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단순히 전원공급계통에 대한 해설에 머무르지 않는 책이다. 발전기 시스템의 설계, 고신뢰 UPS 구성, ESS(에너지저장장치)의 적용과 병렬운전, 냉각설비와 전력 연동, 첨단 소방시스템과 연계 보호설비, 신·재생에너지, RE100 대응 전략, 에너지 절감 기술 및 BEMS 연동 설계, 그리고 각종 법령 및 인허가 프로세스에 이르기까지, 데이터센터 전기설비 전반을 총망라하고 있다.이 모든 내용을 통합적으로 다루되, 시스템적 사고와 실증 기반 설계 철학을 중심에 두고 집필하였다. 단편적 지식이 아닌, 현장에서 ‘설계가 작동하는 방식’을 깊이 이해하고 있는 사람만이 전달할 수 있는 실전적 통찰과 고급 기술 정보를 담았다.무엇보다 이 책은 데이터센터의 전기설비를 기획부터 설계, 시공, 시험, 운전, 유지관리, 최적화, 재정비까지 생애주기(Life Cycle) 전체를 기준으로 접근한다. 그리하여 전기기술자뿐 아니라, 감리자, 시공사, 운영자, 관련 공무원, 기술사를 준비하는 전문가들까지 광범위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출판사 리뷰
‘데이터 인프라의 미래를 설계하다 - 전기설비를 넘어, 시스템을 완성하는 공학적 통찰’
전 세계가 디지털 대전환기를 맞이한 지금, 데이터는 에너지와 함께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자산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공간, ‘데이터센터’는 이제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라 국가 경쟁력과 산업 생태계를 지탱하는 전략적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거대한 시스템의 심장에는 전기가 흐릅니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한 전력 공급이 아닙니다. 무정전 운전, 이중화 구성, 신뢰성 확보, 에너지 절감, 친환경 대응, 인허가 요건 충족까지 데이터센터의 전기설비는 복잡하고도 정밀한 ‘공학 시스템’ 그 자체입니다. 그렇기에 이 책은 단순한 전기설비 기술서가 아닌, 데이터 인프라를 설계하는 최고 수준의 기술 지침서이자, 미래지향적 공학적 해법의 집대성이라 자부합니다.
앞으로 대한민국에도 수많은 형태의 대규모 데이터센터가 건설될 것입니다. 고집적화, 고밀도화, 고효율화가 요구되는 이 시대에, 이 책이 데이터 인프라 전기설계 분야의 교과서이자 기준서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합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순형
현재 동신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로 재임 중이며, 평생을 전기와 에너지 분야의 발전에 헌신해 온 전문가입니다. 저자는 엔지니어링 분야의 선구자로서 다수의 대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전국의 대학과 연구소에서 연구와 강의 활동을 활발히 펼치며 후학 양성에 힘써 왔습니다. 또한, 다양한 국가적 과제와 대규모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대한민국 전기공학과 에너지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바 있습니다. 그의 경력과 전문성은 전기 및 에너지 분야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학문적·실무적 기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또한 수십 년간 대규모 플랜트와 민간 및 공공 프로젝트를 직접 설계하고 감리하며, 실질적이고 입체적인 현장 경험을 축적해 왔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초대형 데이터센터와 345kV 초고압 변전소 설계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부하 말단까지의 전기설비 구성과 운영 안정성 확보를 위한 고도화 기술을 직접 적용하고 있습니다.저서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계획과 설계, 태양광발전 뇌(낙뢰) 보호 기술 지침, 탄소중립수소혁명, 풍력발전, 수변전설비의 계획과 설계, 전기설비 점검 데이터 북,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신재생에너지 관련 법규, 전기설비사전 등 다수
