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아리랑〉은 한/조선 민족에 있어서 특별한 노래이다. 오늘날 조선/한반도의 북과 남, 그리고 해외교포들이 한 자리에 모여 함께 부를 수 있는 노래가 많지 않다. 남과 북은 서로 다른 〈애국가〉를 부르며 민족의 소원이라고 하는 통일의 노래조차 이제 함께 부를 수가 없다.
북과 남은 〈도라지〉나 〈고향의 봄〉을 함께 부를 수 있어도 그것은 그들이 ‘하나’임을 확인하는 행위가 될 수 없다. 그럴 때 사람들은 기꺼이 또는 하는 수 없이 〈아리랑〉을 부른다. ‘왜 〈아리랑〉이며 왜 아리랑이어야 하느냐.’ 이것이 답하지 않으면 안 될 소박한 질문이다.
출판사 리뷰
저자 소개
김영운 (Kim Young Woon)
소속: 전 국립국악원장
전공: 한국음악학(국악이론)
대표 저서: 『국악개론』(음악세계, 2015)
국제고려학회 아리랑 편집위원회
송남선, 강민호, IJICHI Noriko, 金太宇, 紅敏, Tomoomi Mori
공명성
소속: 조선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소 소장 후보원사 교수 박사
리영호
소속: 조선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소 실장 후보원사 교수 박사
이용식 (Yong-Shik Lee)
소속: 전남대학교 국악학과 교수 전공: 국악이론 대표저서: 『음악인류학』(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무토 유우(MUTO Yu, 武藤 優)
소속: 홋카이도대학대학원 미디어커뮤니케이션연구원 학술연구원 (北海道大大院メディアコミュニケション究員術究員) 대표 저서: 「時日本における『朝鮮』エンタテインメント」(2025) 李里花(編)『日韓スタディズ「日韓」を超えて』2 (交差する文化と境界), ナカニシヤ出版, 237-282.
김선영
소속: 조선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소 연구사 부교수 박사
피터 무디 (Peter Moody)
소속: 조지 워싱턴 대학교 연구원 및 겸임교수(Research Fellow and Professorial Lecturer,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전공: 동아시아역사 (East Asian History) 대표 저서: Moody, Peter G. “Cementing the Sounds of State-Building: Early North Korean Mass Music and Staged Works of Music, 19451949.”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37, no. 2 (2024): 113-135.
임경화(Lim Kyounghwa)
소속: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부교수 전공: 일본문화연구, 접경연구 대표 저서: 2015「오키나와의 아리랑: 미군정기 오키나와의 잔류 조선인들과 남북한」 『대동문화연구』89.
김리화 (KIM Rihwa, 金理花)
소속: 도쿄외국어대학 특별연구원 / 도시샤대학 코리아연구센터 촉탁연구원 (東京外語大特別究員 / 同志社大コリア究センタ託究員) 대표 저서: 「植民地主義の民族音創造 - 解放、 分冷期における在日朝鮮人の音活動史」東京外語大大院合際究科 (博士位論文, 2021)
김성희(Jin Chengji, 金成姬)
소속: 연변대학교 교수 전공: 음악교육학 대표 저서: 『중국 조선족 음악교육의 변천 과정 및 발전 방안』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08)
김영희(Jin Yingji, 金英姬)
소속: 광동외어외무대학교 교수 전공: 한국문학 대표 저서: 『중한 자전적 신변소설 연구』(국학자료원, 2018) 저자: 이초(Yi Chao, 易超) 소속: 광동외어외무대학교 부교수 전공: 언어학 대표 저서: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연결어미와 그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도서출판 하우, 2019)
윤인진(In-Jin Yoon)
소속: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전공: 사회학(이민, 재외동포) 대표 저서: 『코리안 디아스포라-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목차
제1부 유래와 변천
제1장 인류무형유산 아리랑의 유래와 전승 양상?김영운
제2장 1920~1930년대 도서를 통하여 본 아리랑의 유래에 대하여?공명성
제3장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민요 「아리랑」의 지역적 분포와 민족적 성격?공명성
제4장 각 지방 「아리랑」의 형상적 특징에 대하여?리영호
제2부 근대와 아리랑
제5장 근대 「아리랑」의 생성과 대중화?이용식
제6장 제국에 울려 퍼진 아리랑: 성악가 김안라의 일본 공연 활동을 중심으로?무토 유우
제7장 김영환의 「아리랑」과 그 음악사적 의의?김선영
제8장 악보와 음원 자료를 통해 본 조선(DPRK) 아리랑 연구?피터 무디
제9장 민족 통일 논의와 아리랑을 둘러싼 경합: 1991년 남북 단일팀 단가 결정에서 유네스코 등재까지?임경화
제3부 아리랑 디아스포라
제10장 변주되는 아리랑과 그 예술 표상: 재일조선인의 음악작품을 중심으로?김리화
제11장 중국 조선족 아리랑의 전승 기반과 양상?김성희
제12장 중국 조선족 아리랑의 주제 의식과 그 의미?김영희·이초
제13장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아리랑의 세계화?윤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