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외국어
쉽게 배우는 중학 한자 부수로 끝내기  이미지

쉽게 배우는 중학 한자 부수로 끝내기
한자(漢字)를 알면 국(國)·영(英)·수(數)도 잘할 수 있다
중앙에듀북스 | 부모님 | 2025.05.15
  • 정가
  • 17,500원
  • 판매가
  • 15,750원 (10% 할인)
  • S포인트
  • 870P (5% 적립)
  • 상세정보
  • 15.3x22.5 | 0.692Kg | 364p
  • ISBN
  • 978899446552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중학교 교육용 900자를 익히기 위한 113개의 부수에 대해 자형과 자의와 자음을 쉽게 풀어 쓴 책이다. 확인 학습과 쓰기 학습을 두었고, 풍부한 사진까지 함께 수록했다. 또한 <바로바로 익히는 한자>라는 확인 학습 코너를 두어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한자를 익히도록 하였다. <쓰면서 익히는 한자>에서는 필순과 쓰기 학습 과정을 두었으며, 학습 한자는 다시 쓰기 복습을 통해 여러 차례에 걸쳐 완전 학습하도록 구성하였다.즉, 문자학을 바탕으로 각 부수에 대한 개념 이해를 돕는다. 학습자가 그 내용을 보고 자발적으로 학습하고, 이어서 내용을 직접 옮기는 경험을 하면서 학습하고, 다시 계속 써 보면서 완전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했다. 그래서 한자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도 혼자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부수 학습을 통해 중학교 900자를 완벽히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한자능력검정시험에도 대비할 수 있다.

  출판사 리뷰

* 중학 한자 기초 부수 학습 필독서 최신 개정판!
* 국·영·수를 잘하려면 한자 학습이 필수!


모든 과목의 명칭인 국어·영어·수학·과학·역사·미술·음악 등은 모두 한자로 이뤄져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의인법(擬人法), 의태어(擬態語), 부정관사(不定冠詞), 방정식(方程式), 미적분(微積分) 등 모든 과목과 관련된 학습 용어도 대부분 한자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공부를 제대로 하려면 용어의 개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한자부터 알아두어야 한다. 한자를 모르면 결국 개념을 모르는 공부, 개념이 부족한 학생이 될 수밖에 없다.
국·영·수를 잘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한자 학습은 필수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학생들이 한자를 어렵고 재미없는 문자(文字)로 인식하고 있다. 그 이유는 모든 한자의 근본이 되는 부수(部首)에 대한 인식이 없기 때문이다. 부수는 한자에서 마치 한글의 ㄱ·ㄴ·ㄷ과 같은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부수에 대해 배우면 한자를 익히는 것은 물론이고 국·영·수 학습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113자 부수로 배우는 중학 교육용 900자!
* 부수를 완벽히 익히는 체계적인 구성!


교육용 한자 1800자 가운데 중학교 교육용 한자는 900자다. 이렇게 많은 한자를 글자 그대로 외우려고만 한다면 개념은 알지 못하고 그저 글자의 모양만 알게 될 것이다. 한자 학습의 기초인 부수를 알면, 같은 부수를 쓰는 한자는 처음 보는 글자라도 의미를 추측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이 책은 처음 한자를 배우는 사람들도 충분히 혼자 부수를 익혀 한자를 이해하도록 구성했다. 자발 학습뿐만 아니라, 경험 학습과 완전 학습까지 지향하는 책이다.
이 책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 목표를 이해하도록 고문자(갑골문·금문·소전)의 자형(字形) 변화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학습 한자의 형태인 자형을 설명하였다. 이어서 학습 한자의 뜻인 자의(字義)와 학습 한자의 음인 자음(字音)을 설명해 한자의 3요소인 자형과 자의와 자음을 분명히 알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해당 학습 한자와 관련 한자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많은 사진과 그림을 덧붙였다.




車[수레 거(차)]자는 ‘사람의 힘으로 끄는 수레’를 뜻하는 人力車(인력거)나 ‘사람의 다리 힘을 이용해 스스로 굴러가는 수레’를 뜻하는 自轉車(자전거)에서처럼 사람의 힘으로 움직이는 수레의 뜻으로 쓰일 때는 ‘거’로 읽습니다. 또 ‘말이 끄는 수레’를 뜻하는 馬車(마차)나 ‘스스로 움직이는 수레’를 뜻하는 自動車(자동차)에서처럼 동물이나 동력을 이용해 움직이는 수레의 뜻으로 쓰일 때는 ‘차’로 읽습니다.

