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심영보
연세대학교신학대학원(M. Div)영문학박사(Ph.D)대전대학교 영문학교수대전대학교 한방병원 원목(Chaplain)사이버은총교회(Cyber Grace Church) 목사사이버신학연구소장(Head Manager, Cyber Theology Institute)저술과 논문키에르케고르의 콤플렉스와 사이버신학사상(한국학술 정보, 2022)나는 이슬이다(한국학술정보, 2022)사이버신학과 사이버은총(한국학술정보, 2011)은유신학과 디지털-생태신학(한국학술정보, 2012)사이버신학과 디지털교회(한국학술정보, 2008)고갈과 소생의 변증법(한국학술정보, 2006)시간의 본질이란 무엇인가(북랩, 2013)하나님의 실수(에세이퍼블리싱, 2010)마음의 지도(번역서, 넥서스, 1997)“키에르케고르의 콤플렉스”“죽음의 미학”“So It Goes의 미학”“우연적 필연성/필연적 우연성”외 20편Blog: http://blog.naver.com/jdewpoint
감사의 글
서문
PART I
1. 인간이란
2. 나는 반사경이다.
3. 나는 서광환자였다.
4. 나는 예언자가 아니다.
5. 나는 왜 기독교에서 자랐는가?
6. 나는 쇠파리다.
7. 나는 여성혐오증자이다.
8. 나는 어머니가 없다.
9. 나는 빼기를 더 잘한다.
10. 나는 자살에 실패했다.
11. 나는 날개 잘린 새처럼 미끼가 되었다.
12. 나는 스토이시즘을 옹호한다.
13. 나는 천재이다.
14. 나는 행복하다.
15. 나는 그리스인이다.
16. 나는 철학자이다.
17. 나는 군주제를 옹호한다.
18. 나는 안락사를 꿈꾼다.
19. 나는 해커작가다.
20. 나는 양심의 살인자이다.
21. 나는 나무처럼 그림자가 없다.
22. 나는 “약속의 땅”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
23. 너는 돼지와 함께 저녁 식사를 하고 있다.
24. 너는 탕자야!
25. 너는 원시인이다.
26. 너는 자기-기만에서 벗어나라.
27. 그는 사마귀였다.
28. 그는 춤꾼이었다.
29. 그는 간질병 환자였다.
30. 그는 사랑에 실패했다.
31. 그는 병든 영혼의 소유자인가?
32. 그는 철저한 논리학자이다.
PART II
1. 무신론자가 되게 해주신 주님께 천 번 감사드린다.
2. 공격과 방어는 단 하나의 머리카락 안에 있다.
3. 소크라테스는 가장 추한 인간이었다.
4. 빌라도를 존경하라.
5. 지금도 종교재판이 열리고 있다.
6. 카르페 디엠은 현실 도피적이다.
7. 기독교의 공식적인 선포는 궤변적이다.
8. 하나님을 교묘하게 제거하는 방법
9. 하나님은 집이 필요 없다.
10. 기독교는 존재하지 않는다.
11. 최고의 예언이 무엇인가?
12. 시간과 미래의 의미란
13. “균형”의 의미란
14. “단독자” 사상은 어디에서 패러디한 것인가?
15. 누가 이웃인가?
16. 부자로 죽기 위해 가난하게 산다.
17. 진정한 공동체는 무엇인가?
18. 코로나-19와 콜레라
19. 겨울의 미학
20. 인간은 지푸라기에 걸려 넘어진다.
21. “어찌하여 나를 버리시나이까?”
22. 호스피스는 마지막 임종자리다
23. 하나님은 우리의 눈물을 씻어 줄 것이다.
24. 성경이란?
25. 예수 그리스도는 행복하다.
26. 기도
PART III
1. 정치학
1) 정치는 패러디다.
2) 민주주의와 공산주의
3) 정부의 형태
2. 경제학: 돈은 분자이다.
1) 모든 것이 돈의 주위를 맴돌고 있다.
2) 돈은 분자이다.
3) 실존의 경제학과 파산선고
4) 자본의 투자론, 그 우선순위는 무엇인가?
