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전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 방법을 따뜻하고 현실적으로 풀어낸 책이다. 유아부터 성인, 비장애인부터 발달장애인을 아우르며, 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자아존중감과 건강한 관계 형성을 돕는다. 특히 감정과 욕구, 성적 권리, 디지털 윤리 등 현실적인 주제를 체계적으로 다루며, 부모와 교육자를 위한 실천 가이드와 활동지도 풍부하게 제공되어 누구나 쉽게 성교육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출판사 리뷰
『모두에게 진심으로 다가가는 성교육』은 전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 방법을 따뜻하고 현실적으로 풀어낸 책입니다. 유아부터 성인, 비장애인부터 발달장애인을 아우르며, 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자아존중감과 건강한 관계 형성을 돕습니다. 특히 감정과 욕구, 성적 권리, 디지털 윤리 등 현실적인 주제를 체계적으로 다루며, 부모와 교육자를 위한 실천 가이드와 활동지도 풍부하게 제공되어 누구나 쉽게 성교육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책은 성교육을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사람과 사람 사이의 존중과 소통의 과정으로 이해합니다. 발달장애인의 연애와 결혼, 피임 교육까지 포함하여 그동안 소외되었던 이들을 위한 배려가 돋보이며, 성을 통해 진정한 삶의 권리와 존엄을 이야기합니다. 성교육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꼭 필요한 ‘진심의 교육’임을 일깨워주는 이 책은 성을 통해 사람을 이해하는 따뜻한 여정으로 우리 모두를 초대합니다.
진심으로 다가가는 성교육의 길, 모두를 위한 변화의 시작
오늘날 우리는 성에 대한 정보의 홍수 속에 살아갑니다. 그러나 그 정보들이 과연 ‘진짜 나에게 필요한 것들’인지, 그리고 우리가 성을 어떻게 바라보고 이해해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되는 순간은 많지 않습니다. 『모두에게 진심으로 다가가는 성교육』은 이러한 고민의 틈을 진심으로 메워주는 책입니다. 이 책은 단순히 성에 대한 정보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왜 성교육이 필요한가’,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는가’를 진심으로 탐구합니다.
이 책은 총 20개의 장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아부터 성인, 비장애인부터 발달장애인을 아우르는 전 생애주기적 성교육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기존의 성교육이 놓치기 쉬웠던 ‘장애인의 성적 권리’, ‘가족 안의 경계’, ‘디지털 성윤리’, ‘아버지의 역할’ 등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주제를 포함해,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침과 활동지까지 담아냈습니다.
성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1장에서는 성교육의 정의와 목적, 그리고 그것이 선택이 아닌 모두에게 꼭 필요한 ‘권리’이자 ‘책임’임을 강조합니다. 이는 개인의 존엄성과 권리를 지키는 가장 기본적인 교육으로, 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건강하게 표현하기 위한 첫걸음이기도 합니다.
2장과 3장은 ‘성’이란 단순히 생물학적 개념이 아닌 ‘나와 타인, 그리고 사회 전체와의 관계’임을 조명하며, 자아존중감과 신체 인식을 성교육의 중심에 둡니다. 특히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례를 통해 ‘다름’을 고려한 맞춤형 성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합니다.
삶의 이야기로 풀어낸 성
4장에서 6장에 이르기까지, 이 책은 우리가 어떻게 세상에 태어났고, 사춘기 동안 어떤 신체적·심리적 변화를 겪는지를 따뜻하게 풀어냅니다. 성교육이 단지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생명의 존엄을 배우고 나 자신을 긍정하는 과정임을 설득력 있게 제시합니다.
또한, 부모가 성교육의 중요한 교육자가 될 수 있도록 5장과 15~16장에서 구체적인 방법과 대화법을 소개합니다. 많은 부모들이 ‘어떻게 말해야 할지 몰라서’ 성교육을 주저하지만, 이 책은 실수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아이들과 성을 이야기할 수 있는 길을 안내합니다.
감정, 관계, 그리고 윤리
성교육에서 간과되기 쉬운 감정과 욕구에 대한 이해는 7장에서 깊이 있게 다루어집니다. 청소년기의 감정 변화, 성적 호기심, 그리고 그것을 건강하게 표현하고 관리하는 법은 우리 아이들의 마음을 지키는 중요한 보호막입니다.
