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변관석
국립창원대학교 특수교육과를 졸업하고, 2010년부터 경상남도의 몇몇 공립 특수학교에서 담임교사, 보직교사 등을 거쳐 오고 있습니다. 동대학원에서 지적장애 및 발달지 체아 교육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2019년 현재 27만 명 이상이 다녀간 네이버 블로그 <석이 선생님의 특수교육 이야기>를 수년에 걸쳐 운영하면서 증거기반 실제(Evidence-Based Practices)를 포함하는 국내외의 특수교육 관련 지식이나 연구내용, 경험들을 선생님, 학부모님, 예비 선생님 등과 조금이나마 공유해 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급 등재학술지에 십여 편 이상의 논문을 주저자로 게재하였으며, <학교와 가정에서 활용하는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중재>, <단일대상설계를 활용한 현장연구 논문작성법> 그리고 특수교육 에세이 <나비효과를 꿈꾸는 특수교육 이야기, 나는 특수교사다!> 세 권의 책을 용기 내어 출판하기도 하였습니다.과학적인 연구를 통해서 효과성이 충분히 입증된 증거기반실제와 발달장애를 가진 학습자의 현재와 미래의 독립적인 삶을 위한 교육과정이 학교와 가정을 포함하는 특수교육 현장에 최우선으로 반영되는 데 제 깜냥에 맞게 작게나마 기여하고 싶은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머리말
1장 증거기반 특수교육 교육 방법: ABA 원리기반의 체계적 교수란?
1. 증거기반실제란 무엇일까요?
증거기반실제(Evidence-Based Practices)의 개념
장애의 유무를 떠나서 공통으로 성과가 입증된 교육 원칙들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증거기반실제
2. 응용행동분석(ABA)과 학습의 기본 원리
응용행동분석(Applied Behavior Analysis)의 이해
행동수정과 응용행동분석
응용행동분석에서의 학습 기본 원리: 강화
3. 체계적 교수는 무엇인가요?
2장 체계적 교수는 어떻게 진행하나요?
1. 목표기술을 선정하고, 관찰 가능하게 정의해요
목표기술 선정하기
목표기술을 관찰 및 측정 가능하도록 조작적으로 정의하기
2. 목표기술을 한 번에 가르칠 수 있을 만큼 작게 나누어요
비연속적(discrete) 개별 기술의 경우
연쇄적(chained) 기술의 경우
3.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요
비연속적(discrete) 개별 기술의 경우
연쇄적(chained) 기술의 경우
4. 목표기술에 대한 현재 수행 수준을 파악해요
비연속적(discrete) 개별 기술의 경우
연쇄적(chained) 기술의 경우
5. 목표기술을 가르치는 순서를 결정해요
비연속적(discrete) 개별 기술의 경우
연쇄적(chained) 기술의 경우
6. 목표기술을 체계적으로 가르쳐요 - 체계적인 촉진 전략
학습자의 주의집중 유도하기
자극 촉진(Stimulus prompts)의 유형과 전략
반응 촉진(Response prompts)의 유형과 전략
7. 피드백을 제공해요 - 강화와 잘못된 점 고치기(오류 수정)
강화(reinforcement)
교정적.교수적 피드백(corrective and instructive feedback)
8. 성취도를 자주 평가해요 - 상시적인 측정과 그래프 그리기
9. 습득한 목표기술의 유지와 일반화를 도모해요
숙달 및 유지를 위한 방법
일반화를 위한 방법
10. ‘교수’에서 ‘학습’으로 나아가요 - 자기촉진 체계, 자기관리 전략
자기촉진 체계(self-prompting system)
자기관리 전략(self-management strategies)
3장 발달장애 청소년 ‘자립생활’ 지원하기
1. 기능적 학업 기술
기능적 기본 지식(인지)
기능적 의사소통 기술
기능적 읽기 기술
기능적 쓰기 기술
기능적 수학 기술
2. 기초 생활 기술
화장실 이용 관련 기술
운동 및 음식 섭취 관련 기술
옷 입기 관련 기술
위생 관련 기술
기타 기초 생활 기술
3. 가정생활 관련 기술
4. 지역사회 적응 기술
5. 안전 및 건강관리 기술
6. 정보통신기기 활용 기술
7. 사회성 관련 기술
8. 진로.직업교육 관련 기술
기초 작업 기술
진로.직업생활 준비 관련 기술
나가면서 : 가정에서 세우는 자녀의 자립생활을 위한 장기 플랜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