5) 경제적 참회
3. 양심론: 달은 지구의 양심이다.
1) 양심의 심리학
2) 양심은 자아-계시인가?
3) 양심의 문제에 걸리는 것은 무엇인가?
4) 양심은 부끄럽게 만들고 수줍어하게 만드는 영이다.
5) 양심은 유통기한이 없다.
6) 양심을 일깨워주는 기도
4. 자유론: 어금니는 자유가 있는가?
1) 자유란 무엇인가?
2) 선택의 자유는 유일한 형식적인 조건이다.
3) 어금니의 자유
4) 자유는 “좁은 길”이다.
5) 영은 자유를 자극한다.
5. 의지론: 의지는 절망의 공식이다.
1) 의지의 결정적 요인
2) 인간은 자기 자신의 별이다.
3) “만약”에게 모든 것을 거는 것은 회의주의 일종이다.
4) 의지는 절망의 공식이다.
5) 눈 뜬 장님을 어깨에 짊어진 강인한 시각장애인이다.
6. 모방론: 세상을 향하여 죽으라.
1) 그리스도는 원형이다.
2) 패러디 메커니즘
3) 반응모방
4) 감사는 모방이다.
5) 모방하지 않은 자는 범죄자이다.
6) 모방은 “세상을 향하여 죽는 것”이다.
7. 윤작론: 희망을 포기하라!
1) 권태는 모든 악의 뿌리이다.
2) 하나님의 윤작
3) 19가지 윤작 원리
8. 의사소통론: 대화의 단절은 지옥이다.
1) 감추기 방식
2) 드러내기 방식
3) 감추기와 드러내기의 융합
9. 사랑론: 나를 가장 불행하게 만드는 사람을 사랑할 수 있는가?
1) 위험에 노출된 사람들
2) 땅콩 한 개의 사랑
3) 사랑의 삼각형
10. 행복론
1) 행복이란 무엇인가?
2) 행복 반전의 변증법
3) 그물에 걸린 물고기는 행복한가?
4) 행복은 통곡하고 슬퍼하는 것인가?
5) 행복의 내공은 무엇인가?
6) 절대적 행복
7) 가장 사랑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누구인가?
8) 순교자들은 행복했던가?
9) 아멘의 행복
11. 우정론: 가롯 유다는 예수의 친구인가?
1) 날개 없는 사랑이다.
2) 우산은 내 친구
3) 우정은 개울이다.
4) 가롯 유다는 예수의 친구인가?
5) 빌라도는 예수의 친구이다.
6) 우정을 위한 기도
12. 게릴라론: 게릴라들은 진리의 비밀요원인가?
1) 게릴라는 1회분의 작은 알약이다.
2) 누가 게릴라인가?
3) 게릴라들은 순교자들이다.
13. 자기-기만론: 자기기만의 전략은 산파법이다.
1) 카멜레온형 자기기만을 배운 것인가?
2) 자기기만은 “최적가치체계”를 무시하는가?
3) 기만의 틀은 필수적인가?
4) 자기기만의 전략은 산파법이다.
5) 자기기만은 심리적 방어 메커니즘인가?
6) 그리스도는 누구에게 “직격탄”을 날리는가?
14. 침묵론: “무덤보다 더한 침묵”은 무엇인가?
1) “무덤보다 더한 침묵”은 무엇인가?
2) 기도의 아버지는 침묵이다.
3) 침묵은 천재이다.
4) 침묵은 영성의 방법이다.
5) 침묵은 영적 생활의 조건이다.
6) 침묵을 지키는 사람만이 순교자가 될 수 있다.
7) 아르키메데스의 침묵
8) 피타고라스의 침묵
9) 침묵은 가장 잔인하고 끔찍한 형벌이다.
10) 그리스도의 침묵
11) 침묵을 위한 기도: 침묵을 축복해 주소서.
15. 그림자론
1) 그림자는 사고 싶지만 팔 수 없다
2) 우울증은 나의 그림자이다.
3) 부성애는 그림자일 뿐이다.
4) 하나님은 회전하는 그림자가 없다.
16. 귀신론: 내가 귀신인가?
