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경제,경영
최후의 보루, 외화자산이 미래다  이미지

최후의 보루, 외화자산이 미래다
위기 트라우마 청산과 선진경제 도약을 위한 지침서
삶과지식 | 부모님 | 2024.01.11
  • 정가
  • 19,000원
  • 판매가
  • 17,100원 (10% 할인)
  • S포인트
  • 95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0.445Kg | 342p
  • ISBN
  • 979118532473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경제 관련 칼럼을 자주 읽는 사람들조차도 외환보유액은 그저 금융 위기 시 마지막 보루인 자산으로만 알고 있을 뿐 어디에서 어떻게 잘 운용되고 있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금융시장에 위기의 기운이 느껴질 때마다 언론에 등장하는 통화스왑에 대해서도 정확한 실체와 앞뒤 맥락을 파악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게다가 언제까지 외환 사정을 막연히 걱정해야만 하는지도 모르겠고 우리나라 경제 규모가 엄청나게 증가했다는데 왜 원화는 해외에서 무용지물처럼 느껴지는지도 이해하기 어려웠다.

이 책을 읽으면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그동안 피상적으로만 알던 우리나라 외화자산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다각도로 도움을 준다. 외환보유액 축적과 운용에서 시작하여 통화스왑계약의 활용을 거쳐 원화 국제화 추진에 이르기까지 과거, 현재, 미래를 관통하는 외화자산의 모든 것을 파헤치고 있다. 지난 30여 년간 한국은행에서 400조 원 규모의 외화포트폴리오 운용책임자이자 외환 정책 담당자로 주로 일했던 저자가 전문가적 통찰력으로 알기 쉽게 풀어나갔다.

  출판사 리뷰

- 쉽게 찾아볼 수 없었던 우리나라의 외화자산에 대한 심층 대해부
- 구시대적 IMF 외환위기 트라우마를 청산하고 선진 경제 마인드 정착을 위한 큰 그림
- 외화자산의 효율적 운용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대장정
- 방어적 위기대응을 넘어 원화 국제화 목표 달성을 위한 적극적 프로젝트


경제 관련 칼럼을 자주 읽는 사람들조차도 외환보유액은 그저 금융 위기 시 마지막 보루인 자산으로만 알고 있을 뿐 어디에서 어떻게 잘 운용되고 있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금융시장에 위기의 기운이 느껴질 때마다 언론에 등장하는 통화스왑에 대해서도 정확한 실체와 앞뒤 맥락을 파악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게다가 언제까지 외환 사정을 막연히 걱정해야만 하는지도 모르겠고 우리나라 경제 규모가 엄청나게 증가했다는데 왜 원화는 해외에서 무용지물처럼 느껴지는지도 이해하기 어려웠다.

이 책을 읽으면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그동안 피상적으로만 알던 우리나라 외화자산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다각도로 도움을 준다. 외환보유액 축적과 운용에서 시작하여 통화스왑계약의 활용을 거쳐 원화 국제화 추진에 이르기까지 과거, 현재, 미래를 관통하는 외화자산의 모든 것을 파헤치고 있다. 지난 30여 년간 한국은행에서 400조 원 규모의 외화포트폴리오 운용책임자이자 외환 정책 담당자로 주로 일했던 저자가 전문가적 통찰력으로 알기 쉽게 풀어나갔다.

