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아내의 일기를 읽으며 정리한 이 책의 저자는 국내 암 혈관 분야를 개척한 과학자로,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과 한국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호암상’을 수상한 김규원 서울대 명예교수이다. 서울대 약대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 생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하버드 의대 암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으며, 부산대 분자생물학과와 서울대 약학대에서 교수를 지냈다. 오랜 기간 아내의 일기를 읽은 김규원 명예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아내와 같이 산 지난 37년을 처음부터 다시 산 행복한 느낌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함께 산 것이 37년 아니라 그 두 배인 74년인 것 같다. 세월과 함께 메말라버린 30여 년 전의 일상사도 바랜 색깔이 다시 찬란하게 빛나고 살아 움직이는 풍요로움을 맛보았다. 우리는 처음 만나 짧고 짧은 19일 만에 결혼했지만, 그 짧은 만남의 시간은 37년을 지나 74년에 이르는 길고도 긴 여정이 되었다.”
출판사 리뷰
아내의 일기를 읽는 과학자
아내가 그토록 바라던 대로 딸아이의 결혼 후 아내의 생일날이었다. “이제는 딸애도 없고 둘만 있으니 구태여 생일상을 차리지 말고 생일인 사람이 정해서 괜찮은 음식점에서 식사하자고 했다. 생일카드도 이제는 쓰지 말고 말로 축하하자고 했다. 그동안 우리 부부는, 특히 내가 무덤덤하고 무뚝뚝하여 감정을 말로 잘 표현하지 않았는데 이제는 글보다 말로 좀 더 다정다감하게 나타내자고 했다. 그리고 마지막이라며 생일카드를 써주었다. 그런데 이것이 정말 ‘마지막’ 생일카드가 되고 말았다.”
류머티스 관절염에 오랫동안 시달려온 아내는 대학병원에 입원하고 항암치료를 하는 동안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아내를 보내고 집으로 돌아와서 가장 먼저 시작한 일은 아내가 쓴 가계부와 일기장을 찾아 그 전모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1년 반 동안 아내가 남긴 기록을 읽었다. 만난 지 19일 만에 결혼하고, 37년간의 함께 산 기간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아내의 일기를 읽으며 정리한 이 책의 저자는 국내 암 혈관 분야를 개척한 과학자로,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과 한국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호암상’을 수상한 김규원 서울대 명예교수이다. 서울대 약대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 생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하버드 의대 암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으며, 부산대 분자생물학과와 서울대 약학대에서 교수를 지냈다. 오랜 기간 아내의 일기를 읽은 김규원 명예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아내와 같이 산 지난 37년을 처음부터 다시 산 행복한 느낌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함께 산 것이 37년 아니라 그 두 배인 74년인 것 같다. 세월과 함께 메말라버린 30여 년 전의 일상사도 바랜 색깔이 다시 찬란하게 빛나고 살아 움직이는 풍요로움을 맛보았다. 우리는 처음 만나 짧고 짧은 19일 만에 결혼했지만, 그 짧은 만남의 시간은 37년을 지나 74년에 이르는 길고도 긴 여정이 되었다.”
아내에게 한 약속
아내는 노트 88권에 이르는 방대한 기록을 남겼다. “오랫동안 아팠고 내성적인 성격이라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 하루에 몇 시간씩 일기와 가계부 등 여러 가지를 노트에 기록하고 있었다.” 그렇게 공들여 적은 일기를 아내는 남겨놓지 않고 “나중에 다 없애 버리겠다는 말도 가끔 했다.” 김규원 교수는 “그러지 말고 잘 보관했다가 나중에 책으로 내자고, 개인 생활사의 귀중한 기록이 될 수 있다고 설득했었다.” 그리고 “아내는 내성적이고 소극적인 성품에다가 자신의 이름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어서 많은 경우 내 뒤에 숨어 지냈고 자신을 내보이려 하지 않았다. 그런 아내가 안쓰럽고 안타까워 아내의 일기를 책으로 출판할 때는 아내 이름을 맨 앞에 두기로 약속을 했다.” 나중에 세 식구 이름으로 책을 같이 내자고 했다.
결혼과 함께 시작된 아내의 일기는 부부의 이야기이기도 하고 딸아이의 성장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책 《아내의 일기》는 일기를 쓴 아내 김소주, 일기와 함께 성장하고 글과 그림을 보탠 딸 김선재, 그리고 이 모두를 읽고 정리한 남편 김규원이 함께 쓴 세 가족의 이야기이다.
김규원 교수는 암 연구자임에도 2006년에 비강암이 발생하여 20년 가까이 투병 중이다. 두 차례에 걸친 재발과 그 치료의 후유증으로 얼굴의 일부가 괴사되고 있다. 괴사 부위의 출혈과 통증에 시달리면서도 깨알 같이 써내려간 아내의 일기를 읽고 정리했다. 그리고 드디어 이 책 《아내의 일기》가 나왔다. 이제 노과학자는 이렇게 말한다. “이렇게 내 몸은 계속 흘러가듯 변화하고 있다. 거기에 따라 내 마음도 수레의 두 바퀴처럼 같이 흘러간다. 딸아이를 시집보내는 꿈이 아내가 고통을 감내하게 했듯, 아내가 남긴 따뜻한 기억과 그리움이 나를 숨쉬게 한다. 우리가 함께한 시간을 더듬으며 그림을 그리고 그리움을 새긴다.”
