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리뷰
“나만 궁금한 줄 알았어!” “이런 것까지 물어봐도 될까?”
궁금하지만 물어보지 못했던 월경에 관한 25가지 질문들
교과서에는 없는 아이들의 진짜 질문×흔한 오해×별별 고민
전 강남세브란스병원 간호사·현직 보건 교사의 현실 공감 월경 안내서
‘사춘기’라는 낯선 문턱에서 몸과 마음의 변화, 설명하기 어려운 감정을 마주한 아이들. 《초경은 초면입니다만》은 사춘기 시기 중요한 변화인 ‘월경’에 주목해 여자아이들이 첫 월경을 편안하고 당당하게 맞이하도록 돕는 따뜻한 안내서다.
강남세브란스병원과 국립암센터 간호사, 해바라기아동센터 성폭력 전담 간호사를 거쳐 18년 차 보건 교사로 일하고 있는 저자는 의료 현장과 교실에서 쌓은 전문성과 진심을 이 책에 고스란히 담았다. 이 책을 먼저 읽은 초·중·고 보건 교사들은 “전에 없던 월경 안내서”, “가정과 학교에 꼭 필요한 월경 교육서”, “아이와 어른이 함께 읽어야 할 월경 입문서”라고 입을 모아 추천한다.
기존 성교육서가 월경을 한 챕터로 간략히 다루거나 해외 사례 위주인 것과 달리, 이 책은 실제 우리 아이들의 현실과 눈높이에 맞춰 기획됐다. 학생들이 실제로 가장 많이 묻는 월경 관련 질문 25가지를 선정해 명확하고 솔직한 답과 해결책을 제시한다. 유쾌하고 솔직한 대사와 에피소드가 담긴 만화는 아이들의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생식 기관 구조나 생리대 착용법 등 꼭 알아야 할 정보에는 정확한 그림을 곁들여 이해를 돕는다.
월경에 대한 기초 지식부터 대안 생리대, 월경권, 성인지 감수성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루어 초등 저학년부터 청소년, 부모, 교사, 남자아이들까지 함께 읽을 수 있는 《초경은 초면입니다만》.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변화 앞에서 당황하는 아이들의 마음을 다독이며 몸과 마음을 건강하고 자신감 있게 성장시켜 줄 든든한 버팀목이 될 것이다.
• 당황하지 말고 똑똑하게, 걱정하지 말고 편안하게, 쉬쉬하지 말고 당당하게 “우리, 즐겁게 월경하자!“
검증된 전문성으로 교육 현장을 깊이 이해하는, 믿음직한 ‘월경 멘토’의 든든한 콘텐츠
18년 차 베테랑 보건 교사인 저자는 매일 여고생들과 마주하며 그들의 몸과 마음을 세심히 살피고 필요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애써 왔다. 2023년부터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성희롱·성폭력 사안처리지원단 위촉조사관으로 활동하며, 차별 없이 안전한 학교를 만드는 데 힘쓰고 있다.
보건 교사가 되기 전에는 강남세브란스병원과 국립암센터에서 간호사로 일했고, 우리나라 최초 해바라기아동센터 성폭력 전담 간호사로서 성폭력 위험에 노출된 아동·청소년 지원에도 앞장섰다.
보건 교사로 일하면서 월경이 아이들의 일상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주는지 잘 알게 되었다는 믿음직한 ‘월경 멘토’ 손정아. 의료 현장에서 탄탄하게 다진 지식과 교실 안팎에서 쌓은 그의 경험이 책 곳곳에 녹아 있어, 아이들을 향한 따뜻한 시선과 다정한 조언이 진솔하게 전해진다.
• 아이들의 ‘진짜’ 궁금증을 모은, ‘생활 밀착형’ 25가지 질문과 명쾌한 답변
《초경은 초면입니다만》은 교육 현장에서 직접 들은 학생들의 목소리를 토대로 엄선한 25가지 핵심 질문을 담고 있다. ‘나만 궁금한 줄 알았어!’, ‘이런 것까지 물어봐도 될까?’ 했던 아이들의 솔직한 고민과 오해, 불안을 숨김없이 다루며, 교과서나 일반 성교육서에서 놓치기 쉬운 ‘생활 밀착형’ 주제를 다룬다.
‘초경이 뭐예요?’, ‘초경을 하면 키가 더 크지 않는다고요?’, ‘생리대는 하루에 몇 개 필요해요?’, ‘월경통 약은 몸에 안 좋다는데요?’, ‘월경 때문에 놀림당하면 어쩌죠?’ 등 평소 학생들이 자주 묻는 질문에 저자(일명 ‘보건쌤’)는 구체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함께 명확하고 솔직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톡톡 월경 TALK’ 코너에서는 탐폰에 대한 오해, 초경 준비물, 생리대 처리법 등 한 층 더 실용적인 정보까지 깊이 있게 다뤄, 월경을 맞이한 아이들이 스스로 몸과 마음을 돌볼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 재미있고 친근한 캐릭터와 그림, 누구도 아닌 ‘나’의 이야기를 담은 현실 공감 ‘월경 가이드’
외서 중심의 성교육서에서 벗어나, 우리 아이들의 문화와 생활, 필요에 꼭 맞춘 기획이 돋보인다. 특히 정보나 지식을 단순히 전달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나’의 이야기처럼 느끼게 해 사춘기 아이들이 월경을 비롯한 몸의 변화를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게 한다.
세 명의 5학년 여자 친구 ‘도도, 레레, 미미’가 주인공인 만화가 각 장의 문을 열며,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한 에피소드를 유쾌하게 풀어낸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비슷한 경험에 공감하고, 아직 겪지 않은 상황도 부담 없이 미리 그려 보며 대비할 수 있다.
생식 기관의 구조, 생리대의 종류와 착용·처리 방법까지 그림으로 정확하고 친절하게 보여 주어,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했다.
• 가정과 교실에서, 초등 저학년부터 청소년까지 남녀노소 누구나 읽는 ‘월경 안내서’
이 책은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뿐 아니라 성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게도 든든한 ‘월경 안내서’다. 현실적이고 세심한 답변과 조언은 가정과 교실에서 자연스럽게 대화의 문을 여는 실마리가 된다. 단순히 몸과 마음에 찾아오는 변화를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성평등 교육과도 연결되며, 월경에 대해 잘 모르거나 오해가 있는 남자아이들에게는 다른 성(性)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길러 준다.
“이 책을 준비하며 부모님과 선생님에게도 도움이 되기를 바랐어요.
특히 비슷한 시기에 2차 성징을 함께 겪는 남자 친구들도 이 책을 꼭 읽어 봤으면 해요.
나와 다른 성에 대해 잘 아는 것은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첫걸음이니까요.”
_들어가는 말 중에서
초경 교육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는 지금, 《초경은 초면입니다만》은 남녀노소 누구나 편안하게 읽고 공감하며, 건강한 성평등 문화를 함께 만들어 가는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