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보급판 서문
윤음(綸音)
어제신도비명(御製神道碑銘)
이충무공전서 권수(卷首)
교서(敎書)와 유서(諭書)
정헌대부의 품계를 주는 교서(授正憲大夫 教書)
선전관을 보내 군사들을 위로하는 교서(遣宣傳官勞軍 教書)
삼도통제사에 임명하는 교서(授三道統制使 教書)
병조좌랑을 보내 군사들을 위로하고 음식을 베풀어 주는 교서(遣兵曹佐郞勞軍犒饋 教書)
상중(喪中)에 일으켜 다시 삼도통제사에 임명하는 교서(起復授三道統制使 教書)
선무 1등 공신에 책봉하는 교서(策宣武元勳 教書
물길을 따라 적선을 맞아 습격하라고 명령하는 유서(命從水路邀襲賊船 諭書)
원균과 합세하여 적을 치라고 명령하는 유서(命與元均合勢攻賊 諭書)
자헌대부로 승품하는 유서(陞資憲大夫 諭書)
수군을 거느리고 적의 돌아갈 길을 차단하라고 명령하는 유서 (1)(命率舟師截賊歸路 諭書 一)
수군을 거느리고 적의 돌아갈 길을 차단하라고 명령하는 유서 (2)(命率舟師截賊歸路 諭書 二)
수군을 거느리고 적의 돌아갈 길을 차단하라고 명령하는 유서 (3)(命率舟師截賊歸路 諭書 三)
수군을 거느리고 적의 돌아갈 길을 차단하라고 명령하는 유서 (4)(命率舟師截賊歸路 諭書 四)
경략의 지시를 기다리라고 명령하는 유서(命聽候經略 諭書)
배를 정비하여 적을 무찌르라고 명령하는 유서(命整船勦賊 諭書)
경략의 말대로 먼저 부산을 불 지르라고 명령하는 유서(命依經略言先焚釜山 諭書)
부총병의 지휘를 받으라고 명령하는 유서(命授副摠節制 諭書)
수군에게 번갈아 휴가를 주라고 명령하는 유서(命迭休水兵 諭書)
조총을 올려 보내라고 명령하는 유서 (1)(命進鳥銃 諭書 一)
조총을 올려 보내라고 명령하는 유서 (2)(命進鳥銃 諭書 二)
조총을 올려 보내라고 명령하는 유서 (3)(命進鳥銃 諭書 三)
상례대로만 하지 말고 방편을 좇으라고 명령하는 유서(命從權 諭書)
임금이 내려 준 제문(賜祭文)
영조 임금이 지어 내려 준 제문 (1)(英廟御製 賜祭文 一)
영조 임금이 지어 내려 준 제문 (2)(英廟御製 賜祭文 二)
금상[정조]이 지어 고금도 유사에 내려 준 제문(當宁御製古今島遺祠 賜祭文)
금상[정조]이 지어 영의정을 추증한 후 내려 준 제문(當宁御製贈領議政後 賜祭文)
선조 때, 돌아가신 후 내려 준 제문(卒逝後 賜祭文 宣廟朝)
선조 때, 공신록에 올린 후 내려 준 제문(錄勳後 賜祭文 宣廟朝)
선조 때, 충민사에 내려 준 제문(忠愍祠 賜祭文 宣廟朝)
현종 때, 노량 충렬사에 편액을 내려 준 제문(露梁忠烈祠 賜額祭文 顯廟朝)
현종이 온천에 거둥할 때 내려 준 묘제문(溫泉 行幸時 賜墓祭文 顯廟朝)
숙종 때, 현충사에 편액을 내려 준 제문(顯忠祠 賜額祭文 肅廟朝)
숙종이 온천에 거둥할 때 내려 준 묘제문(溫泉 行幸時 賜墓祭文 肅廟朝)
영조 때, 충민사에 내려 준 제문(忠愍祠 賜祭文 英廟朝)
영조가 온천에 거둥할 때 내려 준 묘제문(溫泉 行幸時 賜墓祭文 英廟朝)
도설(圖說)
명나라 황제의 팔사물(八賜物)
거북선(龜船)
장병겸(長柄鎌)
사조구(四爪鉤)
세보(世譜)
연표(年表)
이충무공전서 권1
시(詩)
수군절도사 선거이(宣居怡)와 헤어지며 주다(贈別宣水使居怡)
무제 육운(無題六韻)
한산도에서 밤에 읊다(閑山島夜吟)
붙임(附) ― 후일에 화답한 작품들(追和諸作)
무제 한 연(無題一聯)
붙임(附) ― 책 끝에 적는다(題跋)
한산도가(閑山島歌)
잡저(襍著)
장검에 새긴 글(劒銘)
붙임(附) ― ‘장검에 새긴 글’에 차운하다(次劒銘)
체찰사 완평부원군 이원익(李元翼)에게 올리는 편지(上體察使完平李公元翼書)
붙임(附) ― 대답 편지(答書)
도독 진린(陳璘)에게 답하는 편지(答陳都督璘書)
