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자신에게 주어진 외로움과 갈등, 어려움을 헤쳐나가려 노력하는 주인공 소년의 모습은 안쓰럽지만 대견하다. 아이들에게 꼭 아름답고 좋은 것만 보여주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고 말하는 작가의 생각이 문학작품으로 고스란히 녹아있다. 그들의 성장 과정을 담담히 지켜보고 응원하듯 글로 그려낸 작품이다.
이 소설은 2016년 차오원쉬엔 작가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 수상 이후 새롭게 집필한 신소설 시리즈 중 하나로, 기존의 작품세계를 뛰어넘어 아동문학, 성장소설 창작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겠다는 작가의 의지를 담은 작품이다.
주인공 아이의 삶과 성장을 함께하며 인간과 인간의 모습, 인간과 자연, 생명과의 교류를 관조하고 삶의 숭고함과 인간으로서의 존엄, 생명의 고귀함, 역경을 딛고 일어서는 의지를 찬미한다.
출판사 리뷰
아버지가 새라고 믿는 그림 천재 소년,
자신만의 새를 찾아가는 나 홀로 여행을 떠난다
자신에게 주어진 외로움과 갈등, 어려움을 헤쳐나가려 노력하는 주인공 소년의 모습은 안쓰럽지만 대견하다. 아이들에게 꼭 아름답고 좋은 것만 보여주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고 말하는 작가의 생각이 문학작품으로 고스란히 녹아있다. 그들의 성장 과정을 담담히 지켜보고 응원하듯 글로 그려낸 작품이다.
이 소설은 2016년 차오원쉬엔 작가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 수상 이후 새롭게 집필한 신소설 시리즈 중 하나로, 기존의 작품세계를 뛰어넘어 아동문학, 성장소설 창작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겠다는 작가의 의지를 담은 작품이다.
주인공 아이의 삶과 성장을 함께하며 인간과 인간의 모습, 인간과 자연, 생명과의 교류를 관조하고 삶의 숭고함과 인간으로서의 존엄, 생명의 고귀함, 역경을 딛고 일어서는 의지를 찬미한다.
차오원쉬엔은 중국의 안데르센이라 불리는 작가이다. 2016년 아동문학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아동, 청소년 문학 작가로 인정받았다. 중국에서는 생존작가로는 최초로 작품이 실렸고, 우리나라에서도 중등(《빨간 호리병박》), 고등(《빨간 기와》) 국어 교과서에 작품이 실렸다.
“위피알의 아빠는 새란다.” 위피알이 한 살이었을 때 하늘 위를 날던 커다란 새를 보면서 엄마가 했던 말이다. 엄마는 이 말이 썩 마음에 들었다. 왠지 구슬픈 느낌이지만 굉장히 시적인 표현이기 때문이었다.
위피알은 몸을 푹 수그린 채 나뭇가지로 눈 위에 무언가를 그리고 있었다. 다가가 살펴보니, 새하얗게 반짝거리는 눈 위에 그린 건 각기 다른 새 대여섯 마리였다. 새를 유심히 보던 엄마는 그대로 얼어붙었다. 위피알이 그린 눈밭 위의 새가 너무도 생생했기 때문이다!
몸집도 길이도 제각각에 서로 다른 자태와 다양한 색의 깃털을 뽐내는 새들이 잇달아 벽에 모습을 드러냈다. 며칠이 지나지 않아 집 안팎 곳곳이 빈틈없이 채워졌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차오원쉬엔
중국의 저명한 아동 문학 작가로 중국 장쑤성 옌청시에서 태어났어요. 현재 베이징대학 교수로 중문학을 가르치며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글을 쓰고 있어요. 중국에서는 ‘3대가 함께 읽는 문학’을 하는 국민 작가로 여겨지며, ‘국가도서상’, ‘쑹칭링 문학상’, ‘빙신 문학상’을 비롯한 수많은 상을 받았어요. 2016년 4월 《란란의 아름다운 날(원작-‘펑린두’)》로 아동 문학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IBBY)가 수여하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을 받으며 세계에 널리 이름을 알렸어요. 주요 작품으로 2021년 ‘볼로냐국제아동도서전 라가치상 픽션 부문 스페셜 멘션’을 수상한 《우로마》를 비롯해 《빨간 기와》, 《까만 기와》, 《바다소》, 《청동 해바라기》, 《힘센 상상》, 《란란의 아름다운 날》, 《검은 말 하얀 말》, 《내 친구 태엽 쥐》, 《마오마오가 달린다》 등이 있어요.
목차
1. 아빠는 새
2. 새의 아이
3. 동쪽 산
4. 시와 약
5. 그라피티
6. 새하얀 벽
7. 깃털
8. 검은숲
9. 새를 찾아서
10. 황야
11. 낯선 마을
작가의 말 문학, 또 하나의 집 짓기 /신소설을 시작하며
옮긴이의 말 자신만의 새를 찾아서