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과학
북한산 숲 해설 이미지

북한산 숲 해설
좋은땅 | 부모님 | 2025.09.05
  • 정가
  • 25,000원
  • 판매가
  • 22,5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250P (5% 적립)
  • 상세정보
  • 18.8x25.7 | 0.882Kg | 464p
  • ISBN
  • 979113884654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북한산 국립공원 둘레길과 인접한 고양시 구간 창릉천 솔내음 누리길을 직접 걸으며 만나는 나무와 숲을 인쇄된 책으로 해설한 국내 최초의 현장 숲 해설서다. 현재까지 숲 해설은 숲 탐방객을 대상으로 숲해설가가 현장에서 구두로 해설하는 것이 관례이다. 따라서 소수의 탐방객을 대상으로 제한적인 내용으로 일회성 해설을 시행함으로써 탐방객은 현장에서 들은 지식을 대부분 기억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그리고 꽃을 검색하는 인터넷 프로그램이 많아서 궁금한 꽃의 사진만 찍어 올리면 쉽게 그 꽃의 이름과 특성을 알려주는 앱이 많이 있지만, 궁금한 나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앱은 거의 없으며 있다고 하여도 그 자료를 신뢰하기 힘든 실정이었다.

저자는 20여 년간 전국의 명산을 탐방하며 숲과 나무 등에 관심을 키워 온 숲해설가이자 산과 숲을 아끼고 사랑하는 수의학자로, 북한산을 10여 년 이상 오르내리며 북한산의 빼어난 풍경, 동식물, 문화재 등 저자가 직접 찍은 사진 기록을 바탕으로 이 해설서를 집필했다. 본문에는 북한산에서 관찰할 수 있는 84종의 나무와 이와 유사하거나 구별이 필요한 나무 51종을 포함해 총 135종의 나무가 계절별 사진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각 나무에는 생태적 특징뿐 아니라 역사적·문화적 의미, 문학 작품 속 묘사까지 곁들여 독자가 나무뿐만 아니라 숲을 다각도로 이해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저자가 직접 찍은 약 900장의 고해상도 사진을 실어 독자가 현장에서 바로 나무를 식별하고 자연을 깊이 음미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책 한 권으로 북한산을 비롯한 중부지방 산야에서 만나는 나무들의 정체와 이야기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리뷰

북한산 둘레길을 걸으며 숲을 이해하는 기쁨
135종의 나무와 함께하는 국내 최초의 현장 숲 해설서

북한산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이들에게 친근한 국립공원이자 연간 천만 명 가까운 탐방객이 찾는 명산이다. 그러나 아름다운 풍경을 눈에 담고 돌아오는 일은 쉬워도, 길가에서 스쳐 지나간 나무들의 이름과 이야기를 아는 이는 드물다. 『북한산 숲 해설』은 바로 이러한 아쉬움을 해소해 주는 책이다.

저자는 수의학자로서 평생 연구에 매진해 온 동시에, 숲해설가 자격을 취득하고 북한산 현장에서 숲과 나무를 연구하며 지식을 나누어 온 숲 해설 분야 전문가다. 그는 이 책에서 북한산 둘레길 제10구간과 제11구간, 그리고 이 구간과 인접한 창릉천을 따라 난 솔내음 누리길을 직접 걸으며 관찰한 나무들을 둘레길 이동 순서에 따라 정리하였다. 각 나무는 선명한 계절별 사진과 함께 특징, 생태, 유사 종 비교, 역사적 기록, 그리고 한국 문학 속 해당 나무 관련 시 구절까지 곁들여 해설한다. 이를 통해 독자는 단순히 ‘나무 이름 알기’를 넘어 나무와 인간이 맺어 온 깊은 문화적·정서적 인연까지 새롭게 인식할 수 있다.

책의 가장 큰 장점은 현장성을 살린 구성이다. 독자는 책을 들고 둘레길을 걸으며 책에 안내된 순서대로 나무와 숲을 만날 수 있다. 마치 숲해설가와 함께 걷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며, 때로는 숨은그림찾기처럼 책 속 사진과 현장을 비교하며 계절과 관계없이 언제든지 둘레길을 탐방할 수 있다. 더불어 책에 게재된 약 900장의 컬러 사진은 나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나무를 구별하고 숲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북한산 숲 해설』은 북한산을 자주 찾는 탐방객은 물론, 도심 속에서 자연의 숨결을 느끼고 싶은 모든 이들에게 나무와 숲을 이해하고 자연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이 책과 함께라면, 둘레길 탐방으로 익숙했던 북한산의 숲이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풍경으로 다가올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병한
경북대학교에서 수의학사(수의사 면허 취득) 및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연구직 공무원(연구사, 1986년)으로 동물바이러스 질병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연구관을 거쳐, 과장(역학조사과, 구제역진단과, 해외전염병과, 구제역백신연구센터장)을 역임 후 정년퇴직(2021년)하였다.국내외 수의학 관련 학술지에 130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40여 건의 특허등록을 한 바 있다. 2020년 『구제역과 돼지열병의 이해』라는 수의학 전문 서적을 출간(한국표준협회미디어)하였다.수의과학 연구·개발 공로를 인정받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 및 「카길애그리퓨리나 연구 기술 대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2021년 국민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숲해설가 과정 교육을 수료하고 산림청으로부터 「숲해설가」 자격(No. 2021-1-15342)을 취득하였다. 이후 북한산 지역의 숲 해설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현재까지 북한산 둘레길 숲 해설을 공부하고 있다.