붙임(附) ― [진 도독의] 원 편지(原書)
어느 숙부에게 올리는 편지(上某叔書)
어떤 사람에게 올리는 편지(上某人書)
어떤 조카에게 보내는 편지(與某姪書)
도사(都司) 담종인(譚宗仁)의 토벌 금지 패문(牌文)에 답함(答譚都司宗仁禁討牌文)
참판에 추증된 정운에게 제사하는 글(祭贈參判鄭運文)
송나라 역사를 읽고(讀宋史)
각 진영의 장수들에게 약속하는 글(約束各營將士文)
이충무공전서 권2
장계(狀啓) 1
왜적의 경보로 인한 사변에 대비하는 계본 (1)(因倭警待變狀 一)
왜적의 경보로 인한 사변에 대비하는 계본 (2)(因倭警待變狀 二)
왜적의 경보로 인한 사변에 대비하는 계본 (3)(因倭警待變狀 三)
경상도로 구원하러 출전하는 일을 아뢰는 계본 (1)(赴援慶尙道狀 一)
경상도로 구원하러 출전하는 일을 아뢰는 계본 (2)(赴援慶尙道狀 二)
경상도로 구원하러 출전하는 일을 아뢰는 계본 (3)(赴援慶尙道狀 三)
옥포에서 왜적을 격파하였음을 아뢰는 계본(玉浦破倭兵狀)
당포에서 왜적을 격파하였음을 아뢰는 계본(唐浦破倭兵狀)
견내량에서 왜적을 격파하였음을 아뢰는 계본(見乃梁破倭兵狀)
군량을 옮겨 조처하는 일을 아뢰는 계본(移劃軍糧狀)
부산포에서 왜적을 격파하였음을 아뢰는 계본(釜山破倭兵狀)
포위되었던 왜병이 도망친 일을 아뢰는 계본(被圍倭兵逃還狀)
정운을 이대원 사당에 추가로 배향해 주시기를 청하는 장계(請鄭運追配李大源祠狀)
종이를 올려 보내는 일을 아뢰는 장계(封進紙地狀)
전쟁 곡식을 실어 보내는 일을 아뢰는 장계(裝送戰穀狀)
일족을 침해하지 말라는 명령을 취소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反汗一族勿侵之命狀)
전쟁 곡식과 진상물을 실어 보내는 일을 아뢰는 장계(裝送戰穀及方物狀)
이충무공전서 권3
장계(狀啓) 2
유황을 내려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賜硫黃狀)
의승병을 나누어 보내 요충지를 지키는 일을 아뢰는 계본(分送義僧把守要害狀)
피란민에게 돌산도에 들어가 살면서 농사짓도록 명령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令流民入接突山島耕種狀)
수륙의 여러 장수에게 웅천을 바로 공격하라 명령하신 것에 대한 장계(令水陸諸將直擣熊川狀)
적을 무찌른 일을 아뢰는 계본(討賊狀)
통선 1척이 전복된 뒤에 죄를 기다림을 아뢰는 장계(統船一艘傾覆後待罪狀)
수군에 소속된 고을의 수령들은 해전에만 전속시켜 주시도록 청하는 계본(請舟師屬邑守令專屬水戰狀)
광양현감 어영담의 유임을 청하는 계본(請光陽縣監魚泳潭仍任狀)
일족을 침해하지 말라는 명령을 취소해 주시기를 거듭 청하는 계본(申請反汗一族勿侵之命狀)
충청도 수군이 계속 후원하도록 해 주실 것을 청하는 장계 (1)(請湖西舟師繼援狀 一)
충청도 수군이 계속 후원하도록 해 주실 것을 청하는 장계 (2)(請湖西舟師繼援狀 二)
왜선을 쫓아낸 일을 아뢰는 장계(逐倭船狀)
왜군의 정세를 아뢰는 계본(陳倭情狀)
화포를 올려 보내는 일을 아뢰는 계본(封進火砲狀)
해전과 육전에 관한 일을 자세히 아뢰는 계본(條陳水陸戰事狀)
사로잡혔던 이가 보고한 왜군의 정세를 아뢰는 계본(登聞被擄人所告倭情狀)
조총을 올려 보내는 일을 아뢰는 장계(封進倭銃狀)
본영으로 돌아가는 일을 아뢰는 계본(還營狀)
왜인 포로가 고한 왜군의 정세를 보고하는 계본(登聞擒倭所告倭情狀)
어영담을 조방장으로 임명해 주시기를 청하는 장계(請以魚泳潭爲助防將狀)
쇠를 거두기 위한 공문과 유황을 내려 주시기를 청하는 장계(請下納鐵公文兼賜硫黃狀)
문신으로 종사관을 임명해 주시기를 청하는 장계(請以文臣差從事官狀)
