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경제,경영
ESG 경영 패러다임  이미지

ESG 경영 패러다임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경영 전략
지식과감성# | 부모님 | 2025.09.19
  • 정가
  • 22,000원
  • 판매가
  • 19,8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100P (5% 적립)
  • 상세정보
  • 17.2x24.5 | 0.859Kg | 452p
  • ISBN
  • 9791139228052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ESG 경영 패러다임』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중심으로 기업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설계하기 위한 전략적 경영 모델을 제시한다. 이제 ESG는 생존과 투자, 그리고 기업 가치의 핵심 기준이 되고 있다.

이 책은 글로벌 공시체계(GRI, SASB, ISSB 등)를 중심으로 ESG 정보를 어떻게 투명하게 공개할 것인지 안내하며, 글로벌 평가체계(EcoVadis, MSCI, Sedex 등)와 실무 적용 사례를 통해 기업이 어떻게 리스크를 관리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각 산업과 기업 규모에 맞는 실행 전략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ESG를 일시적 흐름이 아닌 구조적 전환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경영자, 전문가, 실무자들에게 전략적 통찰과 실천적 프레임을 동시에 제공한다.

  출판사 리뷰

기업은 더 이상 ‘이익만 추구하는 존재’라는 전통적 정의에 머무를 수 없다.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에 대한 책임이 곧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부상했으며, 이는 이미지 제고나 사회공헌 활동의 차원을 넘어 전략적 생존의 조건이 되었다. 『ESG 경영 패러다임』은 바로 이러한 시대적 전환점에서 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구체적이고도 통합적으로 제시한다.

이 책은 ESG의 개념을 윤리 담론이 아닌, 실질적인 경영 프레임으로 전환하는 데 주력한다. GRI, SASB, ISSB와 같은 공시체계를 통해 기업은 어떤 정보를 어떻게 공개해야 하는지를 배울 수 있고, EcoVadis, MSCI, Sedex 등 외부 평가 플랫폼이 요구하는 기준과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실질적인 준비와 대응이 가능하다. ESG는 ‘무엇을 하는가’보다 ‘어떻게 보여주는가’도 중요한 시대이기에, 정보의 구조화와 공시의 전략화는 곧 기업의 경쟁력이 된다.

무엇보다 이 책은 실제 기업의 사례와 산업별 특성에 맞춘 전략을 통해 독자들이 ESG를 의무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경영의 기회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다. 탄소배출 저감, 공급망 리스크 관리, 인권과 노동 기준 준수, 투명한 거버넌스 체계 수립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실행 가이드를 제공하며, ESG 경영이 경영자와 실무자 모두에게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ESG 경영 패러다임』의 가장 큰 장점은 ‘이론-공시-평가-실행’의 네 축을 하나의 흐름으로 엮어냈다는 점이다. 국내외 ESG 트렌드와 정책 흐름은 물론, 중소기업부터 글로벌 기업까지 적용 가능한 현실적 전략을 다룸으로써, 이 책은 ESG의 현장성과 전략성을 동시에 담아냈다. 단편적인 지식이나 선언적 접근이 아닌, 구조적 대응과 전략적 설계가 필요한 독자들에게 이 책은 새로운 관점을 열어준다.

ESG는 특정 기업만의 이슈가 아니다. 이제는 모든 기업이 ‘준비되지 않으면 배제되는’ 환경에 놓여 있다. 『ESG 경영 패러다임』은 ESG에 처음 접근하는 경영자뿐 아니라, 이미 실무를 맡고 있는 전문가들에게도 체계적인 이해와 실행 도구를 제공하는 유용한 나침반이 될 것이다.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 그리고 미래 경쟁력을 고민하는 모든 독자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차재영
· 경영학 박사 · 세무법인 한백택스 대표· 사단법인 청년지식융합협회 이사· CFO 아카데미 연말정산 센터장· 대한상공회의소 CEO 경영 자문위원· 충청일보 ‘굿위드경제야놀자’ 칼럼리스트

지은이 : 정현경
· 컨설팅학 박사· 사단법인 청년지식융합협회 회장 · 굿위드연구소 이사· 굿위드아카데미 원장· 구리원팀로타리위성클럽 의장· 충청일보 ‘굿위드경제야놀자’ 칼럼리스트