이 책은 구체적으로 네 가지 측면에서 높은 수준의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첫째, 우리나라 외화자산의 원천과 역할, 변동요인 등에 대해 실무적이고 현장감 있게 파헤치고 있다. 둘째,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공적 외화자산들이 목적에 맞게 잘 운용되고 있는지 궁금증을 해소시키면서 외화자산의 효율적 운용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외환보유액의 효력을 뛰어넘는 중층적 위기방어체계로서 통화스왑을 비롯한 글로벌 금융안전망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기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가 선진국 반열에 도약하기 위해서는 보다 완성된 외환자유화, 보다 진전된 원화국제화를 과감히 추진할 것을 주장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양석준
1989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한국은행에 입행하여 34년여 기간을 몸담았다. 2003년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경제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재직기간 동안 외환 및 국제금융 분야 업무를 주로 수행하였으며 비서실장, 기획협력국장, 국제국장 등을 역임하고 외자운용원 담당 임원을 마지막으로 2023년 6월 퇴임하였다.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국내 외환시장의 최전방에서 시장개입 및 한미 통화스왑 실무를 담당하였고 2011년 유럽재정위기 때는 3년여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주재원으로 근무하면서 위기 전개 과정을 현장에서 체험하였다. 외화자산 운용 분야에서 외환 및 채권 포트폴리오 운용, 기획 및 전략개발, 자금견제 등 주요 포지션을 두루 거친 후 2020년 6월부터 외자운용원 원장을 역임하였고 한국투자공사 운영위원으로 한국은행 총재를 대신하여 활동하였다.2023년 말 현재 자본시장연구원에서 초빙연구위원으로 있다.

  목차

프롤로그

제1부 우리나라의 외화자산

제1장 대외자산과 외환보유액
대외적으로 보유한 외화자산 17
대외자산의 일부인 외환보유액 19
외환보유액을 제외한 민간의 대외자산의 증가 21
대외자산이 대외부채보다 많다는 의미 23
민간 보유 대외자산이 국내로 돌아올 가능성 26

제2장 외환보유액의 범위와 역할
외환보유액 개념에 부합하는 자산의 범위 31
외환보유액의 가용성 트라우마 33
국제수지 불균형과 외환보유액 34
환율제도와 외환보유액 36
대외신인도 평가와의 관계 39

제3장 외환보유액의 원천
한국은행과 외국환평형기금의 자금조달 43
외환보유액에 관한 책임과 권한 45

제2부 외환보유액의 변동

제4장 외환보유액의 증감
외환보유액의 확보 경로 53
외환보유액의 변동 요인 55
외환시장 개입의 의의와 주요 사례 58

제5장 외환보유액의 확충에 따른 비용
외환보유액 보유 비용 63
외환보유액 확충의 부작용 65

제6장 외환보유액 적정수준에 대한 논의
외환보유액의 적정성에 대한 인식 68
시장개방정도를 반영한 다양한 추정 70
외환보유액 변화 속도에 대한 인식 73

제7장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과 환율제도
1960년대까지의 외환보유액과 환율제도 75
1970년대의 외환보유액과 환율제도 77
1980년대의 외환보유액과 환율제도 80
외환위기 이전까지의 1990년대 외환보유액과 환율제도 82
1997년 외환위기의 발생과 위기 대응 84
2000년대의 외환보유액 89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발생과 위기 대응 91
2010년대 이후의 외환보유액 93

제3부 중앙은행의 외화자산 운용

제8장 외환보유액의 운용
외환보유액의 국내 운용과 국외 운용 99
외환보유액 운용목표 101
안전성의 확보 103
유동성의 확보 105
수익성의 제고 107
지속가능성의 추구 108
중앙은행 자산으로서 유의할 운용 목표 111

제9장 외화자산의 통화구성
전 세계 외환보유액의 통화 구성 115
우리나라의 미달러화 중심 경제체제 119
운용목표에 부합하는 통화구성 121

제10장 외화자산의 상품 구성
당좌예금에서 투자자산으로 전환 124
투자자산의 다변화 125
외환보유액과 금 126
금 본위제도와 주요국의 금 보유 128
우리나라 금 보유의 역사 131
IMF가 창출한 통화 SDR 133
IMF에 대한 출자 및 융자 135
주식을 통한 투자다변화 136

제11장 외화자산 국외운용의 계획과 실행
운용 계획의 작성 141
운용 계획의 실행 143
기본적인 투자 실행전략 145

제12장 외화자산 국외운용의 리스크와 성과
리스크 관리 체계 148
외환보유액 운용의 주요 리스크 150
외환보유액 운용 성과의 의미 153
외환보유액 운용 성과와 한국은행의 수지 155
운용 성과에 대한 공개 필요성 156

