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2023년 출간된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전4권 세트)의 무선 제본 보급판 중 두 번째 권으로, 1795년에 정조의 명으로 편찬된 『이충무공전서』 권5~권8의 내용을 담고 있다.
1989년 노산 이은상의 번역본 출간 이후 30여 년 만에 새 번역으로 선보이는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는 기존 번역본의 오류뿐만 아니라 원본의 오류까지 바로잡고, 그간 축적된 임진왜란 관련 연구 성과를 반영했으며, 원본에서 생략한 내용까지 모두 구분하여 수록하고, 영웅주의나 성웅 사관을 탈피하여 명확한 사실 관계를 밝히는 데 힘썼다.
『이충무공전서』는 충무공의 업적을 전하는 가장 중요한 문헌이다. 이 책은 충무공 이순신 탄신 250주년 되는 해인 1795년에 정조의 어명으로 편찬되었는데, 충무공의 공훈은 이 책의 편찬으로 비로소 제대로 역사에 길이 전하게 되었다. 『이충무공전서』는 충무공의 공훈을 체계적으로 한자리에 모은 문헌적 가치뿐만 아니라, 누구와도 견줄 수 없는 정조의 열렬한 충무공 숭모 정신의 산물이다. 정조는 규장각 각신들에게 ‘전서’의 편찬을 명하고 손수 충무공 이순신의 비문을 지어 이 책의 머리에 실었다. 조선왕조 역사상 왕명으로 신하의 문집이 편찬된 예도 없거니와 왕이 신하의 비문을 지어 내린 예도 없으니, 실로 특별한 예우가 아닐 수 없다.
『이충무공전서』는 정조의 새로운 근대 지향 역사의식에서 충무공을 민족 영웅으로 자리매김한 중심 문헌으로서, 충무공에 대한 숭모는 마땅히 이 ‘전서’ 출현에 담긴 역사 인식부터 알고 시작해야 할 것이다.
출판사 리뷰
30여 년 만에 새 번역으로 선보이는
충무공 이순신의 빛나는 기록들
2023년 출간된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전4권 세트)의 무선 제본 보급판 중 두 번째 권으로, 1795년에 정조의 명으로 편찬된 『이충무공전서』 권5~권8의 내용을 담고 있다.
1989년 노산 이은상의 번역본 출간 이후 30여 년 만에 새 번역으로 선보이는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는 기존 번역본의 오류뿐만 아니라 원본의 오류까지 바로잡고, 그간 축적된 임진왜란 관련 연구 성과를 반영했으며, 원본에서 생략한 내용까지 모두 구분하여 수록하고, 영웅주의나 성웅(聖雄) 사관을 탈피하여 명확한 사실 관계를 밝히는 데 힘썼다.
『이충무공전서』는 충무공의 업적을 전하는 가장 중요한 문헌이다. 이 책은 충무공 이순신 탄신 250주년 되는 해인 1795년에 정조(正祖)의 어명으로 편찬되었는데, 충무공의 공훈은 이 책의 편찬으로 비로소 제대로 역사에 길이 전하게 되었다. 『이충무공전서』는 충무공의 공훈을 체계적으로 한자리에 모은 문헌적 가치뿐만 아니라, 누구와도 견줄 수 없는 정조의 열렬한 충무공 숭모 정신의 산물이다. 정조는 규장각 각신(閣臣)들에게 ‘전서’의 편찬을 명하고 손수 충무공 이순신의 비문을 지어 이 책의 머리에 실었다. 조선왕조 역사상 왕명으로 신하의 문집이 편찬된 예도 없거니와 왕이 신하의 비문을 지어 내린 예도 없으니, 실로 특별한 예우가 아닐 수 없다. 『이충무공전서』는 정조의 새로운 근대 지향 역사의식에서 충무공을 민족 영웅으로 자리매김한 중심 문헌으로서, 충무공에 대한 숭모는 마땅히 이 ‘전서’ 출현에 담긴 역사 인식부터 알고 시작해야 할 것이다.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2』의 수록 내용
이 책은 『이충무공전서』 권5~권8로, 모두 ‘난중일기’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권5는 1592년(임진년)부터 1593년(계사년)까지, 권6은 1594년(갑오년) 초부터 1595년(을미년) 5월까지, 권7은 1595년(을미년) 6월부터 1596년(병신년)까지, 권8은 1597년(정유년)부터 1598년(무술년)까지의 일기를 담고 있다.
신정역주본에서는 원본 『이충무공전서』에서 생략한 원문 텍스트까지 구분하여 수록했는데, 생략된 내용들은 잦은 음주 장면, 이순신 개인의 중요하지 않은 일상사, 날씨,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군사적 상황 보고나 조처, 모친에 관한 것을 제외한 이순신의 가정사,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엄격한 군율을 적용한 일들, 바둑‧장기 등 놀이 또는 야간에 피리를 부는 등 진중의 오락 관련 내용, 군량 마련을 위해 기울인 노력들, 부하 장수들과의 불편한 관계에 대한 기록, 개인적인 건강 관리 내용, 『난중일기』 원본 사이사이에 있던 ‘일기 외 기사’(계본이나 장계의 초안, 서신의 초안, 풍문, 한시나 독후감 등) 등이다.
목차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보급판 서문
이충무공전서 권5 - 난중일기 1
임진년(壬辰年)[1592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8월
계사년(癸巳年)[1593년] 2월
3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이충무공전서 권6 - 난중일기 2
갑오년(甲午年)[1594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을미년(乙未年)[1595년] 1월
2월
3월
4월
5월
이충무공전서 권7 - 난중일기 3
을미년(乙未年)[1595년]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병신년(丙申年)[1596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윤8월
9월
10월
이충무공전서 권8 - 난중일기 4
정유년(丁酉年)[1597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무술년(戊戌年)[1598년] 1월
9월
10월
11월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