지은이 : 이정수
· 경영학 박사· 창업24 대표· 한세대학교 휴먼서비스 대학원 겸임교수 · 경복대학교 서비스경영 겸임교수 · 사단법인 청년지식융합협회 전문위원 · e-커머스 창업자문위원

지은이 : 이주성
· 언론학 석사 · 국제스마트콘텐츠개발원 대표· 한국스마트콘텐츠 전문가협회 회장· ESG 경영 컨설턴트· 사단법인 청년지식융합협회 전문위원

  목차

Prologue
― ESG 경영 패러다임: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전략적 전환

Part 1. ESG의 개념과 시대적 흐름

제1장 ESG 개념과 중요성
1. ESG 정의와 구성 요소
1.1 ESG 개념 이해
1.2 ESG 핵심 요소
1.3 ESG의 다양한 관점

2. ESG 등장 배경과 시대적 발전
2.1 ESG의 등장
2.2 ESG의 발전의 역사
2.3 국내 ESG 확산과 정책 강화

3. 지속가능발전과 ESG의 연계
3.1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개념
3.2 지속가능경영(Sustainable Management)의 이해
3.3 ESG와 지속가능발전의 관계

제2장 ESG 경영의 도입과 과제
1. ESG 경영의 필요성 및 사례
1.1 ESG 경영의 필요성
1.2 국내외 기업의 ESG 도입 사례
1.3 ESG 경영전략과 리스크관리

2. ESG 워싱(washing)의 유형과 문제점
2.1 ESG 워싱(Washing)의 유형
2.2 ESG 워싱의 문제점
2.3 기업의 ESG 워싱 사례 분석

3. ESG 워싱의 법적 규제
3.1 ESG 워싱의 리스크와 법적 대응
3.2 그린워싱(Greenwashing) 방지법 개요
3.3 자본시장 및 제품·서비스 시장 규제

Part 2. 기후 변화와 환경 대응 전략

제3장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대응 전략
1.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과 넷-제로(Net Zero)
1.1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의 개념 정의
1.2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의 필요성과 기업의 역할
1.3 넷-제로(Net Zero)의 의미와 전환 전략

2. 글로벌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 정책과 기업의 대응
2.1 국제기구의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 정책 동향
2.2 기업의 넷-제로 대응 전략과 이행 계획
2.3 탄소 감축 목표설정과 재생에너지 전환 전략

3.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Carbon Neutrality)과 기업의 대응
3.1 탄소 배출량 관리와 감축의 적용
3.2 탄소배출 규제 전략과 기업 대응의 상호보완적 역할

제4장 ESG 금융과 지속 가능한 투자
1. ESG 금융의 이해와 글로벌 확산 동향
1.1 ESG 금융의 핵심 개념과 적용 사례
1.2 블랙록(BlackRock) 래리 핑크(Larry Fink) 회장의 연례 서한
1.3 ESG 금융시장의 성장배경과 최근 동향

2. ESG 금융상품과 투자 전략
2.1 ESG 금융의 핵심 투자원칙
2.2 ESG 금융상품과 적용 기준
2.3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ESG 투자 전략

3. ESG 분류체계: 택소노미(Taxonomy)
3.1 ESG 금융과 택소노미(Taxonomy)
3.2 EU 택소노미(Taxonomy) 구조와 적용 사례
3.3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의 특징 및 과제

Part 3. ESG 공시 및 가이드라인

제5장 ESG 공시제도와 국제표준
1. 글로벌 협약(Global Agreements)과 이니셔티브(Initiatives)
1.1 글로벌 협약(Global Agreements)과 이니셔티브(Initiatives)의 관계
1.2 ESG 글로벌 협약과 이니셔티브의 시대적 발전

2. 국제표준 및 프레임워크의 글로벌 통합 트렌드
2.1 국제표준(International Standards)과 프레임워크(Frameworks) 이해
2.2 글로벌 ESG 공시기준 통합 동향
2.3 ISSB 중심의 국제 협력구조

3. ESG 정보공시의 필요성과 전략
3.1 ESG 정보공시의 필요성
3.2 ESG 공시 규범과 원칙
3.3 글로벌 공시 프레임워크의 활용
3.4 KRX(한국거래소) ESG 공시 가이드

제6장 중대성(Materiality) 평가와 공급망 실사
1. 중대성 평가의 개념과 절차
1.1 중대성 평가의 중요성
1.2 ESG 중대성 평가의 적용
1.3 중대성 평가의 국제 기준과 유형