力[힘 력]자는 옛날 사람들이 사용했던 간단한 형태의 외날 쟁기를 본뜬 글자입니다. 그런 쟁기로 땅을 일구는 일은 아주 많은 힘이 들기 때문에 쟁기에서 비롯된 力[힘 력]자는 결국 뜻이 ‘힘’이 되었습니다. 사람이 쟁기질을 하는 것은 먹고살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쟁기질은 많은 힘이 들었기 때문에 식구를 부양해야 할 사내가 했습니다. 따라서 ‘사내’를 뜻하는 男[사내 남]자에도 농토를 나타낸 田[밭 전]자에 쟁기를 나타낸 力[힘 력]자가 붙었습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종혁
어린 시절 서당에서 배웠던 한자에 관심을 갖고 대학(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중어중문학과)과 대학원(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과)에서 그와 관련된 전공을 했고, 30여 년 동안 한자학(문자학)을 연구하면서 교육하고 있다. 전통문화연구회에서는 한자급수를, 한국교원연수원에서는 상용한자를 강의했다. 홍익대·중앙대·서울시립대·경희대 등에서도 특강을 통해 한자를 강의했으며, 한자교육진흥회의 지도사연수원에서도 문자학을 바탕으로 한자의 자형·자의·자음을 분명히 밝혀 다양하게 한자를 교육한 바 있다. 현재는 서울시 남부여성발전센터에서 아동한자지도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을 하고 있다.저서로는 《중학 한자 부수로 끝내기》, 《한자 부수 제대로 알면 공부가 쉽다》, 《부수를 알면 한자가 보인다》, 《한자교육 시험백과》, 《부수로 한자 정복하기》, 《문자학으로 익히는 사자소학》 등이 있으며, 한국교원연수원(www.hstudy.co.kr)에서 동영상으로 상용한자를, 라이프에듀(www.hanja.tv)에서 국가공인 8급에서 2급까지 한자를 동영상으로 강의했다.

  목차

머리말
책의 구성
일러두기


角[뿔 각]|干[방패 간]|甘[달 감]|車[수레 거(차)]|犬[개 견]·犭[개사슴록변]|見[볼 견·뵐 현]|高[높을 고]|谷[골 곡]|骨[뼈 골]|工[장인 공]|口[입 구]|弓[활 궁]|金[쇠 금·성 김]|己[몸 기]


女[계집 녀]


大[큰 대]|刀[칼 도]·刂[선칼도]|斗[말 두]|豆[콩 두]


力[힘 력]|老[늙을 로]·耂[늙을로엄]|里[마을 리]|立[설 립]


馬[말 마]|麥[보리 맥]|面[낯 면]|毛[터럭 모]|木[나무 목]|目[눈 목]|文[글월 문]|門[문 문]|米[쌀 미]


方[모 방]|白[흰 백]|父[아비 부]|比[견줄 비]|非[아닐 비]|飛[날 비]|鼻[코 비]


士[선비 사]|山[뫼 산]|色[빛 색]|生[날 생]|夕[저녁 석]|石[돌 석]|舌[혀 설]|小[작을 소]|水[물 수]·氵[삼수변]|手[손 수]·扌[재방변]|首[머리 수]|示[보일 시]|食[밥 식(사)]|臣[신하 신]|辛[매울 신]|身[몸 신]|心[마음 심]·忄[심방변]·㣺[밑 마음심]|十[열 십]|氏[성씨 씨]


羊[양 양]|魚[물고기 어]|言[말씀 언]|玉[구슬 옥]·⺩[구슬옥변]|瓦[기와 와]|曰[가로 왈]|用[쓸 용]|又[또 우]|牛[소 우]|雨[비 우]|月[달 월]|酉[닭 유]|肉[고기 육]·月[육달월]|乙[새 을]·⺃[새을 변형자]|音[소리 음]|邑[고을 읍]·阝[우부방]|衣[옷 의]·衤 [옷의변]|二[두 이]|而[말 이을 이]|耳[귀 이]|人[사람 인]·亻[인변]|一[한 일]|日[날 일]|入[들 입]


子[아들 자]|自[스스로 자]|長[긴 장]·镸[긴장 변형자]|赤[붉을 적]|田[밭 전]|鳥[새 조]|足[발 족]·⻊[발족변]|走 [달아날 주]|竹[대 죽]·⺮[대죽머리]|止[그칠 지]|支[지탱할 지]|至[이를 지]|辰[별 진·때 신]


川[내 천]·巛[개미허리]|靑[푸를 청]|寸[마디 촌]|齒[이 치]


土[흙 토]


八[여덟 팔]|貝[조개 패]|片[조각 편]|風[바람 풍]|皮[가죽 피]


行[다닐 행·항렬 항]|香[향기 향]|革[가죽 혁]|血[피 혈]|戶[지게 호]|火[불 화]·灬[연화발]|黃[누를 황]|黑[검을 흑]

독본
획수별로 정리한 부수 일람표
자음 색인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