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경제,경영
JMNOMICS 이재명 경제학 이미지

JMNOMICS 이재명 경제학
지식공감 | 부모님 | 2025.07.23
  • 정가
  • 20,000원
  • 판매가
  • 18,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0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0.499Kg | 384p
  • ISBN
  • 9791156229490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정치와 경제를 하나의 수학적·정량적 모델로 통합해 분석한 실천경제학서다. 저자 고종문 박사는 이 책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경제철학과 정책 리더십을 단순한 정치 논평이 아닌 수치와 함수, 데이터로 검증한다. “PE = f(ΔX)”라는 정치 효용 함수부터 시작해, 무상교복, 청년배당, 기본소득, 공공배달앱 등 실제 정책을 경제모델로 분석하며 정치가 국민 삶에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실증적으로 증명한다.

  출판사 리뷰

정치는 더 이상 감정이 아니다.
이제는 수식과 데이터로 증명될 시대다.


《JMNOMICS 이재명 경제학》은 정치와 경제를 하나의 수학적·정량적 모델로 통합해 분석한 실천경제학서다. 저자 고종문 박사는 이 책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경제철학과 정책 리더십을 단순한 정치 논평이 아닌 수치와 함수, 데이터로 검증한다. “PE = f(ΔX)”라는 정치 효용 함수부터 시작해, 무상교복, 청년배당, 기본소득, 공공배달앱 등 실제 정책을 경제모델로 분석하며 정치가 국민 삶에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실증적으로 증명한다.

이 책은 5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이재명의 실용주의 철학과 경제정책의 기초를, 제2부는 글로벌 경제환경 속 한국의 도전과 기회를 다룬다. 제3부에서는 주요 공약과 실천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제4부에서는 세계 5대 경제 강국을 향한 비전과 수치 기반 목표를 제시한다. 마지막 제5부는 인재 등용, 재정 전략, 갈등 조정, 정치 유연성 등 리더십의 핵심을 다룬다.

대한민국 정치와 경제의 미래를 숫자와 논리로 설계한 이 책은, 단순한 정책서가 아닌 데이터 기반 정치철학 선언서이자, 정치리더십 평가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서평
정치는 말이 아니라 수학이다.
리더십은 철학이 아니라 실증이다.


《JMNOMICS 이재명 경제학》은 지금까지의 정치서나 경제서와는 다르다. 이 책은 감정과 논쟁의 대상이 되어온 정치현실을 수식으로 정리하고, 정책 효과를 함수로 표현하며, 사회적 갈등을 데이터로 설명한다. 정치는 말이 아니라 결과이며, 그 결과는 숫자와 그래프, 통계로 입증되어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신념이다.
무상교복, 청년배당, 기본소득, 공공배달앱 같은 정책들이 단순한 포퓰리즘이 아닌 정교한 경제모델에서 나왔음을 이 책은 반복적으로 증명한다. 이재명 대통령의 리더십을 중심에 두되, 이를 무비판적으로 추종하기보다 분석과 평가의 대상으로 삼는 점이 이 책의 진정한 가치다.
‘정치는 요리와 같다. 재료도 중요하지만 양념과 불조절이 더 중요하다.’는 문장처럼, 정치의 본질은 조화와 실행이다. 그리고 이 책은 그 실행을 위한 ‘조리법’을 구체적이고도 실용적으로 제시한다.
복잡한 정치 담론에 지친 독자, 현실 경제를 제대로 읽고 싶은 시민, 정책 기획에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실무자 모두에게 추천한다. 정치와 경제가 만나는 지점에서, 이 책은 하나의 준거점이 될 것이다.
정치에 실증을 더하고, 경제에 철학을 더한 이 책은, 실천하는 리더십에 대한 데이터 기반 해설서이자 대한민국의 정책 미래를 그리는 설계도다.

정치의 효용(Political Efficiency)은 정책변화량(ΔX)의 함수다. PE = f(ΔX). 정치는 감정이 아니라 구조이며, 데이터 기반의 설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정치 리더의 말이 감동적이더라도 그것이 실행되지 않고 삶을 바꾸지 못한다면, 그 정치는 실패한 것이다. 결국 정치는 감정이 아니라 구조의 문제이며, 이재명 경제학은 이 수식을 토대로 현실에 적용 가능한 대안을 제시한다.