목차
제1장 데이터센터 개요 및 최신 트렌드 / 9
1.1 데이터센터 정의 및 분류 / 10
1.2 데이터센터 시장 현황 및 미래 전망 / 19
1.3 최신 글로벌 트렌드와 국내 적용 사례 / 26
제2장 데이터센터 설계 및 건축물 개요 / 39
2.1 데이터센터 입지 선정 기준 / 40
2.2 데이터센터 건축물 설계 및 시공의 핵심 / 45
2.3 데이터센터 내진 및 구조안전 기준 / 53
2.4 관련 법규 및 인허가 절차 / 62
제3장 데이터센터 전력설비 설계 / 75
3.1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산정 및 부하 분석 / 76
3.2 수변전설비 및 배전계통 설계 기준 / 83
3.3 고압 및 저압 전기설비 설계 실무 / 91
3.4 전압강하 / 94
3.5 접지시스템 설계 및 유지관리 / 101
제4장 데이터센터의 전력계통 연계와 운영 / 107
4.1 계통연계 설비의 설계의 전략 및 기술 동향 / 108
4.2 데이터센터 전력계통 연계 시 고려 사항 / 116
4.3 전력 계량 체계 개요 / 128
제5장 UPS(무정전 전원공급장치) 설계 및 운영 / 133
5.1 UPS의 개요 및 중요성 / 134
5.2 데이터센터용 UPS 설계 및 시공 실무 / 140
5.3 UPS 유지보수 및 장애 대응 전략 / 147
제6장 비상발전설비 설계 및 운영 / 151
6.1 비상발전설비 개요 및 역할 / 152
6.2 비상발전설비 종류와 선정 기준 / 159
6.3 비상발전설비 설계 및 시공 실무 / 163
6.4 비상발전기 유지관리 및 연료 관리 방안 / 168
제7장 데이터센터 냉각설비 최적화 기술 / 173
7.1 냉각설비 개요 및 데이터센터에서의 중요성 / 174
7.2 데이터센터 냉각 방식의 종류 및 특징 / 181
7.3 냉각 설비 설계를 위한 전기용량 추정 / 186
7.4 냉각설비 설계 기준 및 에너지 절감 전략 / 191
7.5 데이터센터 냉각설비 운영 및 유지관리 실무 / 192
제8장 데이터센터 통신설비 설계 / 199
8.1 데이터센터에서 통신설비의 중요성 / 200
8.2 데이터센터 통신설비의 구성 요소 / 201
8.3 데이터센터 통신설비 설계 기준 및 실무 적용 / 206
8.4 통신설비 장애 방지 및 이중화 전략 / 210
8.5 통신설비 유지관리 및 운영 전략 / 215
제9장 소방 및 안전설비 설계 / 221
9.1 데이터센터 화재 위험성 및 예방의 중요성 / 222
9.2 소방설비 설계 기준 및 최신 기술 동향 / 226
9.3 데이터센터 소방설비 설계 및 시공 실무 / 234
9.4 데이터센터 내 배터리 사용 배경 / 239
9.5 배터리 화재 위험 요인 / 239
9.6 국내·외 관련 규정 및 표준 / 240
9.7 데이터센터 배터리 화재 예방을 위한 설계 방안 / 241
9.8 화재 감지 및 진압 시스템 / 243
9.9 운영 및 유지보수 전략 / 243
9.10 소방설비 유지관리 및 화재 대응 전략 / 245
제10장 데이터센터 에너지 절감 및 효율화 전략 / 251
10.1 데이터센터 에너지 소비 현황 및 문제점 분석 / 252
10.2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화 기술과 전략 / 257
10.3 신·재생에너지 및 분산형 전원 활용 방안 / 262
10.4 데이터센터 에너지 관리 운영 전략 및 사례 / 269
10.5 데이터센터 에너지 관리 운영 전략 정리 및 시사점 / 272
제11장 데이터센터 운영 및 유지관리 실무 / 275
11.1 데이터센터 설비 유지관리의 중요성 / 276
11.2 데이터센터 유지관리 전략 / 278
11.3 데이터센터 유지관리 실행을 위한 핵심 포인트 / 279
11.4 정기점검 및 유지보수 계획 수립 / 280
11.5 장애 대응 및 긴급 복구 프로세스 / 284
11.6 데이터센터 유지관리 효율성 증대 방안 / 287
부록 / 293
부록 1. 데이터센터 관련 국내·외 주요 법령 및 기준 / 294
부록 2.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체크리스트 / 296
부록 3. 주요 설비 제조업체 및 공급업체 리스트(국내 기준) / 306
부록 4. 전기 설계 시 체크리스트 / 307
부록 5. 대형 데이터센터 전기설비 설계 종합 체크리스트 /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