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청소년 > 청소년 > 청소년 문학 > 고전
춘향전  이미지

춘향전
청소년들아, 춘향을 만나자
보리 | 청소년 | 2025.06.30
  • 정가
  • 16,000원
  • 판매가
  • 14,400원 (10% 할인)
  • S포인트
  • 8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0.333Kg | 256p
  • ISBN
  • 979116314420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보리 청소년 고전 ‘만남’ 시리즈 여섯 번째 책 《춘향전-청소년들아, 춘향을 만나자》가 출간됐다. 우리 고전 가운데 가장 문학성이 빼어난 작품 춘향전을 청소년들이 읽기 쉽도록 다듬어 펴냈다. 춘향전은 오랜 세월 동안 수많은 백성이 한 마디씩 보태며 만든 민중들의 이야기이다. 춘향과 몽룡의 사랑 이야기 사이사이에 위선적인 양반들을 비판하고 백성들의 삶을 익살스럽게 담았다.30년 넘게 국어 교사로 아이들을 가르친 오세호 작가가 청소년들에 맞추어 다시 쓰고 친절한 해설을 달았다. 우리 고전을 재미있게 읽으면서 우리말의 참맛을 느끼고 옛사람들의 삶을 되새겨볼 수 있다.

  출판사 리뷰

“춘향전, 읽어 보셨나요?”
우리나라 사람 가운데 《춘향전》의 내용을 모르는 이는 드물다. ‘이리 오너라 업고 놀자’로 시작하는 사랑가나 통쾌한 어사출두 장면은 누구나 글이나 화면으로 한 번쯤은 보았을 것이고, 춘향과 몽룡이 처음 만났던 남원 광한루, 탐관오리의 대표 격인 변 사또에 관해서도 한 번쯤을 들어 보았을 것이다.
그러나 《춘향전》을 처음부터 끝까지 제대로 읽어 본 사람은 사실 많지 않다. 《춘향전》을 제대로 읽어 보지 않은 이들은 《춘향전》을 잘못 이해하기도 한다. 춘향을 목숨 걸고 정절을 지킨 여인으로만, 《춘향전》을 탐관오리에 저항하는 백성들의 이야기로만 보는 것도 부족하다. 《춘향전》에는 더 많은 것들이 담겨 있다.
춘향 이야기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오랜 세월 동안 우리 겨레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 그 까닭을 무엇일까? 《춘향전》을 한번 제대로 읽으면서 찾아보아도 좋을 것이다. 보리 청소년 고전 ‘만남’ 시리즈 여섯 번째로 《춘향전-청소년들아, 춘향을 만나자》를 선보인다. 원문의 주제와 운율감 넘치는 문체를 충실히 살리고, 청소년들이 읽기 편하도록 문장을 다듬고 주석을 달았다.

온 백성이 함께 쓴 이야기, 지금도 쓰고 있는 이야기
《춘향전》을 쓴 이는 어떤 한 사람이 아니다. 판소리계 소설이 그런 것처럼 춘향과 몽룡의 사랑 이야기에 수많은 백성들이 한 마디씩 보태며 이야기를 만들고 고쳤다. 그러면서 수많은 이본들이 만들어졌다. 이본들 가운데는 일본,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독일처럼 다른 나라 말로 번역되고 각색되어 전하는 것들도 있고, 춘향의 죽음으로 끝나는 비극적인 이야기, 춘향이 기생의 딸이 아닌 여염집 딸로 나오는 이야기도 있다.
소설 《춘향전》을 읽거나 판소리 <춘향가>를 듣지 않더라도, 우리는 춘향이 이야기를 여기저기서 만날 수 있다. 널리 알려진 영화 <춘향뎐>, <방자전>이나 드라마 <쾌걸 춘향> 말고도 국립창극단의 창극 <춘향>, 유니버셜발레단의 <발레 춘향>, 오페라 <춘향 탈옥> 공연처럼 무대에서 춘향 이야기를 볼 수도 있다. 또 2025년에도 남원에서는 ‘춘향제’와 ‘전국춘향선발대회’가 열렸다. 이 밖에도 춘향전은 웹툰이나 게임으로도 만들어지고 있다. 오랜 시간 동안 수많은 이들이 이야기를 보태고 고치고 했던 것처럼 지금도 그런 작업을 계속 하고 있는 것이다.

