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미술식탁
팟캐스트 플랫폼 〈팟빵〉에서 ‘밥 먹듯 쉬운 미술’을 슬로건으로 활동하는 미술 콘텐츠 팀. 미술교사, 작가, 일반 패널이 함께 모여 마치 식탁에 둘러앉아 담소를 나누듯이 미술사, 디자인, 영화, 미술교육, 표현 기법, 작가의 삶 등 다방면의 주제를 즐겁게 풀어낸다. 서로 다른 분야의 사람들이 모이다 보니 미술 전공자는 ‘어떻게 하면 미술 지식을 더 쉽게 전달할 수 있을까?’를 계속 고민하고, 미술 초보자는 미술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며 예술과 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눈다. 청소년과 성인 누구라도 쉽고 재미있게, 하지만 얕지는 않게 지식과 교양을 쌓으며 미술과 가까워지는 데 도움을 주고자 6년 넘게 꾸준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1장 기본 개념
001 초상화 : 모습만 똑같다고 해서 잘 그린 초상화는 아니라고?
002 풍속화 : 화가들도 그림 일기를 그렸다고?
003 정물화 : 흔한 일상 속 사물을 왜 그렸을까?
004 조형 요소 : 미술 작품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는?
005 색의 3속성 : 같은 빨강인데 뭐가 다르지?
006 공공 미술 : 모두 함께 예술을 즐길 방법이 있을까?
007 대지 미술 : 돌만 쌓았을 뿐인데 작품이라고?
008 인터랙티브 아트 : 작품을 만져도 된다고?
009 픽토그램 : 전 세계인을 하나로 만들어주는 그림의 정체는?
010 카툰 : 만화, 카툰, 코믹스, 웹툰의 차이는?
011 알레고리 : 문학 작품에만 은유와 암시가 있는 게 아니라고?
012 오브제 : 벽에 붙인 바나나도 미술 작품이 될 수 있을까?
013 선전 미술 : 그림으로 생각과 신념을 조작할 수 있을까?
014 아트테크 : 미술 작품을 조각내서 구매한다고?
015 아카데미와 아방가르드 : 아카데믹한 스타일이 도대체 뭐야?
016 모더니즘 : 모던하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017 포스트모더니즘 : 예술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018 패러디 : 표절, 패러디, 오마주는 무슨 차이일까?
019 개념 미술 : 개념만 있으면 그림은 그리지 않아도 된다고?
020 오방색 : 음식에 올리는 고명에도 색의 비밀이 있다?
미술로 세상 읽기 1 : 추상화는 어떻게 감상하고 이해해야 할까?_비구상과 비대상
미술로 세상 읽기 2 : 예술 작품을 활용한 광고가 성공하는 이유는?_데카르트 마케팅
미술로 세상 읽기 3 : 공공 미술 작품에 왜 흉물 논란이 일었을까?_슈즈트리
2장 미술사
021 그리스·로마 미술 : 그리스 미술과 로마 미술은 어떻게 구분할까?
022 중세미술 : 가톨릭이 지배한 세상의 미술은 엄숙하기만 했을까?
023 르네상스(이탈리아) : 르네상스 화가들은 모두 능력자다?
024 르네상스(북유럽) : 르네상스 시대 북유럽 미술이 달랐던 이유는?
025 매너리즘 : 르네상스 천재 화가들을 뛰어넘으려 한 화가들이 있다?
026 종교 개혁과 미술 : 종교 개혁 때문에 풍경화와 정물화가 탄생했다고?
027 바로크 : 바로크 시대 미술의 특징은?
028 신고전주의 : 가장 고전적인 것이 가장 아름답다?
029 낭만주의 : 낭만은 아름답기만 한 것일까?
030 사실주의 : 현실을 있는 그대로 그린 작품에는 어떤 힘이 있을까?
031 인상주의 : 옛날에는 화가들이 사진기 역할을 했다고?
032 인도 불상 : 불교에서 처음에는 불상이 없었다고?
033 청명상하도 : 그림 한 폭에 900년 전 일상이 다 담겼다고?
034 삼국시대의 미술 : 고구려, 백제, 신라 문화는 어떻게 구분할까?
035 석굴암 : 석굴암에 가면 무엇을 어떻게 봐야 할까?
036 고려청자 : 고려청자는 초록색일까, 파란색일까?
037 고려 불화 : 고려시대의 문화는 얼마나 화려했을까?
038 조선백자 : 백자는 만들다 만 것 아니냐고?
039 몽유도원도 : 안견이 초현실주의 그림을 그렸다고?
040 진경산수 : 조선시대에도 여행 인증샷을 남겼다고?
041 민화 : 조선 후기 서민층의 성장은 예술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042 우키요에 : 초밥집에서 자주 보이는 파도 그림은 뭘까?
미술로 세상 읽기 4 지폐에 들어가는 그림은 어떤 기준으로 정해질까?_화폐 도안
미술로 세상 읽기 5 메디치 가문의 후원은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_르네상스의 통치자
미술로 세상 읽기 6 예술가들이 파리로 몰려든 이유는?_프랑스 아카데미와 벨 에포크
3장 현대 미술
043 동시성 : 입체파와 미래파는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
044 행위 예술 : 예술은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을까?
045 다다이즘 : 예술이 아닌 것도 예술이 될 수 있을까?
046 초현실주의 : 현실 그 너머에는 무엇이 있을까?
047 앵포르멜 : 트라우마가 예술이 될 수 있을까?
048 올오버 페인팅 : 화면을 모두 동일한 방법과 강도로 칠하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
049 팝 아트 : 뭐 재미있는 것 없을까?