성공은 준비된 자에게 온다. 좋은 정책도 현장에서 실현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정책의 품질은 실행 과정에서 검증된다. ‘준비된 자’라는 표현은 곧 실천 능력과 실행 구조의 구비를 의미하며, 이는 이재명식 리더십의 핵심이다. 이재명은 성남시장 시절부터 도지사, 대통령까지 일관되게 실용과 준비된 정책을 강조해왔다.

청년배당은 청년층에게 단순한 지원금을 지급하는 차원을 넘어, 사회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지역경제를 순환시키는 구조적 정책이었다. 경기도는 이 배당을 지역화폐로 지급해 실질적인 지역 내 소비 유도 효과를 창출했고, 참여자 만족도와 경제적 파급력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고종문
GBC KOREA 대표이사연세대(경제학사) 졸업, 美 American University 경제학 석사, 박사학위(국제금융)와 명지대에서 법학박사 학위(부동산공법)를 취득했다. 세계 인명사전인 『Who’sWho in the World』에 등재되었다. 주택관리공단 사장, 신구건설 사장, 국정원소속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국세청 공평과세분야 자문위원, 기재부 공공기관평가위원, 한국자산관리공사혁신자문위원, 우신투자자문 전문연구원, UNICEF에서 근무했다.저서로는 『DeFi 분산금융』, 『대체불가토큰 NFT』, 『글로벌금융위기와 경제성장종말』, 『금융옵션』, 『사마천의 사기열전』, 『부의 경제학』 등 30여 권이 있다. 현재 GBC KOREA 대표이사, 한국경제예측연구소 회장직을 맡고 있다. 연세대, 중앙대, 성대, 제주대, 경상대, 금오공대, LH, 도로공사, 국민연금관리공단, 중앙공무원교육원, 남서울대, 주택관리공단 등에서 강의해 오고 있다.

  목차

시작하며_3

제1부┃ 실천적 경제철학의 토대
12.3 윤석열 계엄과 JMNOMICS의 시작_16
고단한 삶, 체화된 인적자본의 경제학_19
정치인 유머의 중요성과 경제학적 평가_24
성공은 준비된 자에게 온다_28
실용과 성장, 그리고 국민 행복 중심 경제철학_33
이념을 넘는 실용주의_37
가짜 성장과 단기 부양의 한계, 미래 기술·AI·딥테크 투자 중심의 경제 대도약_41
정책은 말이 아니라 숫자로 증명된다_44
4대강 사업, 부동산 부양 정책 등 과거 정부의 한계와 이재명식 반면교사_47
현장과 데이터로 증명된 실천력_50
전국 최초 무상교복, 청년배당, 산후조리비 등 복지정책_53
이재명은 합니다_59
핀란드 기본소득, 미국 캘리포니아 UBI 시범사업, 한국의 기본소득_62
대통령 탄핵과 대형 참사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대응책_66
한국의 갈등비용과 여야의 갈등비용_72

제2부┃ 글로벌 경제 환경과 미래 한국의 도전
세계 경제의 변화와 한국의 지정학적 기회_76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창조하는 것이다_79
대한민국의 진짜 성장전략_82
글로벌 에너지·공급망 변화와 한국의 기회_85
일본의 장기불황과 산업구조 전환 실패 교훈_88
기술혁신과 산업구조 재편_91
미래산업의 글로벌 경쟁_94
판교·고덕 등 첨단산업단지 성공사례와 전국 확장 시나리오_97
해외의 실리콘밸리, 중국 선전, 독일의 인더스트리 4.0과의 비교_100
혁신은 불편함에서 시작된다_102
미국 디트로이트 자동차산업 쇠퇴, 국내 LCD산업구조조정 사례_105제

