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한국목간학회가 출간한 한국목간학회 총서 33번째 책이다. 현직에서 목간을 연구하는 연구원과 교수들의 목간 연구논문들이 수록되었다. 목간으로 동아시아 세계의 흐름을 살펴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한국과 일본, 중국의 목간들에 대한 연구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출판사 리뷰
한국목간학회가 출간한 한국목간학회 총서 33번째 책이다. 현직에서 목간을 연구하는 연구원과 교수들의 목간 연구논문들이 수록되었다. 목간으로 동아시아 세계의 흐름을 살펴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한국과 일본, 중국의 목간들에 대한 연구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번호 ‘논문’으로는 〈부여 석목리 143-16번지 유적 하층 출토 목간과 유적의 성격〉 이병호(동국대학교 문화유산학과 부교수), 〈문자자료로 본 오금산성(舊 익산토성)의 축조 연대와 그 성격〉 이문형(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연구교수), 〈白前과 前白의 사이 - 신라 ‘백전’목간의 사례와 성립배경〉 김창석(강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신라 청제비 연구의 성과와 과제〉 이동주(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사업단 HK연구교수), 〈영천 청제비 병진명, 정원명의 몇 가지 재해석〉 하시모토 시게루(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 〈新羅 下代 「興德王 敎書」의 公布 방식과 對民 통제 의지의 함의〉 고태진(서울대학교 역사학부 강사), 〈무위사 선각대사비에 보이는 왕건과 궁예〉 하일식(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 〈목간의 정의와 고려·조선 목간의 집계〉 오택현(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 과정생), 이재환(중앙대학교 역사학과 부교수), 〈秦代 人屬 집단의 요역 감면과 그 의미 –弟子·復子 및 敖童·私屬·奴를 중심으로〉 방윤미(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박사과정)의 글을 소개하였다.
‘신출토 문자자료’로는 〈양주대모산성 원형집수시설 출토 목간 -양주대모산성 14차 발굴조사〉 김병조(기호문화유산연구원 학술연구팀장), 고재용(기호문화유산연구원장)의 글을 소개하는 등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목간 연구의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다.
<집필순>
이병호 (동국대학교 문화유산학과 부교수)
이문형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연구교수)
김창석 (강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이동주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사업단 HK연구교수)
하시모토 시게루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
고태진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강사)
하일식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
오택현 (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 과정생)
이재환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부교수)
방윤미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박사과정)
김병조 (기호문화유산연구원 학술연구팀장)
고재용 (기호문화유산연구원장)
목차
〈논문〉
부여 석목리 143-16번지 유적 하층 출토 목간과 유적의 성격
- 이병호 (동국대학교 문화유산학과 부교수)
문자자료로 본 오금산성(舊 익산토성)의 축조 연대와 그 성격
- 이문형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연구교수)
白前과 前白의 사이 -신라 ‘백전’목간의 사례와 성립배경
- 김창석 (강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신라 청제비 연구의 성과와 과제
- 이동주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사업단 HK연구교수)
영천 청제비 병진명, 정원명의 몇 가지 재해석
- 하시모토 시게루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
新羅 下代 「興德王 敎書」의 公布 방식과 對民 통제 의지의 함의
- 고태진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강사)
무위사 선각대사비에 보이는 왕건과 궁예
- 하일식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
목간의 정의와 고려·조선 목간의 집계
- 오택현 (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 과정생), 이재환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부교수)
秦代 人屬 집단의 요역 감면과 그 의미 –弟子·復子 및 敖童·私屬·奴를 중심으로
- 방윤미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박사과정)
〈신출토 문자자료〉
양주대모산성 원형집수시설 출토 목간 - 양주대모산성 14차 발굴조사
- 김병조 (기호문화유산연구원 학술연구팀장), 고재용 (기호문화유산연구원장)
〈휘보〉
학술대회, 신년휘호, ‘진한간독(秦漢簡牘)을 알면 한국 고대가 보인다’, 자료교환
〈부록 1〉
제안호칭 및 목간 명칭 대비표
〈부록 2〉
학회 회칙, 간행예규, 연구윤리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