해 해역 조사 272
3. 러시아의 대일전쟁 구상과 군사활동 규정 281
4. 러시아의 대한제국 탐사가 미친 영향 285

제2부 러일전쟁의 전개
1장 러시아와 일본의 군부와 해군부의 전략
러시아군부의 극동과 한반도 전략
1. 꾸로빠뜨낀의 생애와 활동 299
2. 19세기 말~20세기 초 러시아군부의 극동 전략 301
3. 꾸로빠뜨낀의 만주와 한국 문제에 대한 견해 308
4. 패배에 대한 꾸로빠뜨낀의 항변 317
5. 러시아군부의 전쟁계획안 324
일본 육군의 대러전략: 만주군 총사령부와 한국주차대 작전계획
1. 군대 편제와 육군참모본부의 군사 전술 331
2. 러일전쟁 이전 육군과 참모본부의 대러전략 338
3. 러일전쟁 직후 만주군 총사령부와 대본영의 작전계획 349
4. 한국주차대의 활동과 한국 방어계획 354
5. 러시아 작전계획안과 그 실행 363
러시아 해군부의 극동정책
1. 태평양함대 사령관 알렉세예프의 극동정책 371
2. 알렉세예프의 한반도 해양 전략 379
3. 한반도 해양 전략과 그 실행 385
일본 해군의 대러작전계획과 연합함대 사령부의 전략
1. 러일전쟁 이전 일본의 해군력 강화와 대러작전계획 392
2. 러일전쟁 직후 해군군령부와 연합함대 사령부의 작전계획 400
3. 연합함대 사령관 도고 헤이하치로의 해군 전술 403
2장 러일전쟁의 발발과 경과
대한제국과 만주에서 러일의 전투
1. 대한제국 북부지역 전투 144
2. 여순전투 429
3. 요양전투 445
4. 봉천전투 450
5. 러시아군과 일본군의 군사분계선 협상 459
한반도와 만주 주변에서 러일의 해전
1. 제물포해전 467
2. 여순해전 480
3. 동해해전 504
4. 러시아함대의 동해해전 패배 이유 528

제3부 러일전쟁의 영향
1장 러일전쟁을 바라보는 러일의 시각
러일전쟁 원인 중 러일협상의 실패에 관한 논쟁
1. 아바자의 기록을 통해 본 러일협상의 실패 원인 540
2. 람즈도르프의 기록을 통해 본 러일전쟁의 원인과 책임자 553
3. ‘백두산 분수령’과 아바자의 최종협상안 562
4. 러일협상 실패의 원인, ‘백두산 분수령’ 567
러일전쟁 결과에 대한 러시아의 논쟁과 일본의 시각
1. 비테와 꾸로빠뜨낀?전쟁 책임자 논쟁 573
2. 전쟁의 원인과 비테와 꾸로빠뜨낀의 극동정책 577
3. 패배의 원인 그리고 진실 586
4. 일본의 시각 588
5. 전쟁 책임을 둘러싼 궤변 592
2장 포츠머스조약과 일본의 한국 강점
포츠머스조약 체결과 한국 독립에 대한 러시아의 시선
1. 일본의 포츠머스조약 준비와 조건 602
2. 러시아의 포츠머스조약 준비 과정과 대응 전략 610
3. 포츠머스조약 체결 이후 외교적 대응 631
4. 한국 독립에 관한 조약문 해석 635
을사늑약 체결과 조선통감부의 설치
1. 을사늑약 체결 과정 641
2. 을사늑약에 대한 러시아의 시선과 대한제국의 대응 653
3. 일본의 한국 전략 방안과 한국 강점 실행 670
을사늑약과 헤이그평화회의 전후 고종의 외교적 대응
1. 러일전쟁 이후 고종과 이범진의 외교적 대응 676
2. 을사늑약 전후 대한제국의 상황과 고종의 저항 684
3. 러시아가 바라본 고종의 헤이그 특사 파견 690
4. 라스뽀뽀프가 바라본 통감부 설치와 대한제국 강제 개혁 697
5. 고종의 러시아 망명 계획과 일제의 고종 강제 퇴위 703

닫는 글 러일전쟁과 대한제국
에필로그 베조브라조프의 극동정책과 러일협상 735
이 책의 기초가 된 논문 772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