제13장 중앙은행의 ESG 운용
중앙은행의 기후변화 대응 158
한국은행의 ESG 운용 162

제4부 국부펀드와 공적연금펀드의 외화자산 운용

제14장 국부펀드의 의의
국부펀드의 설립과 역할 169
세계 국부펀드의 형태 171
국부펀드를 설립하지 않은 국가들 176

제15장 우리나라의 국부펀드
한국투자공사 설립 배경 및 조직 180
한국투자공사의 운용자산 181
한국투자공사의 운용 계획 및 실행 183
한국투자공사의 리스크 관리 185
한국투자공사의 ESG 운용 186

제16장 공적연금펀드의 의의
공적연금펀드 개요 189
공적연금펀드의 운용상품 191

제17장 우리나라의 공적연금펀드
국민연금기금을 운용하는 조직 193
국민연금기금 운용프로세스 195
기타 공적 연금 및 기금 196
공적연금펀드의 ESG 운용 197

제5부 글로벌 금융안전망

제18장 IMF 신용공여제도와 글로벌 금융안전망
IMF 신용공여제도의 한계와 개선 노력 201
글로벌 금융안전망의 확립 204
중앙은행간 통화스왑의 의의 207

제19장 미 연준의 중앙은행간 통화스왑
과거 미 연준 통화스왑의 활용 209
미달러화 유동성 공급을 위한 미 연준의 통화스왑 212

제20장 지역금융안전망과 그밖의 중앙은행간 통화스왑
지역 금융안전망의 의의 213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214
유로화 유동성 공급을 위한 ECB의 통화스왑 218
중국인민은행의 통화스왑 219

제21장 한국은행의 주요국과의 통화스왑계약
미 연준과의 통화스왑 221
일본은행과의 통화스왑 226
중국인민은행과의 통화스왑 227
캐나다, 스위스, 호주와의 통화스왑 230
UAE,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튀르키예와의 통화스왑 231

제6부 원화 국제화

제22장 통화 국제화의 과정과 의의
완전 국제화와 부분 국제화 237
기축통화의 역사적 흐름 239
기축통화 미달러화 체제의 정착 241
국제통화들의 다각화 243
호주달러화의 국제화 사례 245
일본엔화의 국제화 사례 247
중국위안화 국제화의 추진력 249

제23장 원화 국제화의 현 수준
원화 국제화의 필요성 253
원화 국제화 확대에 대한 반론 255
원화 국제화의 제도적 현황 258
국제적인 원화 활용 현황 262

제24장 원화 국제화 추진 과제
높은 수준의 외환 자유화 265
증권사 등의 외환업무 대폭 허용 267
원화 국제화의 전 단계로의 큰 진전 269
부분 국제화를 위한 과제 271

제7부 새로운 여건과 대응

제25장 세계화의 퇴보와 경제여건의 변화
미중 패권전쟁과 지경학적 분절화 277
브릭스의 영향력 확대 280
여전히 공고한 미달러화 체제에 대한 인식 282
고금리, 고물가의 뉴 노멀화 284
불확실한 여건과 대응 286

제26장 블록체인 기반 여건의 진전과 ESG 목표를 향한 대응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의 진전 290
자산의 토큰화 293
ESG 목표를 향한 움직임 296

제27장 맺음말 : 외화자산 잘 지키고 굴리기
환율 변동성 수용 및 외환보유액 지키기 300
외환보유액의 적정규모 논란 중단 303
외화자산의 효율적 운용체계 확립 306
글로벌 금융안전망 체계에서 입지 강화 노력 308
외환자유화 완성을 위한 근본적 구조 전환 312
시장 변동성 확대와 외환수급 구조변화에 대한 대비 315
외화자산이 최후의 보루이자 미래 318

참고문헌 320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