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한국의 안보는 오랫동안 동맹이라는 '외부의 방패' 아래에서 작동해 왔다. 이 책은 그 역사적 기원을 짚는 데서 출발해, 오늘 한국이 마주한 지정학과 기술, 그리고 시민 의식의 좌표를 차분히 재배치한다. 저자는 전쟁의 기억, 냉전 체제, 한미상호방위조약과 주한미군, 전시작전권 문제 등 한국 안보의 구조적 전제를 해부하면서 '의존의 시대'가 낳은 이익과 비용을 균형 있게 검토한다. 동시에 K-방산의 약진, 킬체인과 3축 체계, 기술 자립의 진전, 외교·경제·안보의 통합 전략을 통해 '스스로의 방패'를 세워가는 구체적 경로를 제시한다.
출판사 리뷰
한국의 안보는 오랫동안 동맹이라는 '외부의 방패' 아래에서 작동해 왔다. 이 책은 그 역사적 기원을 짚는 데서 출발해, 오늘 한국이 마주한 지정학과 기술, 그리고 시민 의식의 좌표를 차분히 재배치한다. 저자는 전쟁의 기억, 냉전 체제, 한미상호방위조약과 주한미군, 전시작전권 문제 등 한국 안보의 구조적 전제를 해부하면서 '의존의 시대'가 낳은 이익과 비용을 균형 있게 검토한다. 동시에 K-방산의 약진, 킬체인과 3축 체계, 기술 자립의 진전, 외교·경제·안보의 통합 전략을 통해 '스스로의 방패'를 세워가는 구체적 경로를 제시한다.
이 책의 강점은 군사 기술이나 전력 지표에 머물지 않고 '자주 국방'의 철학적 토대를 세심하게 설계한다는 데 있다. 저자는 자주 국방을 '무기 독립'에 한정하지 않고, 시민이 국가 안보를 자기 일로 받아들이는 정신적 주권의 문제로 확장한다. 젊은 세대의 의식 변화, 정보환경의 급변, 동맹과 자율성의 긴장 같은 난제를 사례와 데이터, 역사적 비교를 통해 입체적으로 보여주며, 협력과 자주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현실적 해법을 모색한다. 한국형 방위산업의 생태계와 기술 공급망, 동맹 재정의와 외교적 유연성, 경제안보와 산업정책의 접점을 아우르는 서술은 정책 입안자뿐 아니라 일반 독자에게도 '전체 그림'을 제공한다.
프롤로그부터 결말에 이르기까지, 책은 '왜 지금 자주 국방인가'라는 질문에 일관되게 답한다. 외부 억제력에만 기대는 방식을 넘어, 스스로 기획하고 실행하는 주권적 안보 모델로의 전환이 국가 정체성과 문화까지 변화시킨다는 통찰이 인상적이다. 이 전환은 단순히 군비 증강이 아니라, 기술 혁신·외교 전략·시민 참여의 삼각편대가 유기적으로 작동할 때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결과적으로 독자는 한국이 '방패를 빌리는 나라'에서 '스스로 지키는 나라'로 나아가기 위한 실천적 로드맵을 만나게 된다. 과거의 기억을 성찰하고, 현재의 제약을 측정하며, 미래의 선택지를 구체화하는 이 책은, 한국 안보를 둘러싼 논쟁이 감정이나 이념에 갇히지 않도록 돕는 신뢰할 만한 안내서다.
"한국의 안보 상황은 오랫동안 외부 세력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왔다. 한미 동맹은 한국의 국방에 있어 중요한 기초가 되었지만, 그 관계는 자주 국방을 위한 진정한 기반 구축 대신 의존을 조장하는 역사적 맥락으로 자리 잡았다.… 최근 한국은 외부의 방패에 의존하기보다 독자적인 방패를 만들기 위해 여러 경로를 모색하고 있다.… 기술 혁신과 전략적 변화, 그리고 국민의 의식 전환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어 자주 국방을 향한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가고 있다.… 한국의 군사적 주권은 단순한 방어의 의미를 뛰어넘어 국가 정체성과 문화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 한국은 이제 단순히 외부의 방패에 의존하는 것을 넘어,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국가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
목차
프롤로그 / 5
1부. 타인의 방패 아래서 ㅡ 의존의 역사
1장. 전쟁의 기억에서 태어난 동맹 / 9
2장. 냉전과 의존의 굴레 / 22
3장. 자주 국방의 첫 외침 / 35
4장. IMF 이후의 안보 패러다임 / 48
5장. 21세기, 의존의 불편한 진실 / 61
2부. 깨어나는 주권 ㅡ 기술, 전략, 의식의 전환
6장. 한국형 방위산업의 부상 / 75
7장. 전략의 진화 ㅡ 킬체인과 3축 체계 / 88
8장. 기술 독립의 전선 / 101
9장. 외교와 국방의 균형 / 115
10장. 국민의 의식 혁명 / 129
3부. 새로운 방패 ㅡ 자주 국방의 철학과 미래
11장. 한미동맹의 재정의 / 143
12장. 경제와 안보의 통합 전략 / 156
13장. 미래 전쟁의 패러다임 / 169
14장. 자주 국방의 철학 / 183
15장. 미래 시나리오 ㅡ 우리가 선택할 길 / 196
16장. 열린 결론 ㅡ 스스로를 지키는 나라 /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