제3부┃ 공약 실천 시나리오
정책은 국민의 삶을 바꾸는 도구다_110
지역화폐, 소상공인 금융지원, 공공배달앱 등으로 내수 활성화_114
AI·반도체·바이오 등 미래산업에 100조 원 투자_118
청년·노인·취약계층 지원, 기본소득 단계적 확대로 복지 확대_122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지급_125
캐나다 온타리오 기본소득 실험_127
정치는 타협의 예술이다_130
입법·예산 신속 통과, 정책효과 극대화_133
사회적 대타협과 경제적 파급효과_136
좋은 정책 앞에선 여·야가 따로 없다_139
독일 대연정(그로스코알리치온) 모델, 일본 여야 협치 사례_142
이탈리아 연립정부의 정책 혼선 사례_144
국회 파행 시 전국 대형 정책 집행률 하락_148
1석이 천금보다 귀하다_151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프랑스 노란조끼 시위 사건_154
브라질 정치교착과 경기침체 사례_157
정치 지형별 경제정책 시나리오와 영향_159
총선 여대야소 시 복지예산 18% 증가, 여소야대 시 6% 증가_163
영국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탈리아 연립정부 사례_166
일본 민주당 정권의 단명 사례_168
중동·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료 이후 에너지·원자재 시장변화_170
위기는 기회의 또 다른 이름이다 _173

제4부┃ 한국 경제의 미래상
‘진짜 성장’과 세계 5대 경제 강국 도약_178
AI·반도체·미래산업 중심 성장전략_181
GDP 2.6조 달러, 1인당 GDP 5만 달러 목표_185
글로벌 혁신지수 5위권 진입_189
‘잃어버린 20년’ 일본의 교훈_192
정책은 숫자로 말한다_196
포용적 성장과 사회안전망 혁신_199
복지와 분배의 현실적 확대, 청년·노인·소상공인 지원_202
Gini계수 0.27, 상대빈곤율 11% 목표_206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_209
북유럽 복지국가, 독일 하르츠 개혁 _213
영국 복지개혁의 부작용 사례_216
공정사회와 혁신 생태계 구축_220
시장질서 확립, 기업환경 개선, 스타트업·벤처 생태계 성장_224
창업기업 10만 개, 유니콘기업 50개 달성_227
공공배달앱, 계곡 불법점유물 철거 사업_230
이스라엘 스타트업 네이션, 미국 실리콘밸리_233
프랑스 청년실업 대책의 한계 _235
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_238
지역 소득 격차 해소 방안_243
GTX 등 대규모 인프라 투자_246
지역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_250
일본 지방창생 정책, 프랑스 중소도시 혁신 프로젝트 _253
미국 러스트벨트 쇠퇴 사례와 대한민국의 산업구조 혁신_256
지속 가능한 성장과 친환경 경제_259
재생에너지 혁신 전략_262
경기도 친환경 정책, 공공기관 이전 _265
EU 그린딜, 독일 에너지벤데_268
중국 대기오염 정책의 미흡 사례와 과제_270

제5부┃ 인재 등용 리더십과 핵심 경제정책
인적자본의 전문성_274
실용주의적 인재관_280
국민 추천을 통한 인재 발굴_283
경제학적 측면에서 본 이재명 리더십_286
재원 조달과 정책 지속성의 확보_290
세입 확대, 재정건전성, 민간투자 유치_292
국가채무비율 혁신전략_295
성남시 재정건전성, 경기도 예산운영 _298
노르웨이 국부펀드와 싱가포르 재정정책 _301
아르헨티나 재정위기_304
평화와 안보의 경제학적 가치_307
예산은 빚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투자다_310
노란봉투법의 경제적 가치평가_313
사회적 합의와 국민 참여_318
갈등 조정, 국민 소통, 정책 신뢰 구축_320
국민 정책 참여율의 획기적 제고 방안_324
수술실 CCTV 입법, 계곡 정비 시민참여_326
프랑스 연금 개혁 파동 사례_329
정치는 국민과의 대화다_332
정치·경제적 불확실성과 위기관리_334
글로벌 경기변동, 지정학 리스크 대응_337
진영과 이념을 넘어 정책 유연성 유지_340
미국 연준의 위기 대응, 일본 아베노믹스 사례_344
그리스 국가부도 _348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힘, 그것이 리더십이다_352
글로벌 경제질서 속 한국의 미래 좌표_356
이재명 경제학의 유산_359
실천적 리더십과 국민통합의 과제_361
정치는 요리와 같다_364
이재명의 2030 경제 비전과 전략_367
부동산정책, 세금보다 공급 우선 정책_370
연 20조 원의 경제적 가치, 국정관리실 설치_374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