연해의 군병·군량·병기를 수군에 전속시켜 주시기를 요청하는 계본(請沿海軍兵糧器全屬舟師狀)
둔전을 설치하는 것을 허락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設屯田狀)
수군에 소속된 고을은 육군에 배정하지 마시도록 청하는 계본(請舟師所屬邑勿定陸軍狀)
진중에서 과거 보는 일을 청하는 계본(請於陣中試才狀)
연해의 군병·군량·무기 등을 옮겨 가지 말도록 명령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沿海軍兵糧器勿令遞移狀)
이충무공전서 권4
장계(狀啓) 3
승장의 위조문서를 봉하여 올려 보내는 계본(封進僧將僞帖狀)
배경남을 수군에 소속시켜 주시기를 청하는 장계(請以裵慶男屬舟師狀)
수륙군을 바꾸어 방비시키는 일을 헤아려 조처하시기를 청하는 계본(請量處水陸換防事狀)
방비군의 결원을 낸 수령을 군법에 따라 처벌할 것을 청하는 계본(闕防守令依軍法決罪狀)
왜적의 정세를 아뢰는 달본(陳倭情狀)
일족을 침해하지 말라는 명령을 취소해 주시기를 다시 청하는 달본(更請反汗一族勿侵之命狀)
진으로 돌아가는 일을 아뢰는 달본 (1)(還陣狀 一)
진으로 돌아가는 일을 아뢰는 달본 (2)(還陣狀 二)
흥양 목관을 교체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改差興陽牧官狀)
해안 고을이 수륙군에 교대로 침해당하는 폐단을 금지시켜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禁沿邑水陸交侵之弊事狀)
충청 수군절도사에게 빨리 도착하도록 재촉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忠淸水軍節度使催促到陣狀)
지체하는 여러 장수들의 처벌을 청하는 계본(請罪遲留諸將狀)
여러 의병장에게 상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賞義兵諸將狀)
여도만호 김인영에게 상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賞呂島萬戶金仁英狀)
군량을 조처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措劃軍糧狀)
왜군의 정세를 아뢰는 계본(陳倭情狀)
당항포 승첩을 아뢰는 계본(唐項浦破倭兵狀)
기한을 어긴 여러 장수의 처벌을 청하는 계본(請罪過期諸將狀)
무과 특별 시험을 베푼 것을 아뢰는 계본(設武科別試狀)
왜병을 정탐한 내용을 아뢰는 계본(哨探倭兵狀)
왜군의 정세를 아뢰는 계본(陳倭情狀)
수군 소속의 여러 장수에게 교대로 휴가를 실시한 일을 아뢰는 달본(舟師所屬諸將休番狀)
방비군을 결석시킨 여러 장수의 처벌을 청하는 계본(請罪闕防諸將狀)
조총을 올려 보내는 장계(封進鳥銃狀)
방답첨사를 선정하여 임명해 주시기를 청하는 장계(請防踏僉使擇差狀)
충청도 전선이 기한에 맞춰 도착하기를 청하는 장계(請忠淸戰船刻期回泊狀)
의원을 보내 전염병을 구호하시기를 청하는 장계(請送醫救癘狀)
『이충무공전서』 이외의 장계
적의 귀로를 차단하라는 유서를 받았음을 아뢰는 장계 (1)
적의 귀로를 차단하라는 유서를 받았음을 아뢰는 장계 (2)
적의 귀로를 차단하라는 유서를 받았음을 아뢰는 장계 (3)
배를 정비하여 적을 무찌르라고 명령하는 유서를 받았음을 아뢰는 장계
일족을 침해하지 말라는 명령을 받았음을 아뢰는 장달
진중에서 과거 보이는 일을 청하는 장달
적을 무찌르도록 하라는 명령을 받았음을 아뢰는 장달
찾아보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