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한국에서 태어나 스위스로 입양된 작가 로르 미현 크로제가 자신의 성장 과정을 생생하게 담아낸 자전 소설이다. 이 책은 생후 10개월에 입양되어 스위스에서 자란 작가가 30세가 되던 해까지의 경험을 솔직하고 예리한 시선으로 기록한 작품이다.
작가는 자신의 신경증을 “드넓은 숲속에 흩어진 불안한 폴라로이드 사진 연작”에 비유하며 이야기를 시작한다. 친부모와의 첫 기억은 영원한 빈자리로 남아 있고, 단지 노란 수첩과 꿈속에서 본 긴 검은 머리 여자의 모습만이 전부다. 스위스 도착 당시 의료진은 그녀가 살아남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했지만, 간호사였던 양어머니의 헌신적인 사랑으로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된다.
출판사 리뷰
불안한 폴라로이드 사진 연작 같은 삶에 대한 보고서
한국에서 태어나 스위스로 입양된 작가 로르 미현 크로제가 자신의 성장 과정을 생생하게 담아낸 자전 소설이다. 이 책은 생후 10개월에 입양되어 스위스에서 자란 작가가 30세가 되던 해까지의 경험을 솔직하고 예리한 시선으로 기록한 작품이다.
작가는 자신의 신경증을 “드넓은 숲속에 흩어진 불안한 폴라로이드 사진 연작”에 비유하며 이야기를 시작한다. 친부모와의 첫 기억은 영원한 빈자리로 남아 있고, 단지 노란 수첩과 꿈속에서 본 긴 검은 머리 여자의 모습만이 전부다. 스위스 도착 당시 의료진은 그녀가 살아남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했지만, 간호사였던 양어머니의 헌신적인 사랑으로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된다.
이방인으로서의 고독과 정체성 혼란, 그리고 자아 찾기
작가는 성장하면서 겪는 크고 작은 상처들을 가감 없이 드러낸다. 어린 시절 겪은 실수에 대한 강렬한 수치심, 외모와 신체에 대한 콤플렉스, 학교에서의 소외감, 그리고 무엇보다 아시아인으로서 유럽 사회에서 느끼는 미묘한 차별과 정체성의 혼란이 날카롭게 그려진다.
“일본인인지 물어오면 정말 난처했다. 한국인이라고 설명할 때마다 ‘아! 올림픽 했던 나라!’라는 단순한 대답이 돌아왔다”는 작가의 고백에서 입양인이자 이방인으로서의 복잡한 심경이 드러난다.
책의 상당 부분은 작가가 문화와 예술을 통해 자신만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다룬다. 영화에 대한 열정, 문학에 대한 갈망, 그리고 언어 실력에 대한 자부심과 동시에 느끼는 불안감까지 세심하게 포착한다. 특히 대학 시절 『플럭스』 잡지에 기고한 알바니아 여행기가 거절당하는 장면에서는 예술가로서의 좌절과 성장통이 생생하게 드러난다.
연애 관계에서도 작가는 끊임없는 불안과 자기의심에 시달린다. 상대방을 기쁘게 하려는 지나친 노력,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오해, 그리고 진정한 자신을 드러내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관계를 복잡하게 만든다. 세 번의 자살 충동을 고백하는 부분에서는 깊은 우울과 절망의 순간들이 적나라하게 그려진다.
입양인 서사의 새로운 관점, 그리고 결국 희망을 품다
『폴라로이드』는 기존의 입양 관련 서사와는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 감상적이거나 감동적인 이야기보다는 입양인이 실제로 겪는 정체성의 혼란, 소속감의 부재, 그리고 끊임없는 자기증명의 압박을 차갑고 정확한 언어로 기록한다. 작가는 “내 허영이 짓밟힌 것보다, 여동생은 나와 달리 타고난 미인이라 특별히 가꾸는 게 마땅하다는 생각을 또 한 번 확인한 것이 더 마음 아팠다”는 식으로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해부한다.
책은 작가가 30세 생일날 “지극히 아찔하고 내밀한 프로젝트”, 즉 글쓰기를 결심하는 장면으로 마무리된다. 이는 단순한 결말이 아니라 진정한 자아를 찾기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다.
『폴라로이드』는 입양, 이주, 정체성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다루면서도 유머와 자기 성찰을 잃지 않는다. 비슷한 경험을 가진 이들에게는 공감과 위로를, 그렇지 않은 독자들에게는 타자의 삶에 대한 깊은 이해를 선사하는 소중한 작품이다.
스위스에 도착한 이야기는 양부모님에게 들었다. 입원한 병원에서는 내가 죽을 게 분명하며, 스위스에 갈 상태가 아니라고 단언했다. 그러자 엄마는 간호사인 자신이 생존에 필요한 처치를 직접 할 수 있다고 맞섰다. 하지만 엄마 생각에 내게 정말 필요한 건 애정이었다. 그 판단이 옳은 듯하다. 과자 먹을 때를 빼고는 사흘 밤낮이 흘러도 엄마 목에서 떨어질 줄 몰랐으니까.
이번에도 행동 자체보다 들켜서 부끄러움이 더 컸다. 잘못된 행동을 하더라도 아무도 모른다면 어땠을까? 실수 자체보다 누가 나를 비난하며 우월한 태도를 보이는 게 더 괴로웠다. 나는 잘못이 들통날 때만 반성했다.
이 오래된 비열함 때문에 불면증이 있는 건지도 모른다. 잠꼬대를 두려워하는 사람처럼 잠든 사이에 재앙이 또 일어날까 봐 잠들기를 두려워하는지도 모른다.
원인 모를 제지를 받을 때면 언제나 속이 뒤집혔다. 특히, 음악 선생님이 학년말 시험에 응시할 필요가 없다고 했을 때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 시험을 치르기에 실력이 너무 형편없다는 평가를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다. 처음에는 자동으로 합격한 줄 알았다가 이내 착각임을 깨달았다. 시험에 통과할 만큼 열심히 준비할 거라는 신뢰조차 받지 못하고, 심지어 평가받을 자격조차 없다고 여겨진 것에 내 안의 모범생은 깊은 모욕을 느꼈다. 결국 나는 음악 학원을 그만뒀고, 나중에는 재능이 부족해 발전 가능성이 없어 보이자 클래식 발레 학원도 그만뒀다. 이해받기 어려운 사실일 테지만, 나는 경쟁을 하기에는 자존심이 너무 세거나 마음이 너무 여렸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로르 미현 크로제
한국에서 태어나 스위스에서 자란 작가로, 자신의 입양 경험과 두 문화 사이에서의 정체성 탐색을 주요 소재로 다루고 있다. 이번 작품 『메이드 인 코리아』는 2023년 스위스 에디시옹 오카마(Editions OKAMA) 출판사에서 먼저 출간되어 큰 호응을 받았다. 지은 작품으로 2012년 아카데미 로망드 이브상을 받은 바 있는 『폴라로이드』(이숲에올빼미, 2025) 외, 『팝콘 걸』(BSN Press, 2019), 『아름다운 세상』(Albin Michel, 2018), 『사랑하려 애쓰다』(BSN Press, 2017), 『비온 후 맑은 날씨』(Didier, 2016) 등이 있으며 스위스 제네바에서 거주하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Aurelien Berg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