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민병기
1946 충남 홍성 출신. 고려대 국문학과 학·석·박사 과정 졸업. 중등 교사와 고대 강사에 이어, 창원대 국문과 퇴직 후 명예교수. 「시인」지로 등단, 4인 시집. 「가자 아름다운 나라로」(거암, 1987)와 단독 시집 「물방울의 꿈」(도서출판 경남, 1991)과 저서로 「정지용」(건국대 출판부, 1996)과 공저로 「문학이란 무엇인가」(집문당, 1996)와 「현대작가작품론」(집문당, 1998)과 「한국의 영상문학」(문예마당, 1998)과 편저로 「신춘문예 당선 우수시 100선」(문예마당 1998) 등이 있다.
지은이 : 배한봉
경남 함안 출생이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현대시』신인상을 받고 문단에 데뷔했다. 시집으로 『육 탁』, 『주남지의 새들』, 『잠을 두드리는 물의 노 래』, 『악기점』, 『우포늪 왁새』, 『黑鳥』, 『복사 꽃 아래 천년: 소월시문학상 작품집』이 있다. 산 문집으로 『당신과 나의 숨결』, 『우포늪, 생명 과 희망과 미래』가 있다.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시 ?우포늪 왁새?, ?아름다운 수작?이 수록됐 다. 현대시작품상, 소월시문학상 대상, 박인환문 학상, 풀꽃문학상, 아름다운농촌시 농림부장관 패, 경남문학상, 김달진창원문학상, 서귀포칠십 리문학상, 산해원문화상 문학상을 받았다. 계 간 『시인시각』, 『시인동네』, 『시를사랑하는사람 들』주간을 역임했다. 지금은 경남 창원에 살면서 한국시인협회 상임위원, 우포늪 홍보대사, 『경 남문학』편집주간으로 활동하고 있다. 경희대학 교, 경희사이버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마산대 학교에서 강의하였거나 강의하고 있다.
지은이 : 이상개
1965년 <시문학> 추천완료 등단. <잉여촌> <시와 자유> 동인. 시집 『파도꽃잎』 『시간박물관』 『떠다니는 말뚝』 『단풍 드는 나이』 등 13권. 부산시문화상, 김민부문학상, 한국현대시인상, 부산펜문학상 등 수상. 2020년 현재 부산문인협회 고문, 부산작가회의 고문.
지은이 : 이응인
1962년 경남 거창에서 태어났고, 1988년부터 교사가 되어 밀양에 있는 세종중학교에서 35년째 아이들과 함께 지내고 있다.1987년 무크지 『전망』 5집에 ‘그대에게 편지’ 외 7편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왔다. 이후 『투명한 얼음장』 『따뜻한 곳』 『천천히 오는 기다림』, 『어린 꽃다지를 위하여』 『그냥 휘파람새』 『솔직히 나는 흔들리고 있다』 등의 시집을 내었고, 함께 엮은 책으로 『선생님 시 읽어 주세요』 『밀양설화집 1,2,3』 『그래 밀양의 옛이야기 한번 들어볼래?』 『밀양문학사』 등이 있다. 2003년부터 밀양 화악산 기슭 퇴로 마을에서 텃밭을 일구며 자연의 품에 안겨 살고 있다. 그동안 경남작가회의 부회장, 밀양문학회 회장을 지냈고, 현재 세종중학교 교장을 맡고 있다.