2. 단일 중대성(Single Materiality)과 이중 중대성(Double Materiality)
2.1 글로벌 공시제도의 중대성 평가
2.2 중대성 평가 프로세스
2.3 기후공시 규칙의 중대성 평가

3. ESG 공급망 실사(Supply Chain Due Diligence)
3.1 ESG 공급망 실사(Supply Chain Due Diligence)의 필요성
3.2 공급망 법률과 규제
3.3 EU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 (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Directive)
3.4 ESG 공급망 평가기관

제7장 ESG 평가·인증·검증 체계의 구조와 활용 전략
1. 글로벌 ESG 평가 체계 개요
1.1 MSCI: 투자 관점의 ESG 등급
1.2 DJSI: 지속가능성 지수의 대표 주자
1.3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글로벌 환경 정보 공시의 표준
1.4 ESG 등급(ESG Rating)과 기업의 지속가능성의 연계

2. ESG 인증(ESG Certification)의 이해와 기업 적용 전략
2.1 ESG(ESG Certification) 인증 유형
2.2 ESG 인증의 전략적 효과
2.3 업종별 ESG 인증 활용

3. 실사형 평가 플랫폼(Assessment Platform)
3.1 에코바디스(EcoVadis)
3.2 Sedex(Supplier Ethical Data Exchange)
3.3 NQC(SupplierAssurance)
3.4 실사형 평가 플랫폼별 평가방식 차이점

4. ESG 검증(Verification)
4.1 책임 있는 기업연합(RBA, Responsible Business Alliance)
4.2 AccountAbility: AA1000AS(AccountAbility Assurance Standard)
4.3 ISAE 3000(International Standard on Assurance Engagements)

Part 4. ESG 경영 전략과 실행체계

제8장 ESG 경영 시스템과 국제표준
1. ISO 국제표준화 기구와 ESG 경영
1.1 ISO(국제표준화기구)의 개요
1.2 ESG 경영과 ISO 표준의 연계
1.3 ISO 표준을 활용한 ESG 경영 전략

2. ISO 경영 시스템 표준과 HLS
2.1 고위 구조(HLS) 개요와 ESG 시스템
2.2 HLS 기반 ISO 표준의 적용 사례
2.3 HLS 경영 시스템의 핵심 원칙
2.4 ESG 시스템 구축의 필수 요소
2.5 ISO 기반 ESG 시스템 도입 기업 사례 비교

3. ESG 경영 시스템
3.1 ESG 경영 시스템 개요와 적용 프레임워크
3.2 ESG 시스템 기반 전략 수립
3.3 ESG 경영시스템의 실행과 지원
3.4 ESG 경영 시스템의 평가와 개선

제9장 ESG 경영 컨설팅
1.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ESG 경영 컨설팅
1.1 ESG 전략 실행을 위한 컨설팅 구성과 원칙
1.2 ESG 경영 컨설팅 프로세스의 단계별 접근
1.3 ESG 컨설팅 시장의 발전 방향과 미래 전망

2. ESG 경영 컨설팅의 필요성과 컨설턴트의 역할
2.1 ESG 경영 컨설팅의 필요성
2.2 ESG 경영 컨설턴트의 역할
2.3 내부 ESG 팀 vs. 외부 컨설팅: 역할과 차이점 비교

3. ESG 경영 컨설턴트의 전문성
3.1 ESG 컨설팅에 필요한 실무 기술과 인증 자격
3.2 ESG 경영 컨설턴트의 핵심역량과 전문 지식

Part 5. ESG 보고서와 커뮤니케이션

제10장 지속가능성보고서(Sustainability Report)
1. 지속가능성보고서의 개념과 필요성
1.1 지속가능성보고서(Sustainability Report)의 의미
1.2 ESG 보고를 위한 글로벌 프레임워크의 이해와 활용
1.3 ESG 보고서를 위한 규제 요건

2. 글로벌 표준 기반 ESG 보고서 작성 전략
2.1 지속가능성경영보고서 작성 프로세스
2.2 고품질 지속가능성 보고서 구성법
2.3 ESG 보고서의 핵심 구성 요소 이해

3. ESG 보고서의 신뢰 구조
3.1 신뢰성 확보를 위한 외부 검증
3.2 데이터 신뢰성과 비교가능성 검토
3.3 ESG 리스크 및 기회 요소 분석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