  목차

서문

Ⅰ. 북한산 둘레길과 숲의 중요성

1. 북한산의 지질학적 특성
2. 북한산 둘레길 개요 및 숲 해설 구간 소개
3. 지구 시대 구분과 식물 및 동물 출현 요약표
4. 숲과 문화의 깊은 연관성
5. 숲과 문명의 발상
6. 나무 이름과 존재의 의미
7. 지구의 탄생, 숲의 변천과 활용 방안
8. 우리나라 산림(숲)의 공익적 가치 분석
9. 산림(숲) 치유론
10. 1인 1숲(나무) 지정 캠페인을 제안하며

Ⅱ. 북한산의 빼어난 풍경 소개

1. 흥국사와 전망대에서 남쪽으로 바라본 북한산 풍경
2. 흥국사 뒷산(노고산)에서 남쪽으로 바라본 북한산 풍경
3. 서울 도심지역(남쪽)에서 북쪽으로 바라본 북한산 풍경
4. 북한산 내부에서 본 북한산 근접 풍경
5. 북한산 국립공원 도봉지구 풍경

Ⅲ. 북한산 둘레길 숲 해설 준비

1. 북한산 둘레길 숲 해설 구간 개요 및 참고자료
2. 대중교통으로 해당 지역 찾아가기

Ⅳ. 숲 해설 1 : 산성 입구 – 국사당(밤골농원) 구간

<북한산성 입구 – 효자치안센터 구간>
1. 밤나무(참나무과)
2. 양버즘나무(버즘나무과)
2-1. 계곡 무장애 탐방로 안내
3. 양버들(버드나무과)
4. 아까시나무(콩과)
5. 소나무(소나무과)
6. 층층나무(층층나무과)
7. 복사나무(장미과)
8. 등(콩과)
9. 누리장나무(마편초과)
10. 불두화(인동과)
10-1. 백당나무(인동과, 참고: 불두화 개량 원종 소개)
11. 목련(목련과)
12. 졸참나무(참나무과)
13. 참나무류 관련 자료 조사
13-1. 도토리거위벌레
14. 상수리나무(참나무과)
15. 굴참나무(참나무과)
16. 갈참나무(참나무과)
16-1. 신갈나무(참나무과, 해당 구역에는 없음, 참고자료)
17. 주목(주목과)
18. 향나무(측백나무과)
19. 산딸나무(층층나무과)
20. 버드나무(버드나무과)
21. 수수꽃다리(물푸레나무과)
22. 단풍나무(단풍나무과)
23. 뽕나무(뽕나무과)
24. 대추나무(갈매나무과)
25. 낙상홍(감탕나무과)
26. 탱자나무(운향과)
27. 모과나무(장미과)
28. 음나무(두릅나무과)
29. 섬잣나무(오엽송, 소나무과)
30. 미선나무(물푸레나무과)
31. 백송(소나무과)
31-1. 갈참나무(참나무과)

<효자치안센터 – 박태성 정려비 구간>

32. 고추나무(고추나무과)
33. 헛개나무(갈매나무과)
34. 중국단풍(단풍나무과)
35. 느티나무(느릅나무과)
36. 벚나무(장미과)
37. 메타세쿼이아(측백나무과)
37-1. 섬잣나무(소나무과)
37-2. 반송(소나무과)
38. 구상나무(소나무과)
38-1. 관성사(關聖祠) 소개
39. 금송(금송과)
40. 전나무(소나무과)
41. 서양측백(측백나무과)
42. 자작나무(자작나무과)
43. 물오리나무(자작나무과)
43-1. 누리장나무(마편초과)
44. 작살나무(마편초과)
45. 병꽃나무(인동과)
46. 쪽동백나무(때죽나무과)
47. 일본잎갈나무(소나무과)
48. 국수나무(장미과)
49. 팥배나무(장미과)
50. 개암나무(자작나무과)
50-1. 아까시나무(콩과)
51. 생강나무(녹나무과)
52. 리기다소나무(소나무과)
52-1. 졸참나무(참나무과)
53. 청미래덩굴(백합과)
54. 철쭉(진달래과)
55. 개옻나무(옻나무과)
56. 산초나무(운향과)
56-1. 개옻나무(옻나무과)
57. 노린재나무(노린재나무과)
57-1. 큰광대노린재
58. 노간주나무(측백나무과)
59. 일본목련(목련과)
60. 진달래(진달래과)
61. 산철쭉(진달래과)
61-1. 벚나무(장미과)
62. 덜꿩나무(인동과)
63. 물푸레나무(물푸레나무과)
64. 오리나무(자작나무과)

<박태성 정려비 – 밤골공원지킴터 구간>

64-1. 박태성 정려비
65. 사위질빵(미나리아재비과)
65-1.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밤나무(이상 참나무과), 덜꿩나무(인동과)
65-2. 작살나무(마편초과)와 개암나무(자작나무과)
66. 화백(측백나무과)
66-1. 북한산 깃대종 오색딱따구리
67. 은행나무(은행나무과)
68. 두충(두충과)
69. 회양목(회양목과)
70. 가죽나무(멀구슬나무과)
71. 산수유(층층나무과)

Ⅴ. 숲 해설 2 : 솔내음 누리길(창릉천 변)
<효자치안센터 정류장 - 사기막골 정류장 구간>

72. 회화나무(콩과)
73. 칠엽수(칠엽수과)
74. 은사시나무(버드나무과)
75. 느릅나무(느릅나무과)
76. 붉나무(옻나무과)
77. 개오동(능소화과)
78. 두릅나무(두릅나무과)
79.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80. 오갈피나무(두릅나무과)
80-1. 분꽃나무(인동과, 참고자료)
81. 자귀나무(콩과)
82. 백합나무(튤립나무, 목련과)
83. 자두나무(장미과)
84. 살구나무(장미과)
84-1. 직박구리

참고문헌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