8장부터 11장까지는 성윤리와 권리, 관계 속 경계, 동의의 중요성, 성평등과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예방 등 보다 확장된 사회적 주제를 다룹니다. 특히, 디지털 시대의 성 윤리를 다룬 10장은 현실적인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온라인에서의 성적 권리와 책임을 함께 생각하게 만듭니다.
장애인을 위한 성교육, 이제는 ‘권리’로 바라봐야 합니다
이 책의 후반부인 13장부터 20장까지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성교육에 집중합니다. 기존 성교육에서 소외되기 쉬운 이들을 위한 세심한 배려가 돋보이며, 성인 발달장애인의 연애, 결혼, 피임 교육에 이르기까지 놓치지 않고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사랑할 권리, 함께 살아갈 권리’라는 챕터에서는 장애인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사회의 편견을 꼬집고, 인간다운 삶의 권리로서 연애와 성을 바라보는 인식을 제안합니다. 이는 단순한 이론이 아닌 실제적인 교육 구성과 실천 가이드를 담고 있어, 현장의 교육자나 부모 모두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킬 것입니다.
성교육, 모두에게 진심으로
에필로그에서는 결국 ‘진심’이라는 단어로 이 책의 핵심을 되새깁니다. 성교육은 단지 정답을 알려주는 과정이 아니라, 한 사람의 삶과 마음에 다가가 함께 성장하는 여정임을 말합니다. 성을 이야기한다는 것은 결국 ‘사람’을 이야기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부록에는 자아 탐색, 감정 표현, 가족 이해, 디지털 약속 등 다양하고 흥미로운 활동지들이 포함되어 있어 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모두에게 진심으로 다가가는 성교육』은 이제 막 성을 배우는 아이들부터 자녀에게 성을 어떻게 말해야 할지 고민하는 부모, 그리고 더 깊이 있는 교육을 설계하고 싶은 성교육자까지 모두를 위한 책입니다. 성교육이 두렵거나 어려운 것이 아닌,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이야기’임을 깨닫게 해주는 이 책이야말로, 모두에게 진심으로 다가가는 성교육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입니다.
성교육, 더 깊이 다가가고 싶은 길
처음 여성가족부 사업으로 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아동성 폭력예방강사’ 과정을 통해서 성교육을 공부했을 때, 나는 아무런 지식이 없었고 성장 과정 중에서 단 한 번의 교육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놀랍기도 하고 너무 몰라서 더 알고 싶다는 욕구가 있었지만, 이 길이 내 길이 될 것이라는 생각까지는 하지 못했었다.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면 안 될 것 같다는 막연한 생각은 들었다. 많은 청소년(장애, 비장애)과 성인 발달장애인 당사자를 만나고, 그들의 고민과 질문을 들으며 점점 더 깨닫게 되었다.
성교육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그들의 삶에 진심으로 다가가고 함께 고민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비장애 청소년과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교육과 성인 권교육을 진행하며 가장 크게 느낀 점은 ‘서로 다르지만 같은 존재’라는 사실이었다. 누구나 사랑받고 싶어 하고, 자신의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성에 대한 교육은 여전히 비장애 청소년들에게는 시간이 충분하게 주어지지 않고 있으며 폭력 예방을 위한 정보와 그 상황을 위한 이슈만을 다루고 전달 되는 경우가 많아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교육을 전달하기 어렵고 학생들 또한 학교 성교육을 자신들의 기대 치와는 다른 보편적인 수준이라고 이야기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발달장애 청소년들 또한 자신의 신체 변화나 감정에 대해 이해할 기회조차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들에게 성교육 이란 단순한 성 지식이 아니라, 자신의 몸과 감정을 알고 타인을 존중하는 법을 배우는 과정이다.
나는 여성가족부 장애아동 청소년 성인권교육을 통해 ‘배움’ 이 단순히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성장하는 것임을 실감했다. 청소년들은 때때로 성에 대해 엉뚱한 궁금증을 던지기도 하고, 사회적 편견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그러나 그들과 진심으로 대화를 나누다 보면, 점차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힘을 길러 간다. 그 과정에서 나 역시 많은 것을 배우고 성장했다.
이제 나는 이 경험들을 책으로 엮어내려 한다. 교육 자료를 넘어, 실제 교육 현장에서 겪었던 고민과 변화의 순간들을 담아내고 싶다. 그리고 다양한 교육 방법과 접근 방식을 소개하며, 성교육이 더욱 진정성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고 싶다.