그리고 이렇게 덧붙였다. “이렇게 당신과 한 약속을 지켰다고, 그 약속을 지킨 책이 이렇게 나왔다고, 봉안당의 아내 영정 앞에 가져갈 계획입니다.”
현재 김규원 교수는 과학자로서의 마지막 소임으로 생명과학 관련 도서를 번역하면서, 어린 시절부터 하고 싶었던 그림 그리기에 빠져 있다.

아내는 가계부와 일기로 37년 동안의 결혼생활을 기록했다. 그 기록에는 아내의 특출한 기억력과 꼼꼼함으로 극히 세밀한 부분의 일상 사도 빠뜨리지 않고 써놓았다. 그리고 자신의 내밀한 감정과 깊은 마 음속 생각도 진솔하게 표현했다. 하루에 몇 시간씩 쓰기에 몰입하여 그날의 기억과 대화하면서 병마의 고통과 마음의 상처나 무력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에서 벗어나는 자기 정화의 시간을 가졌다. 그 결과 88권의 꽤 방대한 기록물이 축적되었다. - 머리말
아내는 일기에 자신의 내면의 생각이나 마음속 이야기도 빠뜨리지 않고 적어 놓았다. 당시에 아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짐작하기도 했지만 이제야 좀 더 정확히 파악하게 되었다. 특히 몸이 평소보다 유난히 아파 내게 밥을 차려 주는 것이 그렇게 어려웠던 날들도 지금에서야 알게 되었다. 그런 사정을 모르고 출장이나 외출에서 돌아와 밥을 제대로 해주지 않는다고 투정 부린 적도 여러 차례 있었다. 아내의 속사정을 이제야 알고 마음이 몹시 아프고 좀 더 아내를 배려하지 못했다는 안타까운 생각에 눈물이 났다.
아내의 일기장은 내게 타임머신과도 같다. 지난 37년 중 내가 가보고 싶은 날의 일기장을 펴보면 당시의 일이 눈앞에 선명히 떠오르니 언제라도 그때로 돌아가 당시의 장면을 생생하게 볼 수 있다. 아내 일기를 읽는 동안 아내와 같이 산 지난 37년을 처음부터 다시 산 행복한 느낌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함께 산 것이 37년 아니라 그 두 배인 74년인 것 같다. 세월과 함께 메말라버린 30여 년 전의 일상 사도 바랜 색깔이 다시 찬란하게 빛나고 살아 움직이는 풍요로움을 맛보았다. 우리는 처음 만나 짧고 짧은 19일 만에 결혼했지만, 그 짧은 만남의 시간은 37년을 지나 74년에 이르는 길고도 긴 여정이 되었다. - 프롤로그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소주
이화여대 가정대 의류직물학과를 졸업하고 전업주부로 있다가 2022년 12월에 림프암으로 타계했다. 평소 경험하고 관찰한 일상을 남다른 기억력으로 기록해 남겼다. 평생 지속해온 기록이 이 책의 바탕이 되었다.
지은이 : 김선재
이화여대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하고 서울대에서 미술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후, 여러 전시 현장에서 미술교육을 담당했다. 현재는 이화여대에서 시각디자인 박사 과정을 밟으면서, 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지은이 : 김규원
서울대 약대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석사학위, 미국 미네소타대 생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후 하버드 의대 암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하였고, 부산대 분자생물학과 교수를 거쳐 서울대 약대에서 정년퇴임 후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국내 암 혈관 분야를 개척했고,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과 ‘삼성 호암상’을 수상했다.
목차
머리말 같이 산 37년, 그리움을 그리며 37년
프롤로그 마지막 생일카드
마지막 생일카드
아내의 일기
01 신혼생활 보스턴에서 설계한 미래
결혼까지 19일
신혼과 함께 시작한 기록
아내의 식당 아르바이트
삼성 전자레인지와의 인연
보스턴에서의 신혼생활과 생활비
도둑이 들다
02 부산시절 딸과 병아리
귀국, 부산 생활
아내의 기억력과 반찬 수
아내의 옷
혈관 연구와 병아리
임신과 육아일기
출산과 육아
딸아이의 입학
일본에서 두 달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여행
디자이너가 되려나
03 서울시절 고통과 함께한 시간
서울 생활 시작
서울대에서 연구를 시작하다
국내 최고상과 이견대인(利見大人)
미국 동부와 캐나다 토론토 여행
비강암과 유서
두 번의 재발과 후유증
입양아 4명과 미국 간 사연
북한산 둘레길과 한강산책로 완주
아내의 유머
아내의 동아줄
끝없이 자신을 돌아보다
내 걱정을 잠재우는 아내의 말
딸에 대한 바람
04 타계 아내의 지팡이와 희망
악화되는 류마티스 관절염
아내의 지팡이
경로우대증과 유도적합모델
우리 딸 시집가는 날
희망에 대한 일기
고통과 화해하다
이제 잡은 손을 놓으세요
에필로그 그리고 남은 세월
그리움을 그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