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병한
경북대학교에서 수의학사(수의사 면허 취득) 및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연구직 공무원(연구사, 1986년)으로 동물바이러스 질병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연구관을 거쳐, 과장(역학조사과, 구제역진단과, 해외전염병과, 구제역백신연구센터장)을 역임 후 정년퇴직(2021년)하였다.국내외 수의학 관련 학술지에 130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40여 건의 특허등록을 한 바 있다. 2020년 『구제역과 돼지열병의 이해』라는 수의학 전문 서적을 출간(한국표준협회미디어)하였다.수의과학 연구·개발 공로를 인정받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 및 「카길애그리퓨리나 연구 기술 대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2021년 국민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숲해설가 과정 교육을 수료하고 산림청으로부터 「숲해설가」 자격(No. 2021-1-15342)을 취득하였다. 이후 북한산 지역의 숲 해설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현재까지 북한산 둘레길 숲 해설을 공부하고 있다.
서문
Ⅰ. 북한산 둘레길과 숲의 중요성
1. 북한산의 지질학적 특성
2. 북한산 둘레길 개요 및 숲 해설 구간 소개
3. 지구 시대 구분과 식물 및 동물 출현 요약표
4. 숲과 문화의 깊은 연관성
5. 숲과 문명의 발상
6. 나무 이름과 존재의 의미
7. 지구의 탄생, 숲의 변천과 활용 방안
8. 우리나라 산림(숲)의 공익적 가치 분석
9. 산림(숲) 치유론
10. 1인 1숲(나무) 지정 캠페인을 제안하며
Ⅱ. 북한산의 빼어난 풍경 소개
1. 흥국사와 전망대에서 남쪽으로 바라본 북한산 풍경
2. 흥국사 뒷산(노고산)에서 남쪽으로 바라본 북한산 풍경
3. 서울 도심지역(남쪽)에서 북쪽으로 바라본 북한산 풍경
4. 북한산 내부에서 본 북한산 근접 풍경
5. 북한산 국립공원 도봉지구 풍경
Ⅲ. 북한산 둘레길 숲 해설 준비
1. 북한산 둘레길 숲 해설 구간 개요 및 참고자료
2. 대중교통으로 해당 지역 찾아가기
Ⅳ. 숲 해설 1 : 산성 입구 – 국사당(밤골농원) 구간
<북한산성 입구 – 효자치안센터 구간>
1. 밤나무(참나무과)
2. 양버즘나무(버즘나무과)
2-1. 계곡 무장애 탐방로 안내
3. 양버들(버드나무과)
4. 아까시나무(콩과)
5. 소나무(소나무과)
6. 층층나무(층층나무과)
7. 복사나무(장미과)
8. 등(콩과)
9. 누리장나무(마편초과)
10. 불두화(인동과)
10-1. 백당나무(인동과, 참고: 불두화 개량 원종 소개)
11. 목련(목련과)
12. 졸참나무(참나무과)
13. 참나무류 관련 자료 조사
13-1. 도토리거위벌레
14. 상수리나무(참나무과)
15. 굴참나무(참나무과)
16. 갈참나무(참나무과)
16-1. 신갈나무(참나무과, 해당 구역에는 없음, 참고자료)
17. 주목(주목과)
18. 향나무(측백나무과)
19. 산딸나무(층층나무과)
20. 버드나무(버드나무과)
21. 수수꽃다리(물푸레나무과)
22. 단풍나무(단풍나무과)
23. 뽕나무(뽕나무과)
24. 대추나무(갈매나무과)
25. 낙상홍(감탕나무과)
26. 탱자나무(운향과)
27. 모과나무(장미과)
28. 음나무(두릅나무과)
29. 섬잣나무(오엽송, 소나무과)
30. 미선나무(물푸레나무과)
31. 백송(소나무과)
31-1. 갈참나무(참나무과)
<효자치안센터 – 박태성 정려비 구간>
32. 고추나무(고추나무과)
33. 헛개나무(갈매나무과)
34. 중국단풍(단풍나무과)
35. 느티나무(느릅나무과)
36. 벚나무(장미과)
37. 메타세쿼이아(측백나무과)
37-1. 섬잣나무(소나무과)
37-2. 반송(소나무과)
38. 구상나무(소나무과)
38-1. 관성사(關聖祠) 소개
39. 금송(금송과)
40. 전나무(소나무과)
41. 서양측백(측백나무과)
42. 자작나무(자작나무과)
43. 물오리나무(자작나무과)
43-1. 누리장나무(마편초과)
44. 작살나무(마편초과)
45. 병꽃나무(인동과)
46. 쪽동백나무(때죽나무과)
47. 일본잎갈나무(소나무과)
48. 국수나무(장미과)
49. 팥배나무(장미과)
50. 개암나무(자작나무과)
50-1. 아까시나무(콩과)
51. 생강나무(녹나무과)
52. 리기다소나무(소나무과)
52-1. 졸참나무(참나무과)
53. 청미래덩굴(백합과)
54. 철쭉(진달래과)
55. 개옻나무(옻나무과)
56. 산초나무(운향과)
56-1. 개옻나무(옻나무과)
57. 노린재나무(노린재나무과)
57-1. 큰광대노린재
58. 노간주나무(측백나무과)
59. 일본목련(목련과)
60. 진달래(진달래과)
61. 산철쭉(진달래과)
61-1. 벚나무(장미과)
62. 덜꿩나무(인동과)
63. 물푸레나무(물푸레나무과)
64. 오리나무(자작나무과)
<박태성 정려비 – 밤골공원지킴터 구간>
64-1. 박태성 정려비
65. 사위질빵(미나리아재비과)
65-1.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밤나무(이상 참나무과), 덜꿩나무(인동과)
65-2. 작살나무(마편초과)와 개암나무(자작나무과)
66. 화백(측백나무과)
66-1. 북한산 깃대종 오색딱따구리
67. 은행나무(은행나무과)
68. 두충(두충과)
69. 회양목(회양목과)
70. 가죽나무(멀구슬나무과)
71. 산수유(층층나무과)
Ⅴ. 숲 해설 2 : 솔내음 누리길(창릉천 변)
<효자치안센터 정류장 - 사기막골 정류장 구간>
72. 회화나무(콩과)
73. 칠엽수(칠엽수과)
74. 은사시나무(버드나무과)
75. 느릅나무(느릅나무과)
76. 붉나무(옻나무과)
77. 개오동(능소화과)
78. 두릅나무(두릅나무과)
79.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80. 오갈피나무(두릅나무과)
80-1. 분꽃나무(인동과, 참고자료)
81. 자귀나무(콩과)
82. 백합나무(튤립나무, 목련과)
83. 자두나무(장미과)
84. 살구나무(장미과)
84-1. 직박구리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