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김진호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93년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안산의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역사교사로 부임하여 지금까지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한신대학교에서 권오영 교수의 지도로 박사과정에서 “고대사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현재 안산 향토사 연구소 연구위원, 경기도 역사교과연구회 연구위원, 체험학습 연구회<모아재>의 중등모임 대표로 교실을 벗어나 박물관과 문화유산을 통한 체험위주의 생생한 역사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2011~2012년 국립중앙과학관과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진행하는 <겨레과학기술원리탐구 연구사업>에 참여하였다. 쓴 책으로는 초등학교 교사들과 함께 쓴 <생각이 열리는 한국사>가 있다.
책을 펴면서
추천사
역사과학 기행을 시작하면서
1장. 고분이란
■ 무덤에서 고분으로
1. ■ 죽음을 애도하는 기념물, 무덤
2. ■ 신석기시대의 무덤
3. ■ 청동기시대와 초기 철기시대의 무덤
4. ■ 고분의 등장
5. ■ 고분의 발굴과 연구
■ 왜 삼국시대 사람들은 고분을 만들었을까
■ 고분의 분류
6. ■ 고분의 주인공에 따른 분류: 총, 능
7. ■ 고분의 겉모습에 따른 분류: 분, 묘
8. ■ 묘제로 분류하는 방법
9. ■ 위에서 아래로 매장하는 구덩식 고분
10. ■ 입구를 통해 매장하는 굴식고분
11. ■ 널, 덧널, 방을 구별하는 법
■ 고분의 구조
2장. 고분 축조기술에 담긴 과학 원리
■ 과학기술자의 활약
■ 고분 자리를 마련하기
■ 봉토 만들기
12. ■ 구획성토
13. ■ 교호성토
14. ■ 흙둑 쌓기: 제상기법
■ 호석
15. ■ 봉분의 각도는 안식각을 유지
■ 성토재
16. ■ 토낭
17. ■ 표토블록
18. ■ 점토블록
■ 매장주체시설의 축조
19. ■ 벽석 축조
20. ■ 무덤방의 천장 만들기
21. ■ 아치와 볼트 천장
3장. 삼국의 고분 탐구 여행
■ 고구려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22. ■ 고구려 고분 속으로
23. ■ 고구려 고분의 구분과 변화
24. ■ 장군총과 태왕릉에 숨어 있는 돌쌓기의 과학
25. ■ 굴식돌방무덤의 천장에 숨어 있는 과학 원리
■ 신라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26. ■ 신라 고분의 분포
27. ■ 신라 고분의 분류
28. ■ 무너지는 것이 기술력!
29. ■ 돌무지덧널무덤에서 굴식돌방무덤으로의 변화
■ 백제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30. ■ 시기에 따른 백제 고분
■ 가야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31. ■ 가야 고분 속으로
32. ■ 가야 고분의 형태와 구조
33. ■ 가야의 봉토축조기술과 과학원리
34. ■ 천오백 년간 잠들었던 가야인을 되살리다
4장. 고분의 시대가 저물다
■ 거대한 고분이 사라지다
■ 고분 축조기술의 현대적 전승 : 흙부대 건축
■ 건축의 오래된 미래, 생태건축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