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송병건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경제학 석사를 받은 후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경제사를 전공하여 19세기 영국경제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연구 활동을 하였다. 2000년부터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에서 경제사 담당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18-19세기 인구사, 산업재해의 경제사, 노동 시장과 복지 정책, 재난과 안전의 역사, 직업의 변천사, 혁신의 역사, 금융위기의 역사, 세계 경제 질서의 변화사 등에 관해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과 책을 발표하였다.주요 저서로는 비주얼 경제사 3부작인 『세계화의 단서들』 · 『세계화의 풍경들』 · 『비주얼 경제사』, 그리고 『세계사 추리반』, 『경제사: 세계화와 세계 경제의 역사』, 『세계경제사 들어서기』, 『영국 근대화의 재구성』, 『지식혁명으로 다시 읽는 산업혁명』, 『재난인류』 등이 있다. 해외에서 번역 출간된 책으로는 『图涚世界经济史』(중국), 『灾难简史』(중국), 『讀畵解謎世界史』(타이완), 『讀畵搞懂世界經濟史』(타이완)가 있다.
머리말
차례
제1장 금융혁명: ‘남해회사’ 거품은 경제에 파국을 초래하였나?
1. 남해회사 거품을 바라보는 시각
2. 남해회사의 성격
3. 남해회사의 주가 변동
4. 비이성적 투기 논란
5. 남해회사 거품의 유산
6. 맺는 글
제2장 농업혁명: 농업 생산력은 언제 얼마나 변화하였나?
1. 머리글: 산업혁명과 농업혁명
2. 간략한 농업혁명 논쟁사
3. 농업혁명과 생산성
4. 기술 진보와 자본주의적 경작
5. 의회 인클로저와 농업 변화
6. 맺는 글
제3장 지식혁명: 산업계몽주의는 생각을 어떻게 변화시켰나?
1. 지식혁명의 중요성
2. 지식혁명의 흐름
3. 산업계몽주의
4. 접근 비용
5. 맺는 글
제4장 정부혁명: 국가의 통치 방식은 어떻게 변화하였나?
1. 정부혁명 논의
2. 지식 축적과 통계 작성
3. 영국 정부의 운영
4. 맺는 글
제5장 제도혁명: 특허 제도는 경제 발전에 얼마나 공헌하였나?
1. 머리글: 특허 제도의 진화
2. 특허 제도의 효과
3. 영국 특허 제도의 실태
4. 구체적 분석
5. 맺는 글
제6장 기술혁명: 영국이 최초의 산업국이 된 이유는?
1. 머리글
2. 산업혁명 기간의 기술 혁신
3. 기술 진보의 성공 요인
4. 슈퍼스타, 트위커, 임플리멘터
5. 공간적 분석
6. 맺는 글
제7장 기업혁명: 주식회사 제도는 왜 도입이 지연되었나?
1. 머리글
2. 기업의 종류와 주식회사 설립의 추이
3. 기업 조직의 변화와 사회적 평가
4. 사회적 인식의 변화
5. 맺는 글
제8장 정리하는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