지은이 : 임신행
* 수상오월 신인예술상 수석상, 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 계몽아동문학상, 제1회 황금도깨비상 대상, 세종아동문학상, 한국어린이도서상 저작 부문, 이주홍아동문학상, 방정환아동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민족동화문학상, 최계락 문학상 한국동화문학상, 한국불교 아동문학상 등* 동화집『베트남 아이』,『꽃불 속에 울리는 방울소리』,『까치네 집』,『해저동굴』,『마법의 집』,『까치섬의 아기꽃게』, 『동토의왕국』,『분홍 조가비』,『아기도깨비가 사는 집』,『토끼전 홍계월전』,『방울귀신』, 『아기도깨비와 아이들』,『아기들의 숲』,『초록머리 물떼새』,『골목마다 뜨는 별』,『황룡사방가지똥』,『은빛 갈매기』,『꼬마물떼세』,『갈대숲 속 작은 집의 비밀』,『흰 고래를 잡으러』,『지리산 아이』,『갈매기 섬 아이들』,『공룡아, 공룡아! 뭘 하니?』,『안개섬아이들』,『별을 타고 온 아이』, 『난지도 하늘에 뜬 무지개』,『동백꽃 수놓기』,『버리기와 버림받기』,『섬 엉겅퀴 비에젖으며』,『진실로 사랑하는 연인의 가슴에만 자귀나무꽃은 핀답니다』,『K니G를 위하여』, 자연생태 시집『이제 우리 언제 다시 무엇이 되어 만나랴』, 자연생태 동시집『우포늪에는 별똥별이』 외* 한국아동문학인회 자문위원* 전, 창신대학 문예창작과 및 국립 창원대학 평생교육원 교수 역임* 우포늪 홍보대사
지은이 : 정목일
1975년 「월간문학」 수필 당선1976년 「현대문학」 수필 천료경남신문 편집국장한국수필가협회 이사장 및 명예이사장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연세대학교미래교육원 수필 지도교수한국문인협회 수필교실 지도교수한국문학상, 조경희문학상, 원종린문학상, 흑구문학상, 신곡문학상, 남촌수필문학상 등 수상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사투리」, 「폐교에 뜨는 별」 수록작품집: 『남강 부근의 겨울나무』(백미사), 『한국의 영혼』(부름사), 『달빛고요』(범조사), 『별보며 쓰는 편지』(고려원), 『대금산조』(동학사), 『나의 해외문학기행』(문학관), 『목향』(교음사), 『가을금관』(선우미디어), 『심금』(문학사), 『마음 고요』(청어), 『모래밭에 쓴 수필』(문학수첩), 『맛 멋 흥, 한국에 취하다』(청조사), 『나의 한국미 산책』(청조사), 『나무』(수필과 비평사) 등 30여 권
지은이 : 이달균
1987년 시집 『남해행』과 무크 《지평》으로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열도의 등뼈』 『늙은 사자』 『문자의 파편』 『말뚝이 가라사대』 『장롱의 말』 『북행열차를 타고』 『南海行』, 시·사진집 『탑, 선 채로 천년을 살면 무엇이 보일까』, 현대가사시집 『열두공방 열두고개』, 창비 6인 시집 『갈잎 흔드는 여섯 악장 칸타타』, 평론집 『구심력과 원심력의 경계』, 시조선집 『퇴화론자의 고백』, 영화 에세이집 『영화, 포장마차에서의 즐거운 수다』 등이 있다. 중앙시조대상, 이호우·이영도시조문학상, 조운문학상, 오늘의시조문학상, 성파시조문학상, 경상남도문화상, 마산시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지은이 : 이상옥
경남 고성 출생, 1989년 월간 『시문학』 등단.창신대 문예창작과 교수, 중국정주경공업대 교수, 베트남 메콩대 교수 역임.현재 창신대 명예교수·문덕수문학관장, 경남정보대 특임교수, 한국디카시연구소 대표, 국경없는디카시인회 대표. 계간 《디카시》 발행인, 심산문학진흥회 이사.시집 『하얀 감꽃이 피던 날』, 『꿈꾸는 애벌레만 나비의 눈을 달았다』, 『유리그릇』, 『환승역에서』, 『그리운외뿔』, 『하늘 저울』. 디카시집 『고성 가도』, 『장산숲』, 『고흐의 해바라기』. 평론집 및 이론서 『변방의 시학』, 『역류하는 시학』, 『시적 당화체계연구』, 『아름다운 상처의 시학』, 『현대시와 투명한 언어』, 『불통의 시를 넘어』, 『경남현대시인론』, 『시창작강의』, 『시창작입문』, 『사색을 위한 기독교 명시』, 『시가 있는 아침에』, 『희미한 옛사랑의 추억』, 『디카시를 말한다』, 『앙코르 디카시』, 『디카시창작입문』.공저 『문학의 이론』, 『한국현대문학사』 외.시문학상, 유심작품상, 경남문학상, 산해원문화상, 편운문학상 등 수상
지은이 : 서우승
시조시인
지은이 : 강외석
정유년(丁酉年)에 경남 진주에서 출생하여,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새로운 21세기가 시작되는 2000년 봄에, 우연인지 필연인지, 새로운 시작의 의식인 양 쓰게 된 평론 「박용래 시의 의식 공간」 을 필두로 틈틈이 평론 글쓰기를 줄곧 하여, 지금까지 낸 저서로 『일제 침략기의 한국 현대시 연구』, 『피그말리온의 풍경』, 『라푼첼의 길』, 『둘레길을 걷다』, 『들길의 소리들』 등이 있음.