생생하게 그려지는 맛, 술술 읽는 맛, 신나게 놀리는 맛
《춘향전》은 재미있다. 젊은 남녀의 순수하고 거침없는 사랑이 온전히 담겨 있고, 춘향과 몽룡은 이 사랑을 가로막는 장벽을 뛰어넘는다. 이 기막힌 사랑 이야기 사이에 겉과 속이 다른 양반들을 실컷 놀려 주는 장면들이 있다. 또 농사짓는 이들, 관청에서 일하는 이들, 동네 사람들 같은 이들도 등장하고, 사람들이 먹고 입고 쓰는 것들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춘향과 몽룡이 단옷날 차려 입은 옷가지나 상에 차린 음식들만 보아도 그 시대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그려진다.
《춘향전》은 읽는 맛이 있다. 노래로 부르던 이야기인 터라 술술 읽게 된다. ‘털렁, 달강달강, 징징, 달랑달랑, 가물가물, 짤그닥 짱’ 같이 리듬감 넘치는 우리말 의성어와 의태어가 읽는 맛을 더한다.
양반들을 놀리고 비판하는 장면은 재미있고 통쾌하다. 농부들이 한양에 가서 소식 없는 몽룡을 원망하고, 변학도가 환자와 군포로 백성들의 돈을 긁어모은다고 욕하는 장면에는 백성들이 양반들에게 가진 불만이 녹아 있다. 이런 맛에 사람들은 《춘향전》을 읽으며 울고 웃는다. 《춘향전》을 읽으면서 옛사람들을 만나 보자.





바로 이때 춘향이가 향단이를 데리고 그네 터로 들어섰다. 백 척이나 높은 버들가지에 드리운 그네를 뛰려 할 제, 푸른 그늘에 향기로운 풀 우거지고 비단 잔디 좌르르 깔린 위에 장옷 훨훨 벗어 걸어 놓고, 자주색 가죽신도 석석 벗어 던져두고, 다홍치마는 턱 밑까지 훨씬 추켜 입는다. 그넷줄을 고운 두 손에 갈라 잡고, 흰 버선 두 발길로 선뜻 올라 발을 구른다. 가는 허리, 고운 몸을 단정히 놀리는데, 뒷모습을 보면 검은 머리끝에 금박 무늬 비단 댕기가 춤을 추고, 앞치레를 보면 치마 앞자락에 옥 장식 작은 칼이 잘그랑거리고, 색 좋은 자주 고름이 훨훨 나부낀다.
_ ‘버들가지는 살랑살랑, 붉은 치맛자락은 펄렁펄렁’

춘향이가 얼른 이부자리 속으로 달려든다. 도령 왈칵 쫓아 들어 누워 저고리를 벗겨 내어 도령 옷과 한데다 둘둘 뭉쳐 한쪽 구석에 던져두고, 둘이 안고 마주 누우니 그대로 잘 리가 있나. 삼베 이불 춤을 추고 샛별 요강은 장단 맞추어 청그릉 징징, 문고리는 달랑달랑, 등잔불은 가물가물 맛있게 잘 자고 났구나. 그 가운데 재미난 일이야 오죽하랴. _ ‘사랑사랑 내 사랑이야’

  목차

춘향, 봄 향기에 취하다 6
사또 자제 나귀 타고 납시네 12
버들가지는 살랑살랑, 붉은 치맛자락은 펄렁펄렁 22
책상 도령이 상사병 났구나 36
꽃 그리는 나비 마음 참을 길이 없네 46
꽃에도 귀천이 있다던가 57
하늘땅을 걸고 맹세하나니 65
사랑 사랑 내 사랑이야 76
참으로 나를 두고 가시려오 91
앉으나 누우나 임도 잠도 아니 오고 114
고집불통 욕심통 신관 사또 120
삼천 리 귀양 간들 우리 낭군 못 잊겠소 140
한 지아비 섬기는 죄로 옥에 갇혀 156
용이 푸른 구름에 높이 올랐구나 172
춘향이 울음소리 귓전에 사무치고 180
피눈물로 쓴 편지 191
거렁뱅이 사위 웬 말이냐 200
어데 갔다 이제 왔소 210
노랫소리 높은 곳에 원망 소리도 높구나 218
어사또 듭시오! 227
잘 있거라, 광한루야 237


우리 고전 깊이 읽기

《춘향전》에 대하여 240
《춘향전》에 담긴 보물들 244
여전히 이어지는 춘향과 몽룡의 이야기 253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