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시노다 겐이치
1955년 출생. 교토대학 이학부를 졸업했으며 의학 박사이다. 전문은 분자인류학이다. 사가의과대학 조교수를 거쳐, 현재 국립과학박물관 관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일본인이 된 조상들―DNA로 규명하는 그 다원적 구조』, 『DNA로 말하는 일본인 기원론』, 『에도의 뼈는 말한다―되살아난 선교사 시도티의 DNA』, 『국립과학박물관과 과학─지구의 보물을 지키다』 등이 있으며, 편저로 『화석과 게놈으로 알아보는 인류의 기원과 확산』, 『인류가 되기까지』, 『인간다움의 기원』 등이 있다.
시작하며
1장 인류의 등장 -선사시대의 호모 사피엔스
1. 인류의 기원을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신화에서 과학으로 | 신화와 과학의 차이 | 인류에 붙여진 학명 | 인류의 기원을 나타내는 연대 | 인류의 대이동에서 문명의 탄생까지 | 문자 없는 시대에 관한 연구
2. 인류의 진화사
초기 원인 |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 | 파란트로푸스속 | 호모속의 탄생과 진화 | 호모 에렉투스 | 호모 날레디 |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
칼럼1 뇌 용적의 변화와 사회구조
2장 우리의 ‘숨은 조상’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1. 게놈이 밝힌 인류의 ‘친족 관계’
가장 오래된 인간 게놈
2. 네안데르탈인의 DNA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 네안데르탈인의 미토콘드리아 DNA | 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의 이종교배 | 고심도와 저심도 게놈 | 시베리아의 네안데르탈인 | 네안데르탈인의 확산 | 게놈 분석이 밝혀낸 집단의 변화
3. 베일에 싸인 데니소바인의 정체
기적의 데니소바 동굴 | 데니소바인의 게놈 분석 | 데니소바인의 정체 | ZooMS 혁명 | 데니소바인은 언제까지 존재했나 | 또 다른 미지의 인류 | 재현된 데니소바인의 모습
4. 호모 사피엔스 탄생의 시나리오
호모 에렉투스로부터의 진화 |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란 무엇인가 |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의 관계 | 호모 사피엔스의 본질 | 호모 사피엔스가 수용한 유전자와 배제한 유전자 | 이종교배의 시기 | 게놈 비교 | 네안데르탈인 게놈의 기능 | 유전자 편집 기술의 진보
칼럼2 DNA · 유전자·게놈
3장 ‘인류의 요람’ 아프리카 -초기 사피엔스 집단의 형성과 이동
1. ‘최초의 호모 사피엔스’에서 탈아프리카까지
아프리카에서 탄생한 호모 사피엔스 | 초기 호모 사피엔스의 모습 | 탈아프리카
2. 아프리카 내에서의 인류의 이동
언어와 유전자의 관계 | 아프리카 내에서의 초기 확산 | 아프리카 내에서의 집단 분기
3. 농경민과 목축민의 기원
농경과 목축이 바꿔 놓은 집단의 분포 | 목축과 돌연변이 | 아프리카 전역의 게놈 분석 | 게놈 데이터 분석 | 아프리카의 고대 게놈 연구 | 반투족 농경민의 기원과 이동 | 고대 게놈과 현대 게놈 | 호모 사피엔스의 고향
4장 유럽 진출 -‘유라시아 기층 집단’의 동서 분기
1. 탈아프리카 이후의 전개
탈아프리카 시기 | 탈아프리카의 경로 | 탈아프리카와 환경 변화
2.유라시아 대륙으로
유라시아 대륙에서의 인류의 확산 | 유라시아 기층 집단 | 유럽의 고대 미토콘드리아 계통 | 호모 사피엔스의 초기 확산 시나리오
3. 유럽 집단의 출현
유럽의 문화적 편년①-무스티에 문화, 프로토·오리냐크 문화, 샤텔페로니앙 문화 | 유럽의 문화적 편년②-그라베트 문화, 솔뤼트레 문화, 막달레니안 문화 | 유럽 수렵채집민의 유전적 변천 | 유럽에서의 집단 변천 시나리오 | 새로운 집단 | 초기 수렵채집민의 사회구조 | 혼인 네트워크
4. 농경, 목축은 어떻게 전파되었나
농경의 시작과 인류의 이동 | 농경민의 이동 | 농경이 유럽으로 전파된 경로 | 아이스맨 | 유럽인의 게놈을 변화시킨 목축민의 진출 | 폰토스·카스피 스텝
5. 현대로 이어지는 유럽인의 유전자 변이
얌나야 문화 집단 | 유럽 집단의 형성 경위 | 특정 유전자 빈도의 변천 | 세균의 게놈이 가르쳐 주는 병 | 페스트와 함께 온 얌나야 문화
칼럼3 가장 오래된 영국인의 초상
5장 아시아 집단의 형성 -극동을 향한 ‘위대한 여정’
1. ‘아시아 집단’이란 무엇인가
구석기시대 유라시아에서의 집단 이동 | 조몬인의 게놈과 동아시아 집단 | 아시아 북상의 경로 | 신석기시대 유라시아 대륙에 존재한 ‘9개의 집단’ | 유목기마 민족
2. 남·동남아시아 집단의 다양성
남아시아 집단의 형성 | 인더스문명 | 동남아시아 집단의 형성 | 언어와 게놈 | 만박 유적의 발굴 조사
3. 남태평양·오세아니아로
인류의 이동-동남아시아의 크고 작은 섬으로 | 오세아니아를 향한 초기 이동 | 폴리네시아를 향한 진출-탈타이완 모델 | 라피타인의 정체 | 폴리네시아인과 남미대륙
4. 동아시아 집단의 형성
홀로세 이후 동아시아 집단의 형성 | 중국의 남북 지역 집단 | 일본 도래의 기원 | 지나·티베트어의 기원
6장 일본열도 집단의 기원 -본토, 류큐제도, 홋카이도
1. 일본인의 경로
이중구조 모델 | 이중구조 모델의 관점 | 게놈 분석에 따른 지역별 비교 | 구석기시대 | 조몬인의 미토콘드리아 계통 | 조몬인의 지역 차 | 조몬인의 핵 게놈 분석 | 조몬인과 동아시아 현대인과의 관계 | 야요이 시대 | 야요이인의 게놈 | 열도 집단과 대륙계 집단 | 야요이인의 핵 게놈 분석
2. 류큐제도 집단
류큐제도 집단의 성립 | 류큐제도 집단의 미토콘드리아 DNA
3. 홋카이도 집단
홋카이도 집단의 성립
칼럼4 왜국대란을 시사하는 인골의 증거
7장 ‘신대륙’ 아메리카로 - 인류 최후의 여행
1. ‘최초의 아메리카인’ 논쟁
아메리카 원주민 | DNA가 말하는 신대륙 원주민의 기원 | 미토콘드리아 DNA로 본 형성사
2. 아메리카 원주민의 조상 집단
고대 게놈으로 알아보는 아메리카 신대륙의 확산 | 북미 대륙에서의 확산 | 아메리카 대륙 원주민의 유전적 특징 | 남미대륙에서의 중층적 확산 | 잉카의 DNA | 카리브해를 향한 인류의 이동
칼럼5 뱀파이어의 DNA
종장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고대 게놈 연구의 의의
과학적 탐구 | 게놈으로 본 인종 | 게놈의 차이가 의미하는 것 | 유전자의 역할 | 민족과 지역 집단 | 지역 집단의 유전적 특징 | 문화와 집단의 변천 관계 | 고대 게놈 연구의 목표 | 고대 게놈 연구의 의의
마치며
참고문헌
역자 후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