이 책은 단순히 지식을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그동안 걸어온 길을 돌아보는 과정이기도 하다. 부족했던 점을 반성하고, 더 나은 교육을 위해 고민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성교육은 완성된 지식이 아니라, 계속해서 변화하고 발전해야 하는 분야다. 그래서 나는 이 길 위에서 멈추지 않고 더 깊이 공부하고, 더 넓게 소통하며, 더 진심으로 다가가고 싶다.
성교육을 받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몸과 마음을 소중히 여기고, 서로를 존중하는 태도를 배워가는 과정에서 나는 늘 곁에서 함께할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성교육이 단순한 지식을 넘어, 삶을 살아가는 힘이 될 수 있음을 많은 사람과 나누고 싶다.
성교육은 결국 ‘사람’에 대한 교육이다.
나는 앞으로도 이 길 위에서 배우고, 진심으로 다가가서 가르치며, 함께 성장해 나갈 것이다.
1. 사춘기 감정의 변화는 내가 성장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사춘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 시기입니다. 이과정에서 감정의 변화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이는 내가 성장 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사소한 일에 기분이 급격히 변하거나, 이유 없이 불안하거나 우울한 감정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신체 내부에서 호르몬 변화가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감정을 무조건 억누르거나 부정적으로 바라볼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자신이 느끼는 감정이 무엇인지 이해하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화가 나거나 슬플 때, 이를 누군가에게 이야기하거나 글로 표현해보 세요. 이런 과정을 통해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감정을 이해하는 첫걸음은 자신에게 시간을 주는 것입니다. 감정을 분석하고 이름 붙이는 연습을 통해 내가 어떤 상태에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가 왜 이렇게 화가 나는 걸까?”, “지금 내가 불안한 이유는 뭘까?”와 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세요. 또한, 부모님이나 선생님, 친구들과 대화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감정의 변화는 혼자가 아니라 모든 사람이 겪는 일이므로, 이를 통해 공감을 나누고 위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먼저, 사랑과 호기심은 인간관계를 더 깊이 이해하고 배우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누군가에게 끌리거나 호감을 느낄 때, 이는 자신의 가치관과 관심사를 반영하기도 합니다. 이런 감정을 느낄 때, 스스로에게 정직하고 솔직하게 다가가세요.
그리고 상대방을 존중하며 감정을 표현하는 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관심 있는 사람과 시간을 보내거나 대화를 나누는 것은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 다. 변화는 내가 성장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송은주
- 경상북도 구미 거주 - 늘해랑인권교육상담소장e-book초보강사와 기관 담당자를 위한 [지금 시작하면 좋은 발달장애인 인권교육]
목차
서문 - 성교육, 더 깊이 다가가고 싶은 길 4
에필로그 - 진심으로 다가가는 성교육, 그리고 우리의 변화 288
1장 성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성교육이란 무엇인가요? 18
성교육의 목적은 무엇일까요? 18
성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19
2장 성, 나와 너 그리고 우리 이야기
성은 우리의 삶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26
우리가 성교육을 배우는 이유는 자신의 권리를 알고 지키기 위해서입니다 30
성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나와 타인을 존중하는 첫걸음입니다 32
3장 멋진 나를 알고 표현하기
신체의 변화와 자아 존중감 38
내 몸을 사랑하는 첫걸음: 나의 몸 소중한 존재 39
발달장애 청소년과 성 이해의 차이 41
성을 긍정적으로 이해하는 법 41
4장 나의 탄생 이야기
임신과 출산 과정의 여정 50
생명의 시작, 정자와 난자의 아름다운 여정 56
나는 이미 사랑받는 존재로 이 세상에 왔어요 58
5장 성교육은 가족관계 안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가족의 이해와 기대로부터 자녀는 성장합니다 62
건강한 가족도 갈등은 있습니다 64
가족 간에도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경계’가 있습니다 65
건강하고 행복한 부모-자녀 대화법 67
부모가 자녀에게 성적 경계를 교육할 때 이렇게 실천하면 좋아요 72
6장 사춘기, 달라지는 나
사춘기 동안 우리의 몸은 이렇게 변화합니다 79
신체 변화는 자연스러운 과정임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법을 배웁니다 81
