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보급판 서문
이충무공전서 권9 - 부록 1
행록 (1)(行錄)
행록 (2)(又)
이충무공전서 권10 - 부록 2
행장(行狀)
시장(諡狀)
전라좌수영대첩비(全羅左水營大捷碑)
명량대첩비(鳴梁大捷碑)
노량묘비(露梁廟碑)
신도비(神道碑)
고화도유허비(高和島遺墟碑)
제승당유허비(制勝堂遺墟碑)
전승대비(戰勝臺碑)
이충무공전서 권11 - 부록 3
충민사기 (1)(忠愍祠記 一)
충민사기 (2)(忠愍祠記 二)
통제영충렬사기(統制營忠烈祠記)
통제영충렬사비의 뒷면에 새긴 글(統制營忠烈祠碑陰記)
동령소갈기(東嶺小碣記)
동령소갈의 뒷면에 새긴 글(東嶺小碣陰記)
무덤 표석의 뒷면에 새긴 글(墓表陰記)
고금도유사기(古今島遺祠記)
제승당기(制勝堂記)
충렬사를 고쳐 지은 기문(忠烈祠重修記)
충민사 재실에 대한 기(忠愍祠齋室記)
제승당을 고쳐 지은 기문(制勝堂重修記)
가승 서문(家乘序)
가승 발문 (1)(家乘跋 一)
가승 발문 (2)(家乘跋 二)
장계 초본 발문(狀啓草本跋)
사원록(祠院錄)
충민사(忠愍祠)
충무사(忠武祠)
충렬사 (2)(忠烈祠 二)
현충사(顯忠祠)
유사(遺祠)
유묘(遺廟)
월산사(月山祠)
유애사(遺愛祠)
충효당(忠孝堂)
초가로 된 사당(草廟)
이충무공전서 권12 - 부록 4
죄 없는 이순신을 변명하여 구원하는 차자(伸救箚)
통제사 이순신에게 드리는 편지(與李統制書)
이 통제사를 제사 지내는 글 (1)(祭李統制文 一)
이 통제사를 제사 지내는 글 (2)(祭李統制文 二)
이 충무공의 무덤에 제사하는 글(祭李忠武墓文)
현충사에 봉안할 때 제사하는 글(顯忠祠奉安祭文)
현충사 상량문(顯忠祠上樑文)
거북선을 노래하다(龜船頌)
상아로 만든 홀에 새긴 글(牙笏銘)
금대에 대한 명(金帶銘)
금배에 대한 명(金盃銘)
한산도에서 선유하면서, 이 통제사에게 올림(宣諭閑山島呈李統制)
당포에서 이 통제사에게 올림(唐浦呈李統制)
이 통제사에 대한 만시(挽李統制)
좌수영(左水營)
충민사 (1)(忠愍祠 一)
충민사 (2)(忠愍祠 二)
이 통제사를 애도하다(哀李統制)
복파관(伏波館)
영파당(寧波堂)
이 통제사를 슬퍼하다(感李統制)
충간공 윤계의 시에 차운하다(次尹忠簡公韻)
이순신 장군을 애도하다(悼李將軍)
이 충무공을 애도하다(哀李忠武)
노량 충렬사에서 짓다(題露梁忠烈祠)
충무공 행장을 읽고 느낌이 있어 시를 짓다(讀忠武公行狀有感)
통제사 이순신 공의 묘소에 들러 짓다(過統制使李公墓)
이 통제사를 애도하다(哀李統制)
태평정(太平亭)
충민사에서 짓다(題忠愍祠)
노량에서 이 통제사를 애도하다(露梁弔李統制)
영등포에서 배를 타고 통영을 향하다(自永登浦乘船向統營)
이순신 장군을 애도하다(弔李將軍)
충렬사 (1)(忠烈祠 一)
충렬사 (2)(忠烈祠 二)
충렬사 (3)(忠烈祠 三)
이충무공전서 권13 - 부록 5, 기실 상(紀實上)
○ 『명사(明史)』 진린전(陳璘傳)에서
○ 『명사(明史)』 등자룡전(鄧子龍傳)에서