1) 조현병
2) 비가 그친 후에 솟아나는 버섯들은 누구인가?
3) 누가 메시아의 비밀을 먼저 알아보는가?
4) 영의 생각은 절제와 인내의 정오시간이다.
17. 죽음론: 거위들 발에 짓밟혀 죽을 것인가?
1) 어느 순간이든 낫을 위해 여물어 있어야 한다.
2) 죽음을 환영하라.
3) 젊은 청년의 죽음: 십자가에 못 박으라.
18. 카테고리론
1) 가능성, 실재성, 필요성은 가장 사랑하는 카테고리다.
2) 카테고리들은 실존의 축약이다.
3) 영의 카테고리는 무엇인가?
19. 패턴론: 가장 이상한 패턴
1) 원형패턴
2) 랜덤패턴
3) 이동패턴
4) 도약패턴
20. 문학론: 익명자들은 아바타들이다.
1) 익명의 아바타들
2) 미완성된 소설들
21. 유머론
1) 웃음은 채찍이다.
2) “십계명”의 완성은 “주기도문”이다.
3) 유머는 고통이다.
22. 무신론과 다신론: 인간의 무의식은 신의 의식이다.
23. 공자론: 정사각형은 원의 패러디이다.
1) 정사각형은 원의 패러디이다.
2) 중국은 가장 깊숙한 정사각형이다
24. 종교다원주의
1) 진리의 복수성
2) 이성은 나에게 신과 같다.
25. 실존주의: “임에도 불구하고”는 실존주의의 주제이다.
1) 어느 손가락을 펼지 아시나요?
2) 실존이 본질보다 우선이다.
3) 반은 천사요, 반은 짐승이다.
4) 죽음 앞에 선 인간인가, 신 앞에 선 인간인가?
5) 실존은 본질을 만나야만 한다.
6) “임에도 불구하고”는 실존주의의 주제이다
26. 에너지와 에테르론: 영적 에너지는 어떻게 존재하는가?
1) 종교적 체험의 고백
2) 3가지 에너지
3) 신의 에테르적 숨결
4) 영적 에너지는 어떻게 존재하는가?
5) 기독교적 인간은 영이 되는 것이다.
27. 영적 에로티시즘
1) 자기기만이다.
2) 섭리로부터 암시인가?
3) 영적 에로티시즘이다.
4) 가장 비참해지지 않았더라면
28. 새와 백합에게 배우라
1) “키메라”의 메타포다.
2) “비교메커니즘” 보다는 ‘모방메커니즘’이다.
3) 인간 의인화과정이다.
4) “나는 한 마리 새이다.”
5) “기독교”라는 용어를 토로해 내고 있는가?
29. 삼위일체론: 키메라와 같은 존재론이다.
1) “X에 관한 내용”이다.
2) 삼엽형과 삼위일체 문장
3) 키메라와 같은 존재
30. 예정론: 앉은뱅이 경건의 도그마에 불과하다.
1) 낙태이다.
2) 상대적이다.
3) 개미사자와 같다.
4) 가정법이다.
5) 그리스도의 예정론은 존재하는가?
31. 성찬론
1) 성만찬은 “객관성”의 상징이다.
2) SK는 최후의 순간에 성만찬을 거부했다.
3) 성만찬은 예수의 ‘생전 장례식’이다.
4) 성찬식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가?
32. 도약이론: 신비롭고도 순간적인 공간이동인가?
1) 생략삼단논법
2) 파토스적 변화이다.
33. 파토스 신학: 기독교 최고의 파토스는 무엇인가?
1) 파토스(π?θο?)란 무엇인가?
2) 신앙의 열정
3) 3종류의 파토스
4) 신앙이란 무엇인가?
5) 파토스의 죽음
6) 위대한 비밀은 하나님의 숨겨진 파토스이다.
34. 무장된 중립성
1) 뫼비우스 띠
2) 괄호철학
3) 권위 없이
4) 인간은 대립쌍의 연합이다
35. 울타리 기둥에 올라 온 거북이
성경: 이사야 51:1
PART IV
사이버신학: 소리를 눈으로 보게 하라.
나가는 말 /
미주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