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삼체로 쓴 한시  이미지

삼체로 쓴 한시
오언절구 한국편
명문당 | 부모님 | 2025.05.09
  • 정가
  • 18,000원
  • 판매가
  • 16,2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00P (5% 적립)
  • 상세정보
  • 21x29.7 | 0.346Kg | 128p
  • ISBN
  • 979119431425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한시는 고체시와 근체시로 구분하는데 고체시는 당나라 이전의 시체로 작법이 비교적 자유스럽고, 근체시는 당대에 와서 체재가 완성된 시체로 엄격한 작법이다. 근체시는 1구가 7자씩 8행을 칠언율시라 하고, 1구가 5자씩 8행으로 짓는 시를 오언율시라고 한다. 율시의 앞 4행이나 뒤 4행을 반절한 것을 칠언절구, 오언절구라고 하며 글자 수가 엄격하다. 이번에 선택한 한시는 고려, 조선시대에 활동하셨던 선조들의 오언절구 명시를 찾아 58편을 수록하였다.

  출판사 리뷰

한시(漢詩)는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로 구분하는데 고체시는 당나라 이전의 시체(詩體)로 작법이 비교적 자유스럽고, 근체시는 당대(唐代)에 와서 체재(體裁)가 완성된 시체(詩體)로 엄격한 작법이다. 근체시는 1구(句)가 7자(字)씩 8행(行)을 칠언율시(七言律詩)라 하고, 1구가 5자씩 8행으로 짓는 시(詩)를 오언율시(五言律詩)라고 한다. 율시의 앞 4행이나 뒤 4행을 반절(半絶)한 것을 칠언절구, 오언절구라고 하며 글자 수가 엄격하다. 이번에 선택한 한시(漢詩)는 고려, 조선시대에 활동하셨던 선조(先祖)들의 오언절구 명시(名詩)를 찾아 58편을 수록하였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장용남
• 동방문화대학원 대학교 졸업(문화예술학 박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졸업(문학석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문학사)• (사)전통문화연구회(四書수학)• 근원 김양동 , 여초 김응현 선생 사사• 대한민국 미술대전(서예) 초대작가 및 심사역임• (사)강남문화원 자문위원• 성유서예동행 회장• 제5회 KBS전국휘호대회 금상(한국방송공사 1990)• 오늘의 한국미술전 서예부문 최고상(1994)• 한국서예청년작가전(예술의 전당 1994,1995)• 제8회 전국서예백일장 장원(문화체육부장관상 1997)• 제1회 신사임당 이율곡서예대전 대상(1998)• 제5회 대한민국서예고시대전 최우수상(1999)• 대한민국서예문화상(월간서예)-논문-• 여초 김응현 서예연구• 상원사중창권선문 서예학적연구• 이규보의 시 세계-개인전-• 인사동 백악미술관 2008.-주요저서-• 삼체 천자문 (명문당, 2024)• 예서 천자문 (명문당, 2025)