○ 『명사고(明史藁)』 진린전에서
○ 『명사고(明史藁)』 등자룡전에서
○ 『명사(明史)』 기사본말(記事本末)에서
○ 서희진(徐希震)의 『동정기(東征記)』에서
○ 『국조보감(國朝寶鑑)』에서
○ 『선묘중흥지(宣廟中興志)』에서
○ 『문헌비고(文獻備考)』에서
○ 『소대연고(昭代年考)』에서
○ 『징비록(懲毖錄)』에서
○ 『청야만집(靑野輯)』에서
○ 『지봉유설(芝峯類說)』에서
○ 『제승방략(制勝方略)』에서
○ 『조야첨재(朝野僉載)』에서
이충무공전서 권14 - 부록 6, 기실 하(紀實下)
○ 『서애집(西厓集)』에서
○ 『상촌집(象村集)』에서
○ 『난중잡(록亂中雜錄)』에서
○ 『춘파록(春坡錄)』에서
○ 『화국지(和國志)』에서
○ 『어우야담(於于野談)』에서
○ 「부산기사(釜山記事)」에서
○ 「우암어록(尤庵語錄)」에서
○ 『삼절유고(三節遺稿)』에서
○ 『덕수이씨세보(德水李氏世譜)』에서
○ 『우산집』 변백사제장사론(牛山集辨白沙諸將士論)에서
○ 『반곡집(盤谷集)』에서
○ 『겸암집(謙庵集)』에서
○ 『죽창한화(竹窓閑話)』에서
○ 『기재집(寄齋集)』에서
○ 『국포쇄언(菊圃言)』에서
○ 『하담자유고(荷潭子遺稿)』에서
○ 『사설(僿說)』에서
○ 『방부인전(方夫人傳)』에서
○ 『이씨가장(李氏家狀)』에서
○ 「이충민공봉상신도비(李忠愍公鳳祥神道碑)」에서
○ 「정승 유성룡의 시장(柳相成龍諡狀)」에서
○ 「정승 정탁의 묘지명(鄭相琢墓誌銘)」에서
○ 「정승 정언신의 신도비(鄭相彦信神道碑)」에서
○ 「정승 이덕형의 묘지명(李相德馨墓誌)」에서
○ 「정씨가승(丁氏家乘)」에서
○ 「유형의 행장(柳珩行狀)」에서
○ 「유형의 신도비(柳珩神道碑)」에서
○ 「이순신의 묘갈명(李純信墓碣銘)」에서
○ 「안홍국의 시장(安弘國諡狀)」에서
○ 「배흥립의 비명(裴興立碑名)」에서
○ 「송대립전(宋大立傳)」에서
○ 「신호의 시장(申浩諡狀)」에서
○ 「송여종의 비명(宋汝悰碑銘)」에서
○ 「정운희의 행장(丁運熙行狀)」에서
○ 「마씨가장(馬氏家狀)」에서
○ 「최씨가장(崔氏家狀)」에서
○ 「제만춘전(諸萬春傳)」에서
○ 「이씨유록(李氏遺錄)」에서
○ 『충렬사지(忠烈祠志)』에서
○ 『택리지(擇里志)』에서
○ 『승평지(昇平志)』에서
○ 『해남현지(海南縣志)』에서
○ 『진도군지(珍島郡志)』에서
○ 『흥양현지(興陽縣志)』에서
○ 『영암군지(靈巖郡志)』에서
○ 『강진현지(康津縣志)』에서
○ 『장흥부지(長興府志)』에서
○ 『창평현지(昌平縣志)』에서
○ 『나주목지(羅州牧志)』에서
○ 『방답진지(防踏鎭志)』에서
○ 『호남지(湖南志)』에서
○ 「호남기문(湖南記聞)」에서
○ 『거제부지(巨濟府志)』에서
○ 『안동부지(安東府志)』에서
○ 『영천군지(永川郡志)』에서
○ 『영양현지(英陽縣志)』에서
○ 『아산현지(牙山縣志)』에서
○ 『해미현지(海美縣志)』에서
○ 『직산현지(稷山縣志)』에서
○ 『진천현지(鎭川縣志)』에서
○ 『평택현지(平澤縣志)』에서
○ 이충무공전서 지(李忠武公全書識)
찾아보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