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소대봉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1990년)한 뒤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에서 한국선도와 홍익인간을 전공하고 석사(2022년), 박사(2025년) 학위를 받았다.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과 한국유라시아연구원 기획국장으로 일하고 있다.연구 논문으로는 「안재홍의 신민족주의와 ‘홍익민족주의’」(2021년), 「한국 민족사학의 원형, ‘선도사학’」(2021년), 「동아시아 선도문화 연구동향과 ‘한국선도’·‘한국도교’ 개념의 재검토」(2022년), 「한국 고대의 진휼과 ‘공생정치’」(2023년), 「남인 실학자들의 역사인식과 식민사학」(2025년 8월)이 있다.유교사학, 식민사학, 동북공정으로 왜곡된 배달겨레 역사를 바로 세우는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배달겨레 고유의 사유체계인 선도사상과 그 핵심인 홍익인간사상, 홍익인간사상이 정치를 통해 투영되는 홍익정치 전통에 대해서도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책을 내면서
이 책의 요지를 먼저 살펴보고 싶은 독자를 위해
1장 | 머리말
1. 연구의 목적과 방향
2. 이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2장 | 한국선도의 홍익인간사상과 홍익정치 전통
1. 한국선도의 성통·공완론에 기반한 홍익인간사상
2. 한국 상고·고대사 속의 홍익정치 전통
3장 | 1910∼1920년대 대종교의 성통·공완 실천과 홍익정치론의 토대 마련
1. 구한말 선도문화의 부활과 대종교 중광
2. 대종교의 성통·공완 실천
4장 | 1930∼1940년대 대종교계 선가들의 홍익정치론 모색과 전개
1. 홍익정치론 등장의 시대적 배경
2. 정인보의 ‘홍익인간사상’과 홍익정치론의 모색
3. 안재홍의 ‘신민주주의’와 홍익정치론의 전개
5장 | 1930∼1940년대 조소앙의 ‘삼균주의’와 홍익정치론의 구체화
1. 삼균주의의 사상 기반에 대한 선행연구의 한계: 한국선도 전통의 몰이해
2. 삼균주의의 사상 기반, 한국선도
3. 삼균주의와 홍익정치론의 구체화
6장 | 광복 이후 삼균주의의 계승과 발전
1. 삼균주의 적용의 한계와 ‘홍익교육’의 중요성
2. 현대 한국사회의 선도와 홍익교육의 진전
3. 홍익교육에 기반한 삼균주의의 미래
7장 |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