050 발주 예술 : 다른 사람이 만들어도 자기 작품이 될 수 있다고?
051 키네틱 아트 : 예술품이 살아 움직인다면?
052 라이프캐스팅 : 살아 있는 사람을 조각 작품으로 만든다고?
053 그라피티 : 공공장소에 한 낙서도 예술이 될 수 있을까?
054 YBAs : 어디까지 예술로 인정해야 할까?
055 미디어 아트 : 게임도 예술이라고 불릴 수 있을까?
미술로 세상 읽기 7 : 뱅크시는 왜 자신의 작품을 갈아 버렸을까?_미술시장의 논란
미술로 세상 읽기 8 : 바우하우스는 현대 미술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_모더니즘의 국제적 전파
미술로 세상 읽기 9 : 현대 미술은 어떻게 구분할까?_모던 아트와 컨템퍼러리 아트
4장 재료와 기법
056 캔버스 : 캔버스는 종이가 아니라고?
057 유화 물감 : 천 년 전 그림이 지금까지도 잘 보존될 수 있는 이유는?
058 스푸마토 : 모나리자의 미소가 신비하게 보이는 이유는?
059 마티에르 : 보기만 해도 질감이 느껴지는 그림이 있다고?
060 아크릴 물감 : 플라스틱으로 그림을 그릴 수 있을까?
061 콜라주 : 재료를 붙이는 것만으로도 작품이 될 수 있다면?
062 모자이크 : 모자이크 효과가 미술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063 데페이즈망 : 재봉틀과 우산이 해부대에서 만난다고?
064 아상블라주 : 버려진 물건을 쌓기만 해도 예술 작품이 된다고?
065 파스텔 : 크레파스와 파스텔은 어떻게 구분할까?
066 에칭 : 판화는 화학 반응을 이용한다고?
067 실크 스크린 : 판화로 티셔츠를 만들 수 있다고?
068 문방사우 : 과거 선조들은 무엇으로 그림을 그렸을까?
069 삼원법 : 누워서 산속을 체험할 수 있다고?
070 복채법 : 왜 그림 뒷면에도 색을 칠했을까?
미술로 세상 읽기 10 : 미술 분야는 어떻게 구분할까?_회화, 조소, 설치
미술로 세상 읽기 11 : 검은색을 독점한 작가가 있다고?_아니쉬 카푸어와 스튜어트 셈플
미술로 세상 읽기 12 : 쓰레기도 예술 작품이 될 수 있을까?_정크 아트
5장 예술가
071 베르니니 : 조각으로 연극을 할 수 있다고?
072 렘브란트와 페르메이르 : 네덜란드의 황금기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073 바르비종파 :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화가들이 자연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074 터너 : 터너는 어떻게 영국의 국민 예술가가 되었을까?
075 고야 : 고야는 왜 ’검은 그림’을 그렸을까?
076 로댕 : 로댕의 조각이 특별한 이유는?
077 고흐 : 그림 속 일렁이는 노란 불빛에 비밀이 있다?
078 세잔 : 온 세상이 원뿔, 구, 원기둥 모양이라면?
079 피카소 : 피카소 그림은 어린아이도 그리겠다고?
080 마티스 : 색에 대한 고정관념이 있다고?
081 뭉크 : 삶과 죽음을 동시에 떠올리게 하는 그림은?
082 디에고 리베라 : 멕시코 정부가 벽화 작업을 지원한 이유는?
083 자코메티 : 앙상한 인체 조각에서 강인한 생명력이 느껴진다고?
084 신사임당 : 조선 시대 가장 유명했던 여성 화가는?
085 김정희 : 별명이 540여 개나 되는 사람이 있다고?
086 나혜석 :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는?
087 김환기 : 그림으로 시를 지을 수 있을까?
088 이중섭 : 가족에 대한 사랑 그 자체가 예술이 된 화가가 있다?
089 박수근 : 가장 한국적인 질감은 무엇일까?
090 백남준 : 예술에 과학기술을 융합한다면?
미술로 세상 읽기 13 : 새로운 문화는 어떻게 등장할까?_예술 속 계몽운동
미술로 세상 읽기 14 : 선비들의 그림을 부르는 이름이 따로 있다고?_남종문인화
미술로 세상 읽기 15 : 작품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듯한 느낌을 받아본 적 있나요?_숭고미
6장 미술관・박물관
091 큐레이터와 도슨트 : 작품을 설명해주는 사람의 정체는?
092 감상 가이드 : 작품을 더 재미있게 감상하는 방법은?
093 문화재 보존학 : 오래된 문화재는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
094 루브르 박물관 : 박물관 앞에 유리 피라미드를 만든 이유는?
095 영국박물관 :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 유물이 영국박물관에 있는 이유는?
096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미국이 유럽을 상대로 문화적 자존심을 세운 방법은?
097 국립중앙박물관 : 우리나라의 역사와 수난이 모두 담긴 박물관은?
098 비엔날레 : 가장 트렌디한 작품을 볼 수 있는 곳은?
099 아트 페어 : 예술 작품을 위한 팝업 행사도 있을까?
100 미술품 경매 : 미술 작품은 어떻게 구매할 수 있을까?
미술로 세상 읽기 16 : 실패한 복원인가? 새로운 예술인가?_원숭이가 된 예수
미술로 세상 읽기 17 : 감상과 비평의 차이는 무엇일까?_미술을 맛보는 방법
미술로 세상 읽기 18 : 한번쯤 꼭 가봐야 하는 미술관은 어디일까?_세계의 미술관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