지은이 : 김동민
지리산 천왕봉이 보이고 5백 리 남강이 흐르는 경남 진주에서 태어났다. 진주 봉래초교, 진주 중·고교, 경상국립대 문학박사 취득. 『월간문학』 전경련 소설 현상공모에 중편소설 당선으로 소설가와 문학평론가의 길을 걸어왔으며, 제1회〈김동리논문상〉을 수상하고, 2005년을 대표하는 문제소설 작가로 선정되었다. <독서신문>과 월간 문예지 3곳에 장편소설을 연재할 때 고 이문구 선생에게 대작을 쓸 수 있는 소설 연재의 명수라는 말을 듣고, 2006년부터 방대한 자료 수집과 작품 구상을 끝내고 집필 중이던 대하소설 『백성』 (원제: 돌아오는 꽃)을 <경남일보>에 연재하기 시작하여, 착상부터 탈고까지 20여 년의 대장정에 걸쳐 총 5부작 (전 21권)에 달하는 필생의 역작을 완성하게 되었다.장편소설 『어둠 속에 벨이 울릴 때』, 『해 저물녘 티티새 1·2』, 『가지를 꺾는 나무들』, 『무슨 말로 노래하라 하십니까』, 『사랑의 모자이크』, 『박연-피리소리』, 『비차 1·2』 가 있으며, 소설집 『사막의 천둥』, 『빨간 이발관』, 『아마존강의 초가집』, 『양, 강둑에 서다』가 있다. 평전으로 『꼼쟁이 할매』, 평론집 『한국 문학사의 탐색』, 『창조적 문학비평』 등이 있다.《TV조선 박종인의 땅의 역사》와 《KNN 행복한 책읽기》에 방영된 『비차 1·2』 를 영화와 뮤지컬로 만들기 위해 제작자와 협의 중이며, 비차발전위원회 상임대표로 비차(비거)를 홍보, 계승, 발전시키는 일을 하고 있다.
지은이 : 윤재근
1936년 경남 함양에서 태어났다.서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문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계간 《문화비평》, 월간 《현대문학》 편집인 겸 주간, 한국미래문화연구소 소장을 지냈다.현재 한양대학교 국문과 명예교수.저서로 『詩論』 『樂論』 『歌論』 『문예미학』 『동양의 미학』 등과 『한국시문학비평』『만해시와 주제적 시론』 『만해시 ‘님의 沈默’ 연구』 『문예비평의 논리와 실제』 등의문학비평서가 있다.『<장자> 철학우화』(전3권) 『<논어> 인간관계의 철학』(전3권) 『<노자> 오묘한 삶의 길』(전3권)『<맹자> 바른 삶에 이르는 길』(전3권) 『고전어록선』(전2권) 『생활 속의 선』『에세이로 읽는 주역 나는 나의 미래를 본다』『한권으로 읽는 주역』 『편하게 만나는 도덕경-노자』 『우화로 즐기는 장자』 『사람인가를 묻는 논어』『희망과 소통의 경전-맹자』 『마음 중심 세상 중용』 『노자 81장』(전2권) 『주역 상경』 『주역 하경』 『십익』 등을 통해 고전을 새롭게 해석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지은이 : 호병탁
충남 부여출생, 한국외국어대 중어과, 원광대대학원 국문학과(문학박사)문예가족 회장, 종합문예지 『표현』 주간, 채만식문학상 운영위원, 혼불문학상 심사위원 등표현문학상, 군산문학상, 아름다운 문학상, 한국예총회장상 등시집 『칠산주막』(모아드림), 평론집 『나비의 궤적』(황금알), 『일어서는 돌』(인간과 문학사), 『양파에서 고구마까지-21세기 한국 시문학을 보는 융합적 통찰』(문예원), 『시의 집을 찾다』(칼라박스) 등
지은이 : 전문수
문학평론가, 시인, 창원대 명예교수
지은이 : 오인문
소설가
지은이 : 신동한
문학평론가
지은이 : 정진업
시인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