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강원택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자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원장.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정치학회장, 한국정당학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한국 정치, 의회, 선거, 정당 등이다. 주요 논저로는 『제5공화국』(역사공간, 2024), 『국가는 어떻게 통치되는가』(인간사랑 2022), 『한국 정치의 결정적 순간들』(21세기북스, 2019), 『사회과학 글쓰기』(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한국 정치론』(박영사, 2019), 『시민이 만드는 민주주의』(박영사, 2018) 등이 있다.
지은이 : 손열
현 동아시아연구원 원장이자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중앙대학교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원장이다.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원장과 언더우드국제학부장, 지속가능발전연구원장, 국제학연구소장 등을 역임하였고, 도쿄대학 특임초빙교수, 노스캐롤라이나대학, 캘리포니아대학 방문학자를 거쳤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19)과 현대일본학회장(2012)을 지냈다. Fullbright, MacArthur, Japan Foundation, 와세다대 고등연구원 시니어 펠로우를 지내고, 외교부, 국립외교원,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 자문위원, 동북아시대 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전공분야는 일본외교, 국제정치경제, 동아시아국제정치, 공공외교이다. 최근 저서로는 『트럼프의 귀환, 미국의 미래』(2025, 공편), 『미중 경제 전쟁과 한국: 경제안보의 부상, 위기와 기회』(2024, 공편), 『개념전쟁』(2023),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2021, 공편), 『2022 신정부 외교정책제언』(2021, 편), 『BTS 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2021, 공편),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2021, 공편), Japan and Asia’s Contested Order (2019, with T. J. Pempel), Understanding Public Diplomacy in East Asia (2016, with Jan Melissen), South Korea under US-China Rivalry: the Dynamics of the Economic-Security Nexus in the Trade Policymaking,” The Pacific Review 23, 6 (2019) 등이 있다.
지은이 : 한준
현 동아시아연구원 미래혁신연구센터 소장이자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스탠포드대학교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림대학교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 미래혁신연구센터 소장이다.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이며, 재단법인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원장을 역임했고, 하버드-옌칭 연구소 방문학자를 거쳤다. 한국사회학회 회장(2022)을 지냈다.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통계청 삶의질지표선정위원회 위원장이다. 전공분야는 조직이론, 삶의 질, 예술사 회학이다. 최근 저서로는 『한국 예술계: 기원.발전.쟁점』(2024), 『자본주의의 미래』(2023, 공저), 『사회 안의 조직, 조직 안의 사회』(2022), 『플랫폼 사회가 온다: 디지털 플랫폼의 도전과 사회질서의 재편』(2021, 공저),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2021, 공편), Beyond Taste Hierarchy?: Inclusionism vs. Cynicism in Korean Cultural Valuation Scheme, Journal of Asian Sociology(2024), “현대 한국 예술계의 변화와 발전” 『현상과 인식』(2023), “2000년 이후 한국 사회학의 사회학: 변동과 과제” 『한국사회학』(2022) 등이 있다.
지은이 : 유성진
현 이화여대학교 스크랜튼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와 같은 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뉴욕주립대(Stony Brook)에서 유권자의 정당과 후보인식, 그리고 정치참여에 관한 논문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선거, 정당, 여론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정치연구회 회장(2019), 한국정당학회보 편집위원장(2020-2021), 한국정치학회 연구위원장(2022)을 지냈다. 현재까지 70여 편의 연구논문을 Journal of Politics, 한국정치학회보, 국제정치논총, 한국정당학회보, 미국학논집, Issues and Studies, Asia-Pacific Social Science Review 등에 발표한 바 있다.
지은이 : 하상응
현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시카고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치심리, 여론, 투표행위, 미국정치 등이다. 미국 Brooklyn College (CUNY) 정치학 조교수, Yale University (Institution for Social and Policy Studies) 박사 후 연구원을 역임 하였다. 최근 연구로는 “서로를 향한 손가락질: 분점정부에서 국회-행정부 갈등에 대한 유권자 인식 (공저),” “민주적 원칙과 당파적 이익: 2020년 국회의원선거에서 위성정당에 대한 태도와 투표선택 (공저),” “한국 유권자의 정당일체감: 사회적 정체성인가, 정치적 이해관계인가? (공저)” 등이 있다.
지은이 : 정인관
현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전공분야는 불평등과 사회이동, 정보사회학, 교육사회학이다. <플랫폼 임팩트 2023>를 공저했으며 Social Science Research, Sociological Scie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한국사회학』, 『경제와 사회』 등에 주로 불평등과 사회이동 관련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지은이 : 김지혜
현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펜실베니아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원으로 재직한 이력이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Perceived China Threat, Conspiracy Belief, and Public Support for Restrictive Immigration Contro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Race & Justice (2023),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Heterogeneity within East Asia”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22), “가치 연구와 이중과정이론(Dual-Process Theory): 암묵적 인지 측정 방법의 적용”『한국사회학』(2022), “종교는 평화인가, 갈등인가? 종교 스키마 국제 비교 연구”『한국사회학』(2024) 등이 있다.
지은이 : 김한나
현 진주교육대학교 도덕과교육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에서 정치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사로 재직하며 비교정치와 한국정치 과목을 가르쳤다. 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의 연구원,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 BK21 사업단 박사후과정연구원, 미 피츠버그대학교 Asian Studies Center 방문학자를 거쳤다. 현재는 진주교육대학교 도덕과교육 조교수로 재직중이다. 진주교대에서는 비교정치의 관점에서 한국정치, 통일교육, 민주주의, 다문화사회, 세계시민교육 등의 정치학 과목을 맡아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세부 전공분야는 비교정치, 한국정치, 정치과정이다. 전공분야의 연구로는 Political Psychology (단독, 2025), Democratization (단독, 2024), Asian Survey (2인 공저 제1저자, 2024),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2 인 공저 교신저자, 2024) 등과 같은 저널에 논문을 최근 게재하였다.
지은이 : 박범섭
현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부교수. 비교정치를 전공하고 있다. 연구 관심사는 민주적 책무성(democratic accountability) 메커니즘으로, 특히 선거 과정 중 시민들이 정책 성과를 바탕으로 대표자를 견제할 수 있는 능력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2025년 중앙대학교로 부임하기 이전에는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비교정치를, 영국 레딩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비교정치 및 정치경제 전공 조교수로 재직하였으며, 그 이전에는 미국 뉴저지칼리지정치학과에서 방문조교수로 근무했다. 미국 미주리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런던정경대에서 글로벌 정치학 석사, 독일 베를린경제법대에서 국제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로는 Political Behavior, Democratization, Journal of Elections, Public Opinion and Parties, European Political Science Review, Electoral Studies 등의 저널에 게재된 논문들이 있으며, 최근 논문으로는 “When do Agents deliver the Vote? A Vote-Popularity Function in Electoral Manipulations” (Democratization, 2024) 등이 있다.
지은이 : 성예진
현 성균관대학교 좋은민주주의연구센터 전임연구원.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부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전공 분야는 대통령제, 대통령-의회 관계, 정치제도, 민주주의 인식이며 대통령의 행정입법 활용과 제도적 견제, 민주주의 제도에 대한 시민 인식 등이 주요 관심사이다. 최근 출판 논문으로는 「한국 대통령의 일방적 권력 행사의 정치적 기초: 행정입법 권한의 제도적 전환」, 「승자와 패자는 어떤 민주주의를 선호하는가?: 정당 간 갈등 타협에 대한 인식과 민주주의 만족도」(공저) 등이 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