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문학동네에서 2010년 제정하여 2015년 6회째를 맞는 '젊은작가상'은 등단 십 년 이내 작가의 중단편소설을 심사 대상으로 삼는다. 젊은 작가들을 격려하고 독자에게는 새로운 감각과 대담한 정신으로 충만한 젊은 소설의 기운을 느끼게 해주고 있는 '젊은작가상'. 2015년 제6회 수상자는 정지돈, 이장욱, 윤이형, 최은미, 김금희, 손보미, 백수린이다.
일곱 명의 젊은 평론가로 이루어진 선고위원들은 2014년 한 해 동안 발표된 단편소설 가운데 2005년 이후 등단한 작가들의 작품을 검토했다. 계간지와 월간지는 물론 각종 웹진, 문예지 발표 없이 바로 단행본으로 묶인 작품들까지 심사 대상이 되었고, 장시간의 논의 끝에 총 열일곱 편을 추렸다.
본심은 구효서, 권희철, 류보선, 신경숙, 정영문, 황종연이 맡았다. 본심 후보작들을 읽은 소감을 나누는 것만으로도 긴 시간이 필요했지만 일곱 편의 수상작과, 그중 한 편의 대상작을 선정하는 데에 큰 이견은 없었다. 대상 수상작은 정지돈의 '건축이냐 혁명이냐'이다.
'건축이냐 혁명이냐'는 한마디로 "괴물 같은 작품"(문학평론가 황종연)이다. 작가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세손이자 근대건축가인 '이구'라는 실존 인물의 일화를 모아 전하는 형식으로 역사와 허구의 협간에서 현란한 곡예를 펼치며 지적 소설의 모범적인 전형을 보여준다. 정지돈은 허구의 여지가 매우 적은 사실에 이들이 통과해온 시간적 깊이를 부여함으로써 '참혹한' 농담이라는 소설적 영토를 탄생시켰다.
출판사 리뷰
수상작
대상 정지돈 · 건축이냐 혁명이냐
이장욱 · 우리 모두의 정귀보
윤이형 · 루카
최은미 · 근린(近隣)
김금희 · 조중균의 세계
손보미 · 임시교사
백수린 · 여름의 정오
[심사위원] 구효서 권희철 류보선 신경숙 정영문 황종연
[선고위원] 금정연 양재훈 전소영 양경언 오혜진 윤재민 이재경
“문학 텍스트만이 갖는 반전이 이번 심사에서 통쾌하게 이루어졌다!”
문학동네에서 2010년 제정하여 올해로 6회째를 맞는 ‘젊은작가상’은 등단 십 년 이내 작가의 중단편소설을 심사 대상으로 삼는다. 젊은 작가들을 격려하고 독자에게는 새로운 감각과 대담한 정신으로 충만한 젊은 소설의 기운을 느끼게 해주고 있는 ‘젊은작가상’. 특별한 개성을 간직한 한국문학의 미래와 함께하는 ‘젊은작가상’의 2015년 제6회 수상자는 정지돈 이장욱 윤이형 최은미 김금희 손보미 백수린이다. 가장 활발히 창작활동을 펼치고 있는 이들 작품을 통해 우리는, 한국문학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해볼 수 있는 지형도를 갖게 되었다.
★
일곱 명의 젊은 평론가로 이루어진 선고위원들은 2014년 한 해 동안 발표된 단편소설 가운데 2005년 이후 등단한 작가들의 작품을 검토했다. 계간지와 월간지는 물론 각종 웹진, 문예지 발표 없이 바로 단행본으로 묶인 작품들까지 심사 대상이 되었고, 장시간의 논의 끝에 총 열일곱 편을 추렸다.
본심은 구효서 권희철 류보선 신경숙 정영문 황종연 여섯 분이 맡아주었다. 본심 후보작들을 읽은 소감을 나누는 것만으로도 긴 시간이 필요했지만 일곱 편의 수상작과, 그중 한 편의 대상작을 선정하는 데에 큰 이견은 없었다. 정지돈의 작품이 ‘젊은작가상’에 걸맞은 새로움과 활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작년 각각 첫 소설집을 발표한 김금희와 백수린이 젊은작가상을 처음 수상하게 되었다. 고유한 소설세계를 탄탄히 구축해나가고 있는 윤이형과 최은미가 지난해에 이어 수상, 올해로 등단 십 주년을 맞은 이장욱이 총 4회 수상으로 최다 수상을 하게 된 것과 손보미가 4회 연속으로 수상하여 기록 경신이 예상되는 것도 놀랍고 축하할 일이다. 앞으로도 젊은작가상은 재능 있는 신인 작가들을 알맞은 때에 발견해내고 즐겁게 놀라는 일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활달한 지성과 진지한 위트”로 “독보적인 매력”을 뽐내며 “경험이 불가능해 보이는 세계에서 파괴적인 경험의 계기를, 일종의 멜랑콜리적 향수를 통해 열고 있다”는 평과 함께 2013년 『문학과사회』 신인상으로 등단한 정지돈은, 삼 년 차의 무서운 신예다. 제6회 젊은작가상 대상 수상작으로 선정된 정지돈의 「건축이냐 혁명이냐」는 한마디로 “괴물 같은 작품”(문학평론가 황종연)이다. 작가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세손이자 근대건축가인 ‘이구’라는 실존 인물의 일화를 모아 전하는 형식으로 역사와 허구의 협간에서 현란한 곡예를 펼치며 지적 소설의 모범적인 전형을 보여준다. 정지돈은 허구의 여지가 매우 적은 사실에 이들이 통과해온 시간적 깊이를 부여함으로써 ‘참혹한’ 농담이라는 소설적 영토를 탄생시켰다. 건축사에 관한 깊고도 넓은 박물지적 식견과 유머러스한 문장, 활력이 넘치는 스토리텔링으로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의 근대사를 의미 있게 조망해낸 이 소설에서 독자들은 탈장르적 서사예술의 묘미를 새뜻하게 경험하게 될 것이다.
★
젊은작가상 수상자들에게는 상금 각 500만원과 트로피가 수여되며, 수상작품집의 인세(10%)가 상금을 상회할 경우 초과분에 대한 인세를 수상자 모두에게 똑같이 나누어 지급한다. 수상작품집은, 젊은 작가들을 널리 알리자는 상의 취지에 따라 출간 후 1년 동안은 특별 보급가로 판매한다.
작가 소개
저자 : 황정은
‘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소설’, ‘올해의 문제소설’에 선정되고, 한국일보 문학상, 이효석문학상 등 굵직한 문학상 후보에 오르는 등 발표하는 작품마다 문단의 큰 주목을 받아온 작가다.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0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마더」가 당선되며 등단했다. 소설집 『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파씨의 입문』, 장편소설 『百의 그림자』『야만적인 앨리스씨』가 있다. 한국일보문학상, 신동엽문학상을 수상했다.
목차
대상 정지돈 건축이냐 혁명이냐 … 007
이장욱 우리 모두의 정귀보 … 069
윤이형 루카 … 115
최은미 근린(近隣) … 165
김금희 조중균의 세계 … 203
손보미 임시교사 … 245
백수린 여름의 정오 … 287
2015 제6회 젊은작가상
심사 경위 … 329
심사평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