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서곡숙
영화평론가, 영화학박사, 청주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 한국영화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영화학회 대외협력상임이사, 계간지 『크리티크 M』 편집위원장을 역임하면서 부산국제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 부천국제영화제, 대종상 등의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이 : 송영애
영화평론가. 서일대학교 영화방송공연예술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에서 영화 연출을 전공했다. 단편영화 4편을 만들었지만, 실험영화에 관심이 생기면서 대학원에서 영화이론 공부를 시작했다. 현재 대중문화, 영화역사, 영화교육, 대안영화 등을 연구하며, 《세계일보》,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 기고 중이다. 공저로 『영화예술의 이해』(2000), 『은막의 사회문화사: 1950~70년대 극장의 지형도』(2017), 『한국영화감독1』(2020), 『영화와 배우』(2021), 『영화와 가족』(2022), 『영화와 권력』(2023) 등이 있다.
지은이 : 김희경
영화평론가. 인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영상학 박사이며 한국경제신문 기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예술경영 겸임교수,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사무총장, 한국영화학회 대외협력이사를 지냈다. 영상물등급위원회 자체등급분류 사후관리위원, 은평문화재단 이사, 국제문화&예술학회 이사, 만화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주최 <2020 만화·웹툰 평론 공모전> 대상을 수상했다. 《한경비즈니스》에 칼럼과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 평론을 연재하고 있으며, 《CJ뉴스룸》에도 글을 실었다. 저서로는 『AI와 영상 콘텐츠』, 『브람스의 밤과 고흐의 별』, 『호퍼의 빛과 바흐의 사막』 등이 있다.
지은이 : 이현재
경희대학교 K컬쳐·스토리콘텐츠연구소, 리서치앤컨설팅그룹 STRABASE 뉴미디어·콘텐츠 섹터 연구원. 「한류 스토리콘텐츠의 캐릭터 유형 및 동기화 이론 연구」(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글로벌 게임산업 트렌드」(한국콘텐츠진흥원) 「저작권 기술 산업 동향 조사 분석」(한국저작권위원회) 등에 참여했다. 2020 동아일보 신춘문예 영화평론부문, 2021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만화평론부문 신인평론상, 2023 게임제네레이션 비평상에 당선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평론 활동을 하고 있다.
지은이 : 윤필립
영화평론가, 응용언어학자. 대학에서 강의하며 한국 언어/문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학부와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한국어교육)을 전공했으며, (사)한국시나리오작가협회 영상작가전문교육원 수료 후 무궁화 스토리텔링 공모전(동화), 서울국제사랑영화제 기독교 영화비평상, 동아일보 신춘문예 영화평론 부문 등에서 수상했다. 만화평론상, 대종상,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의 심사위원 및 영평상 집행부 등을 역임했다.
지은이 : 김경
영화평론가. 이화여대에서 특수교육학과 국문학, 동국대에서 영화학 석사와 박사 수료 후 South Baylo University에서 한의학으로 석사, American Liberty University에서 한방 정신분석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LA 소재 에너지 한의원(Energy Acupuncture) 원장이다. 영화사와 방송 프로듀서(PD)로 기획과 연출, 시나리오 작업을 했으며, 엘에이와 샌디에이고 영화제 프로그래머 및 부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영화사와 장르, 문화연구에 관해 관심을 두고 있으며, 현재 정창화 감독 작품론을 집필 중이고, 정신과 몸에 대한 치료적 접근으로 영화와 한의학을 접목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서 「김경의 시네마크리티크」를 연재 중이다.
지은이 : 김현승
영화평론가. 고려대에서 역사교육과 철학을 전공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전문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2022년에 제4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신인평론상으로 등단하였다. 지금은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서 「김현승의 시네마크리티크」를 연재하고 《씨네 21》에서 객원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영화 매체와 관객성을 다루는 메타-필름에 관심을 두고 있다.
지은이 : 송상호
영화평론가, 경기일보 기자로 활동하며 글을 쓰고 있다. 2021년 박인환상 영화평론 부문 수상, 2023년 영평상 신인평론상 우수상 수상을 받았다. 현재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서 「송상호의 시네마 크리티크」를 연재하고 있다.
서문
제1부 관객과 소통하는 육체
1. 김경의 「<동사서독>, 충만한 기관 없는 몸에 대한 깨달음」
2. 윤필립의 「육체와 감각의 재구성, <폴:600미터> 그리고 한국형 괴수물」
3. 송영애의 「존재하지 않는 육체의 존재감」
제2부 기계와 결합하는 육체
4. 김현승의 「플라톤의 그림자 : SF 시대 정신과 육체의 이분법」
5. 송상호의 「원본의 가치가 무용해진 시대, <익스펜더블>로 본 육체의 위기」
제3부 경계를 넘어서는 육체
6. 김희경의 「영화가 그리는 성별의 제약과 여성의 육체」
7. 서곡숙의 「영화 <69세> : 노인 여성의 육체와 폭력」
8. 이현재의 「공연하는 육체 앞의 단호함」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