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최준식
약력1979년 서강대학교 사학과 졸업1988년 미국 템플대학교 종교학과 대학원 졸업1989년 종교문화연구원 설립1992년~2021년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역임2005년 한국죽음학회 설립2021년~ 이화여대 명예교수저서『UFO 세계가 주목한 두 접촉자 이야기』(2025), 『한권으로 읽는 인간의 죽음』(2025), 『Beyond UFOs—UFO, 그 너머의 이야기』(2024), 『외계지성체의 방문과 인류 종말의 문제에 관하여』(공저)(2015), 『최준식의 메타 종교로 가는 마지막 춤 1, 2, 3』(2023), 『인간은 분명 환생한다』(2017), 『한국 사자의 서』(2017),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2014) 등
시작하면서
사후생을 긍정하는 다섯 가지 근거
첫 번째 근거
근사체험이란 무엇인가?
드디어 사후 세계의 빗장이 열리다.
- 근사체험에 대한 학술적 연구의 시작
근사체험 연구의 창시자, 레이몬드 무디
근사체험을 최초로 학술적으로 연구한 케니스 링
근사체험의 강력한 주창자, 죽음학의 대모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의학지에 최초로 근사체험 연구 논문을 게재한 핌 밤 롬멜
자신의 근사체험을 베스트셀러로 만든 의사, 이븐 알렉산더
근사체험의 단계
제 1 단계: 체외이탈(Out-of-Body-Experience, OBE) 체험
제 2 단계: 터널 통과 체험
제 3 단계: 빛의 존재와의 만남
말할 수 없이 아름다운 영혼의 세계 I 빛의 존재와 같이 하는 ‘삶의 회고’ I 무조건적인 사 랑 체험하기 I 사랑과 함께 배움도 I ‘빛’의 정체는? I 종교와는 무관한 빛의 존재
제 4 단계: 장벽 앞에 서기
제 5 단계: 귀환
두번째 증거
임종침상 비전(Death Bed Vision)
임종침상 비전이란 무엇인가
임종침상 비전에 대한 연구와 회의론
사례
세 번째 중거
사후통신(After-Death Communication)
사후통신이란 무엇인가
사후통신 연구의 선구자: 빌 구겐하임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나는 사후통신
- 사후통신이 나타나는 여덟 가지 방법에 대해
1. 임재함 느끼기 I 2. 청각적인 사후통신 I 3. 촉각적 사후통신 I 4. 후각적 사후통신 I 5. 시각적 사후통신 I 6. 선잠 혹은 꿈속 사후통신 I 7. 전화 사후통신 I 8. 물질적 사후통신 I 9. 기타 가외의 체험에 대해
네 번째 연구
영매(Medium) 연구
간략하게 본 영매 연구사
게리 슈워츠는 왜 영매 연구를 시작했을까?
게리 슈워츠의 실험은 어떻게 진행됐을까?
영매들 이야기
영매 에드워드 이야기 I 그 외 다른 영매 이야기—치코 자비에르 I 사후세계를 묘사한 최 고의 영화--“Astral City” I 영화 아스트랄 시티의 내용은?
다섯 번째 근거
환생 연구
- 어린아이를 대상으로 한 이안 스티븐슨의 연구를 중심으로
20세기에 서양에서 갑자기 나타난 환생 연구
느닷없이 20세기 중엽에 서양에서 각광받은 환생론 - 에드거 케이시의 경우 환생을 옹호한 대표적인 서양 의사 - 브라이언 와이스
인간의 환생을 처음으로 학술적으로 연구한 이안 스티븐슨
인간의 환생 연구에서 독보적인 이안 스티븐슨 교수
이안 스티븐슨은 누구?
스티븐슨은 왜 어린아이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았을까?
정식의 사례로 등재되는 과정은?
사례 1—전생을 기억하는 아이들
사례 2—전생의 언어를 말하는 사람들
사례 3—모반과 선천적 결함
책을 마치며
부록 “인간 의식의 사후 존속에 관한 서울 선언 (2025)”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