내 몸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고 존중해야 합니다 89
변화에 대한 고민, 어떻게 해결할까요? 92
건강한 생활 습관이 중요한 이유 93
실천하기 쉬운 건강 습관 93
건강한 습관을 지속하는 방법 94
7장 감정과 욕구, 나의 마음 알아가기
사춘기 감정의 변화는 내가 성장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99
사랑과 호기심, 성적 욕구는 나의 일부임을 인정하고 건강하게 표현합니다 104
감정과 욕구를 관리하고 균형 있게 받아들이는 법을 배웁니다 106
8장 관계 속에서 나를 지키기
건강한 관계는 서로의 경계를 존중하는 데서 시작됩니다 111
동의의 중요성과 거절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연습하도록 합니다 117
존중과 배려를 통해더 나은 관계를 만드는 방법을 생각해봅니다 118
인터넷 속 내 권리 125
9장 성, 건강,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
피임은 나와 타인의 건강을 지키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130
성병은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예방 방법과 대처법을 알아봅니다 134
성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가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것을 배웁니다 136
10장 디지털 시대의 성 윤리
디지털 성범죄의 증가 140
디지털 환경에서는 나의 정보와 이미지를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141
성적표현물은 현실을 왜곡시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142
온라인 공간에서도 성 윤리를 지키는 방법을 배우고 실천해봅니다 144
11장 성평등과 차별 없는 세상: 더 나은 세상을, 미래를 위하여
성평등은 남녀 모두에게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줍니다 152
젠더 고정관념은 왜 문제가 되는지,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생각해 봅시다 156
성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자세가 우리 사회를 더 풍요롭게 만듭니다 159
12장 성폭력, 예방하고 대처하기
성폭력은 나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입니다 166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우리가 할 일을 배워 봅니다 167
성폭력 피해를 입었을 때 안전하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 175
13장 함께하는 성교육
발달장애 부모님이 궁금해하는 성에 대한 질문과 답변 181
비장애 청소년 부모님이 궁금해하는 성에 대한 질문과 답변 184
14장 신체 명칭 이해의 중요성을 이해합니다
생식기의 기능과 역할을 배웁니다 189
신체 명칭을 정확히 알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191
신체 명칭 교육이 자기 보호 향상에 미치는 영향 196
15장 부모가 성교육할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있습니다
부모가 성교육을 진행할 때 이런 실수를 합니다 202
부모들이 발달장애 자녀의 성교육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실수입니다 206
16장 부모가 가정에서 성폭력 예방 교육을 실천하는 방법들을 알아봅니다
부모와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성폭력 예방교육 8가지 방법을 알아봅니다 212
성폭력 예방교육, 아빠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217
아빠가 자녀와 함께 즐겁게 할 수 있는 성폭력 예방 놀이를 소개합니다 221
17장 사랑할 권리, 함께 살아갈 권리
초등학생의 이성 교제 존중해야 합니다 229
청소년 이성 교제 어른들이 바라보는 시각입니다 233
발달장애 청소년도 성교육 수업 중 ‘연애’ 가장 관심 있어 합니다 238
18장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성교육도 필요합니다
성교육의 필요성을 넘어서 권리로 보는 인식이 필요합니다 252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성교육의 핵심 요소는 이것입니다 253
성교육의 현실적 어려움이 여전히 있습니다 259
19장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피임 교육 : 올바른 선택과 건강한 성생활을 위한 가이드
피임 교육의 핵심 요소입니다 264
피임 교육 진행 시 고려해야 할 점이 있어요 267
건강한 성생활을 위한 추가 교육이 필요합니다 270
20장 성인 발달장애인의 연애와 결혼 교육 구성 방법
발달장애인에게는 이런 편견을 가집니다 277
연애와 결혼, 인간다운 삶을 위한 과정입니다 281
우리의 편견을 바꾸는 것이 시작입니다 281
부록
활동지 1 - 자기소개(남) 294
활동지 2 - 자기소개(여) 295
나를 표현하는 권리 296
감정표현 표정 그리기 297
활동지 3 - 선물 같은 나 298
활동지 4 - 나의 탄생일지 299
활동지 5 - 가족 안에서 관계 알기 300
활동지 6 - 감정 알아가기 302
활동지 7 - 사춘기 탐험 304
활동지 8 - 장난과 폭력 구분 체크리스트 308
활동지 9 - 성폭력예방스타그램 310
활동지 10 - 우리의 디지털 약속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