  목차

•저자의 말 『三體로 쓴 漢詩』를 내면서…

삼체三體로 쓴 한시漢詩

一善道(일선도) 착한 길을 갈뿐 • 강지덕姜至德
詠黃白二菊(영황백이국) 노란 국화 흰 국화 둘을 읊다 • 고경명高敬命
詠菊(영국) 국화를 읊다 • 고징후高徵厚
次李學士題扇(차이학사제선) 이학사의 부채에 관한 시에 차운하여 • 권근權近
精中吟(정중음) 조용한 가운데 읊다 • 권필權韠
閑居(한거) 한가하게 살며 • 길재吉再
諷詩酒客(풍시주객) 시와 술을 즐기면 • 김부용金芙蓉
有客(유객) 어떤 나그네 • 김시습金時習
題冲庵詩卷(제충암시권) 충암 김정의 시집에 쓰다 • 김인후金麟厚
自題仿米小景扇頭(자제방미소경선두) • 김정희金正喜
夜景(야경) 밤에 보이는 경치 • 김진규金鎭圭
題僧軸(제승축) 승려의 詩軸(시축)에 쓰다 • 백광훈白光勳
無題(무제) 어려서는 배우기를 좋아하고 • 삼의당 김씨三宜堂 金氏
踏雪野中去(답설야중거) 눈 내린 들판을 걸어갈 때 • 서산대사西山大師
草堂詠柏(초당영백) 초당의 잣나무 • 서산대사西山大師
五歲庵(오세암) 옛 절은 깊은 산속에 있고 • 서응순徐應淳
竹心(죽심) 이별가 • 성간成侃
送僧之楓岳(송승지풍악) 금강산으로 가는 스님 • 성석린成石磷
詠梅(영매) 매화를 읊다 • 성윤해成允諧
偶吟(우음) 우연히 읊다 • 송한필宋翰弼
春日山居(춘일산거) 산속의 봄날 • 신위申緯
伯牙(백아) 내가 혼자 거문고를 타네 • 신항申沆
次安謹齋題竹院(차안근재제죽원) 안근재의 시에 차운하여 • 안진安震
看竹門(간죽문) 죽문을 바라보며 • 유성룡柳成龍
遺于仲文(유우중문) 우중문에게 쓴 시 • 을지문덕乙支文德
下第贈登第(하제증등제) 벼슬에 오른 벗에게 주다 • 이공수李公遂
前山杜鵑爛開(전산두견난개) 앞산엔 진달래 흐드러지게 피고 • 이광사李匡師
北山雜題(북산잡제) 북산에서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 • 이규보李奎報
四快(사쾌) 인생의 유쾌한 일 • 이규보李奎報
山寺(산사) 산속에 있는 절 • 이달李達
漢浦弄月(한포농월) 한포에서 달을 읊다 • 이색李穡
閑山島夜吟(한산도야음) 밤에 한산도에서 읊다 • 이순신李純信
村居(촌거) 촌에 살며 • 이숭인李崇仁
黃池(황지) 샘물이 밤낮으로 흘러가도 • 이시선李時善
閨情(규정) 언약을 하고는 어찌이리 • 이옥봉李玉峰
送洪晟公任西河(송홍성공임서하) 서하로 떠나는 홍성을 전송하며 • 이용휴李用休
許烟客汝正挽(허연객여정만) 허연객의 죽음을 애도하며 • 이용휴李用休
山中(산중) 가을 단풍 속 • 이이李珥
山居(산거) 봄은 가도 꽃은 남아 • 이인로李仁老
贈醉客(증취객) 취하신 임께 • 이향금李香今
守靜(수정) 마음의 고요함을 지켜라 • 이황李滉
畵枯竹(화고죽) 마른 대나무를 그린 그림에 부쳐 • 이황李滉
盆梅(분매) 화분에 심은 매화 • 임영林泳
對酒(대주) 술을 마주하고 • 장유張維
敬次牛溪先生韻(경차우계선생운) • 장유張維
春興(춘흥) 봄의 흥취 • 정몽주鄭夢周
題墨竹後(제묵죽후) 먹으로 그린 대나무를 보고 • 정서鄭敍
白雲(백운) 흰 구름 • 정약용丁若鏞
秋夜(추야) 산사야음 • 정철鄭澈
頭流山 天王峰(두류산 천왕봉) 두류산(지리산) 천왕봉 • 조식曹植
偶吟(우음) 우연히 읊다 • 조식曺植
示諸子(시제자) 아들들에게 훈계하다 • 조인규趙仁規
入宋船上(입송선상) 송나라로 들어가는 배에서 • 최사제崔思齊
題壁(제벽) 시문을 지어 벽에 씀 • 최수성崔壽城
秋夜雨中(추야우중) 가을밤 비는 내리고 • 최치원崔致遠
紫霞洞(자하동) 신선이 사는 곳 • 하위량河偉量
山氣(산기) 산기운 • 허목許穆
題蔣明輔江舍(제장명보강사) 장명보가 강가에 지은 집에 • 허목許穆

•참고문헌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